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023
Active Level 3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02-2019 07:12 PM - 편집 03-15-2019 05:54 PM
갤럭시 노트
아마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모르시는분들도 꽤 많아보여 해당 문제에 대하여
설명해볼까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은 인터넷에 있는 9810관련 루머/커스텀 펌웨어
개발자들의 말을 종합하여 정리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따라서 이 글이 절대적인 사실이 아닐수도 있으며
참고용으로 그려려니 하면서 보시길 바랍니다
핫플러그=싱글 부스트로서 빅 클러스터중 코어 하나에만
클럭을 집중시키고 나머지 코어는 끄는 설정입니다
스케줄러: 작업(부하)가 걸렸을때 Cpu를 어떻게
사용할지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스냅 845에 비해 엑시노스9810은 최고성능 면에선
9810이 우세하나 실사용 환경에선 845보다 훨씬
뒤떨어 집니다 해당 이유에 관하여 설명을 해보자면

위에 글처럼 스마트폰 Ap는 부하에 따라
리틀클러스터>빅 클러스터로 전환되고
그다음 부하에 따라 클럭을 조절하는데
엑시노스: 리틀>빅 전환은 빠르나 빅코어 도달시
낮은 클럭부터 높은클럭으로 동작하게 스케줄러 설정
스냅 845: 리틀>빅 전환이 엑시노스보다 근소히 뒤지나
빅 클러스터로 전환되자마자 최고클럭으로 동작
이후 부하에 따라 클럭을 낮추도록 설정
위에서 적혀있다시피 9810이 845보다
최고성능 도달까지 걸리는 시간이 5배가량 느립니다
한마디로 엑시노스가 워밍업하는 사이에 스냅은
작업을 끝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고부하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엑시노스가
아시겠지만 실사용 환경에선 그럴 일이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
이번에 삼성이 스케줄러를 EAS기반으로 새로
만들었다는데 이점 기억해두시고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핫플러그 부분입니다
핫플러그는 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싱글부스트로
코어 하나에만 클럭을 몰아주고 나머지 코어는
꺼버리는 형식입니다...
이는 예전에나 사용하던 구세대 방식으로서
비효율적이며 안드로이드는 멀티 스레드에 적합하다는
말이 있는 와중에 9810은 싱글코어를 사용하게끔
설정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적혀있는걸 보면 핫플러그를 끄고
이전 Arm방식을 (예를들면 싱글 부스트 없던8895에서
쓰던 코어 스케줄링 방식을 말하는거 같습니다.)
사용한 결과 전력소모도 줄고(배터리 타임이 늘어납니다)
4코어 1.8ghz상태 에서도
(9810의 순정 4코어 사용시 클럭입니다.)
스냅845의 풀 로드 성능과 벤치마크가 동일하다고 합니다
거기에 스케줄러까지 코클럭 우선으로 하니
더 속도가 향상되기까지 했다고 하니...
그래서 해당 커스텀 개발자들도 엑시노스는 성능을
의심하기 보다는 삼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편입니다.

다음엔 메이주사 9810납품관련 루머입니다
9810이전의 스케줄러 방식을 사용하고
(위에서 말했던 기존의 ARM 방식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쿼드 2.1ghz 급으로 제한하고 싱글부스트를 제외한
방식인데 이 역시 기존9810보다 반응성이 향상되었고
멀티스레드 성능은 A11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갑니다...
(배터리 타임이 상승하는건 덤이랍니다...)
위 두가의 글에서 CPU방식을 예전 방식으로 설정했다는
말이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위에서 언급했던 삼성의
새로운 EAS기반 스케줄러가 문제인건지도
모를 일입니다...

위에 글은 아난트텍(해외It/하드웨어쪽 사이트)의 글인데
스케줄러/핫플러그에 대한 반응이 똑같군요...

이건 해외 커스텀 롬 개발자들 쪽에서 나온
9810의 오버클럭 커롬관련 글인데
요약을 하자면
1.싱글부스트 2.8ghz까지 올릴수 있음
(그러나 싱글부스트 사용이 힘듬)
2.스케줄링 방식이 이상해 싱글 부스트 쓰는거보다
부하시 4코어를 쓰게하는게 체감이 나음
3.싱글 부스트를 2.8ghz로 오버하는것보다
4코어 베이스클럭을 0.2ghz정도 오버클럭 하는게
스냅845보다 체감성능이 좋고 멀티스레드 점수 향상
4.이상한 스케줄러 방식+싱글부스트 방식을 쓰는것보다
부하시 빅코어 듀얼만 2.6ghz로 쓰는게 체감이 더 나음
여기서 알수 있는데
핫플러그/스케줄러 문제는 서로 이어진 문제.
현재 스케줄링 방식은 부하시 빅코어로 넘어가면
빅코어 4개중 1코어만 부스트가 작동하여
낮은클럭에서 2.7ghz까지 동작.
핫플러그를 빼려면 스케줄러도 건드려야되고
스케줄러를 걸드리려면 핫플러그도 건드려야될것으로
예상됨.
이정도입니다...


위는 위에 게시글 작성자의 댓글 일부분입니다
위 글과같이 오버클럭을 하거나
위같이 설정을 건드릴경우 배터리 타임이 나빠지거나
문제가 있어서 그런게 아니냐?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인데
저렇게 설정을 하도 전력 소비는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소리입니다...
(당장 핫플러그 자체도 전력 소비면에선 그리 좋은
기술이 아닙니다... 당장 올코어 2ghz로 설정하고도
생각보다 전력소모가 적었다던 모양인데..)
추가로 알수있는 사실은
ios는 싱글스레드 최적화고
안드로이드는 멀티스레드쪽 최적화라는데...
(심지어 구글도 멀티스레드 쪽으로 밀어준다는 경황이
있는 마당에...)
여기서 9810이 보여준 성과를 찾는다면
안드로이드도 멀티스레드보단 싱글스레드에 우선이라는
소리가 싹 들어갔다고 합니다...
예전에 삼성 경영진쪽 VIP가 애플 ap성능 따라잡자고
싱글스레드 강화하라고 했다고 하고
실무진은 멀티스레드 올려야 한다고 충돌했다던
루머가 있는데...
(원래 무선사업부쪽이랑 충돌인줄 알았는데 해당 루머가
언급 되어있는 게시글을 다시 확인해본 결과
경영진쪽 VIP로 나와있어서 수정했습니다.)
당장 위의 글들에서 보다시피 외부에서 저런 반응이
지속적으로 나옴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해당 문제에 관하여 공식적인 입장이 없거나
아니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고...
9820까지 싱글스레드 위주로 가는거 보면...
이상은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하고
제발 삼성쪽에서 해당 문제에 관한 수정이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아니면 잠수함 패치로라도 좋으니...
하다못해 사용자가 선택하게라도 해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모르시는분들도 꽤 많아보여 해당 문제에 대하여
설명해볼까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은 인터넷에 있는 9810관련 루머/커스텀 펌웨어
개발자들의 말을 종합하여 정리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따라서 이 글이 절대적인 사실이 아닐수도 있으며
참고용으로 그려려니 하면서 보시길 바랍니다
핫플러그=싱글 부스트로서 빅 클러스터중 코어 하나에만
클럭을 집중시키고 나머지 코어는 끄는 설정입니다
스케줄러: 작업(부하)가 걸렸을때 Cpu를 어떻게
사용할지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스냅 845에 비해 엑시노스9810은 최고성능 면에선
9810이 우세하나 실사용 환경에선 845보다 훨씬
뒤떨어 집니다 해당 이유에 관하여 설명을 해보자면
위에 글처럼 스마트폰 Ap는 부하에 따라
리틀클러스터>빅 클러스터로 전환되고
그다음 부하에 따라 클럭을 조절하는데
엑시노스: 리틀>빅 전환은 빠르나 빅코어 도달시
낮은 클럭부터 높은클럭으로 동작하게 스케줄러 설정
스냅 845: 리틀>빅 전환이 엑시노스보다 근소히 뒤지나
빅 클러스터로 전환되자마자 최고클럭으로 동작
이후 부하에 따라 클럭을 낮추도록 설정
위에서 적혀있다시피 9810이 845보다
최고성능 도달까지 걸리는 시간이 5배가량 느립니다
한마디로 엑시노스가 워밍업하는 사이에 스냅은
작업을 끝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고부하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엑시노스가
아시겠지만 실사용 환경에선 그럴 일이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
이번에 삼성이 스케줄러를 EAS기반으로 새로
만들었다는데 이점 기억해두시고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핫플러그 부분입니다
핫플러그는 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싱글부스트로
코어 하나에만 클럭을 몰아주고 나머지 코어는
꺼버리는 형식입니다...
이는 예전에나 사용하던 구세대 방식으로서
비효율적이며 안드로이드는 멀티 스레드에 적합하다는
말이 있는 와중에 9810은 싱글코어를 사용하게끔
설정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적혀있는걸 보면 핫플러그를 끄고
이전 Arm방식을 (예를들면 싱글 부스트 없던8895에서
쓰던 코어 스케줄링 방식을 말하는거 같습니다.)
사용한 결과 전력소모도 줄고(배터리 타임이 늘어납니다)
4코어 1.8ghz상태 에서도
(9810의 순정 4코어 사용시 클럭입니다.)
스냅845의 풀 로드 성능과 벤치마크가 동일하다고 합니다
거기에 스케줄러까지 코클럭 우선으로 하니
더 속도가 향상되기까지 했다고 하니...
그래서 해당 커스텀 개발자들도 엑시노스는 성능을
의심하기 보다는 삼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편입니다.
다음엔 메이주사 9810납품관련 루머입니다
9810이전의 스케줄러 방식을 사용하고
(위에서 말했던 기존의 ARM 방식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쿼드 2.1ghz 급으로 제한하고 싱글부스트를 제외한
방식인데 이 역시 기존9810보다 반응성이 향상되었고
멀티스레드 성능은 A11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갑니다...
(배터리 타임이 상승하는건 덤이랍니다...)
위 두가의 글에서 CPU방식을 예전 방식으로 설정했다는
말이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위에서 언급했던 삼성의
새로운 EAS기반 스케줄러가 문제인건지도
모를 일입니다...
위에 글은 아난트텍(해외It/하드웨어쪽 사이트)의 글인데
스케줄러/핫플러그에 대한 반응이 똑같군요...
이건 해외 커스텀 롬 개발자들 쪽에서 나온
9810의 오버클럭 커롬관련 글인데
요약을 하자면
1.싱글부스트 2.8ghz까지 올릴수 있음
(그러나 싱글부스트 사용이 힘듬)
2.스케줄링 방식이 이상해 싱글 부스트 쓰는거보다
부하시 4코어를 쓰게하는게 체감이 나음
3.싱글 부스트를 2.8ghz로 오버하는것보다
4코어 베이스클럭을 0.2ghz정도 오버클럭 하는게
스냅845보다 체감성능이 좋고 멀티스레드 점수 향상
4.이상한 스케줄러 방식+싱글부스트 방식을 쓰는것보다
부하시 빅코어 듀얼만 2.6ghz로 쓰는게 체감이 더 나음
여기서 알수 있는데
핫플러그/스케줄러 문제는 서로 이어진 문제.
현재 스케줄링 방식은 부하시 빅코어로 넘어가면
빅코어 4개중 1코어만 부스트가 작동하여
낮은클럭에서 2.7ghz까지 동작.
핫플러그를 빼려면 스케줄러도 건드려야되고
스케줄러를 걸드리려면 핫플러그도 건드려야될것으로
예상됨.
이정도입니다...
위는 위에 게시글 작성자의 댓글 일부분입니다
위 글과같이 오버클럭을 하거나
위같이 설정을 건드릴경우 배터리 타임이 나빠지거나
문제가 있어서 그런게 아니냐?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인데
저렇게 설정을 하도 전력 소비는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소리입니다...
(당장 핫플러그 자체도 전력 소비면에선 그리 좋은
기술이 아닙니다... 당장 올코어 2ghz로 설정하고도
생각보다 전력소모가 적었다던 모양인데..)
추가로 알수있는 사실은
ios는 싱글스레드 최적화고
안드로이드는 멀티스레드쪽 최적화라는데...
(심지어 구글도 멀티스레드 쪽으로 밀어준다는 경황이
있는 마당에...)
여기서 9810이 보여준 성과를 찾는다면
안드로이드도 멀티스레드보단 싱글스레드에 우선이라는
소리가 싹 들어갔다고 합니다...
예전에 삼성 경영진쪽 VIP가 애플 ap성능 따라잡자고
싱글스레드 강화하라고 했다고 하고
실무진은 멀티스레드 올려야 한다고 충돌했다던
루머가 있는데...
(원래 무선사업부쪽이랑 충돌인줄 알았는데 해당 루머가
언급 되어있는 게시글을 다시 확인해본 결과
경영진쪽 VIP로 나와있어서 수정했습니다.)
당장 위의 글들에서 보다시피 외부에서 저런 반응이
지속적으로 나옴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해당 문제에 관하여 공식적인 입장이 없거나
아니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고...
9820까지 싱글스레드 위주로 가는거 보면...
이상은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하고
제발 삼성쪽에서 해당 문제에 관한 수정이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아니면 잠수함 패치로라도 좋으니...
하다못해 사용자가 선택하게라도 해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7 댓글
GalaxyWorld
Expert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02-2019 08:13 PM ·
갤럭시 노트
삼성 무선사업부는 조속히 조치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