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아랫글 oled 무라 디무라 공정 1편

(게시글 작성 시간: 02-11-2024 01:24 PM)
858 보기
djjvk4
Active Level 10
옵션
갤럭시 S
pwm 높이면 무라가 안보임. (oled 소자 편차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밝기 출력 높임)그리고 깜빡임은 늘어나서
눈에 안보이고 (무라) 플리커링은 높아서 무라가 안보임
이런 원리인가요? 그럼 무라가 보이면? 플리커링이
낮은건가....1초에 240번 화면이 깜빡이는데.
그 이하여서 무라가 보이는건가.디무라 공정 잘해야
R레드 G그린 B블루가 픽셀이 디무라되서 화질이 LCD만큼
잘 나오는건데 R R B라면 밝기와 상관 없이 화질이
자글 자글하고 거칠고 그럼. 밝기 50% 올리면 R G B
균형을 이루어서 화질은 좋지 않지만 동영사 텍스트 보임
자연스러운게 아니라 pwm 높이면 무라가 안 보이도록
밝기 깜빡여서 어둡게 보임 실제론 pwm 높아서 밝은데
왜냐면 어두운데서 R G B 편차가 밝기가. x 같아서임
샤픈은 소프트웨어로 가능하지만 무라는 oled제조 공정에서 소자를 만들기 때문에 샤픈이랑은 관계없삼
깜빡임 120번으로 낮추면 pwm이 높아서 엄청 밝아지고
감마값 트러져도 보이는데 지장은 없음
박막봉지안에 산소 수분을 없애고 m13 유기물질
증착하는데 유기물질이 너무 제어가 힘들기 때문에
유기물질 편차가 난다고봄(삼성측에선 정상이라고 말함)
실제론 다크모드에서 R G B가 지 멋되로 춤추는

pwm이 낮으면 플리커링이
pwm이 낮아짐
(두통 시력 영향이큼)

플리커링이 높음
왜냐면 저조도에서 
소자편차 때문에
낮은 밝기에 무라가
보이지 않게 pwm 높이는?
아이폰12는 무라가 아예
안 보임
pwm이 높으면 저조도에
oled R G B 밝기 편차가
높음 디스플레이에
주사 플리커링?
깜빡임으로 다시 어둡게해서
눈에 R G B 편차 안보이게끔함. 이게 디무라 작업임
갤24u 좀 어둡게 보이는
이유가 이것임
깜빡임 줄이면 밝기 엄청
밝아짐
m13 물질이 발광이 높아서
pwm을 강제적으로
높일수뿐이 없음
이것 설명 할라면
여기서 생략함
간단하게 요약해서 3줄로 2편에서 끝내겠음

image
소자 발광이 높아서 높은 pwm 빔을 쏘고 밝게하고 플리커링으로
어둡게 출력함. m13 oled가 특징인듯 흥미롭네



oled 장점이 풍부한색감 명암비 응답속도 시야각 낮은 전력
LCD보다는 좋은데 R G B 소자가 밝기편차 때문에
어두운 계조에서 소자 만들어줌. 이게 무라고 pwm 높이고
240번 깜빡여서 눈에 안보이게 하는것 디무라고
R G B B R G 소자가 각각 따로 놀고 있음.무라가 보임
공장에서 oled 잘못 만든것임. 원래는 눈에 안보여야
정상인데 240번 깜빡여서 어둠게 보이는게 원리인데
1 댓글
djjvk4
Active Level 10
갤럭시 S
pwm 높으면 oled는 어둡게 보임 실제론 밝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