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보시는 분들중 통신사의 IoT서비스를 사용하다가 해지를 하시고 집에서 잠들고 있던 IoT장비가 있는 분들도 있을겁니다.
얼마전에 스마트싱스가 국내정발을 했으니 이제 한번 깨워봅시다.
1단계 국내판 스마트싱스 허브 준비
2단계 가지고 있는 IoT장치분석 가지고 계신 IoT장치가 Wifi이라면 연결이 안되고요 Zigbee 또는 Z-wave 장치라면 대부분 가능합니다.
저는 U+의 구형 IoT 플러그를 준비해봤습니다.
3단계 연결하기
연결은 3가지의 방법이 있는데요.
1.Generic Z-wave에 들어가서 등록하는방법
2.주변검색
3.AI Power Manager에서 Z-wave 플러그 선택(이 플러는 다원dns에서 제조된 플러그여서 가능한것입니다.
타사의 플러그는 AI Power Manager에서 등록이 불가합니다.)
저는 주변검색으로 연결하였습니다.
이 플러그를 제가 연결할때 연결법은 설명서가 없어서 그냥 이것저것 해봤네요😅
1.플러그를 켜짐 모드(노란불)로 두고 길게 누르면 빨간불도 들어오고 깜빡입니다(초기화)
2.플러그를 꺼짐 모드(빨간불)에 두고 길게누릅니다.
그러면 빨간불이 깜빡 거립니다.
3.주변검색에 들어오고 2번을 한번 더 해줍니다.
이 상태에서도 켜짐/꺼짐은 정상적으로 되나 반응이 매우 느리고 상태반영도 잘 안됩니다.
4단계 dth변경하기
스마트싱스 IDE 사이트에 가줍니다.
그리고 로케이션을 선택하고
아까 등록했던 기기가 있는곳으로 가줍니다.
그리고 Edit을 누르면 dth가 Z-wave metering switch로 되어 있는데요
이것을
다원 Z-wave Plug로 바꾸어 줍니다. (다원dns사가 제조한 플러그에 한해서)
(타 제품들은 이것저것 바꾸면서 해보세요)
그리고 업데이트를 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콘도 플러그로 바뀌고 상태반영도 잘되고 동작도 전보다 확실히 빠릅니다.
여러분들도 집에 통신사 IoT서비스를 해지하고 남은 Z-wave나 Zigbee 디바이스가 있으시다면 한번 해보시는것도 좋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