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댓글
발견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4-22-2024 10:03 AM - 편집 04-22-2024 10:07 AM
갤럭시 S
만약에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로 접속한 걸 말씀하시는거라면 그게 정상일겁니다.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운영체제 버전을 일부러 일괄적으로 안드로이드 10으로 표시합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 접속시 사이트에 전송하게 되는 유저 에이전트라는 정보 데이터가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기기 모델을 사용하고 있고 운영체제는 뭐고 웹브라우저 버전은 뭘 쓰는지 등등 사용자가 사용중인 기기 정보에 관한 꽤 구체적인 정보들이 매번 전송됩니다.
이런게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하는 용도로 악용될 소지가 큰 정보 중 하나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에서 실제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는 겁니다.
물론 그것 말고도 사용자를 특정하거나 특정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큰 다른 정보들이 또 무수히 전송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만 어쨌든 이 정도까지는 다수의 구글 크롬 사용자들을 사이트에서 쉽게 구별하지 못하게 동일하게 보이게끔 만들어 주는게 목적입니다.
그래서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사용 또는 크로미움 계열 웹브라우저 사용으로 생긴 결과라면 정상적인 표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사용자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더 강화시켜주는거죠.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운영체제 버전을 일부러 일괄적으로 안드로이드 10으로 표시합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 접속시 사이트에 전송하게 되는 유저 에이전트라는 정보 데이터가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기기 모델을 사용하고 있고 운영체제는 뭐고 웹브라우저 버전은 뭘 쓰는지 등등 사용자가 사용중인 기기 정보에 관한 꽤 구체적인 정보들이 매번 전송됩니다.
이런게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하는 용도로 악용될 소지가 큰 정보 중 하나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에서 실제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는 겁니다.
물론 그것 말고도 사용자를 특정하거나 특정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큰 다른 정보들이 또 무수히 전송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만 어쨌든 이 정도까지는 다수의 구글 크롬 사용자들을 사이트에서 쉽게 구별하지 못하게 동일하게 보이게끔 만들어 주는게 목적입니다.
그래서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사용 또는 크로미움 계열 웹브라우저 사용으로 생긴 결과라면 정상적인 표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사용자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더 강화시켜주는거죠.
레이너
Active Level 8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4-22-2024 10:17 AM - 편집 04-22-2024 10:18 AM
갤럭시 S
그렇군요. 상세한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하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로그인 정보(위치,시간,버전 등)를 보안 알림으로 보여주는 것도 구글이 보여주고 있는건데, 정작 자신들이 제작한 크로미움 계열 브라우저에서 보안을 위해서 페이크 정보를 전송하는게 이상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구글 보안 담당 부서와 크로미움 담당 부서가 다른 방향성을 가진 것일까요? 혹시 더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설명해주신 것들이 이해는 잘 되었는데, 한 편으로는 한 회사에서 정반대의 정책을 적용하는 것 같아서요.
그런데 하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로그인 정보(위치,시간,버전 등)를 보안 알림으로 보여주는 것도 구글이 보여주고 있는건데, 정작 자신들이 제작한 크로미움 계열 브라우저에서 보안을 위해서 페이크 정보를 전송하는게 이상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구글 보안 담당 부서와 크로미움 담당 부서가 다른 방향성을 가진 것일까요? 혹시 더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설명해주신 것들이 이해는 잘 되었는데, 한 편으로는 한 회사에서 정반대의 정책을 적용하는 것 같아서요.
발견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4-22-2024 07:33 PM ·
갤럭시 S
저도 거기까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그동안 써본 경험상으로는 일단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자체에서는 예외 없이 다 똑같이 안드로이드10에 기기 정보도 그냥 생략하거나 아니면 안드로이드로만 표시해서 전송하는게 일괄적으로 다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대신에 크롬이 아니라 안드로이드 자체에서 구글 설정으로 들어가는 기능을 이용하면 원래의 기기 모델명이 그대로 나오고 운영체제도 그랬던 걸로 기억하는데 저도 마지막으로 비밀번호 변경한 이후로 구글 계정 관리에 안들어가본지 너무 오래 돼서 이건 확실하진 않네요.
그런데 그동안 써본 경험상으로는 일단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자체에서는 예외 없이 다 똑같이 안드로이드10에 기기 정보도 그냥 생략하거나 아니면 안드로이드로만 표시해서 전송하는게 일괄적으로 다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대신에 크롬이 아니라 안드로이드 자체에서 구글 설정으로 들어가는 기능을 이용하면 원래의 기기 모델명이 그대로 나오고 운영체제도 그랬던 걸로 기억하는데 저도 마지막으로 비밀번호 변경한 이후로 구글 계정 관리에 안들어가본지 너무 오래 돼서 이건 확실하진 않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