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거양득
Active Level 2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1-07-2025 05:49 PM - 편집 01-07-2025 06:29 PM
갤럭시 S
s23+ 플리커 현상
삼성 관계자분들이 명확한 공식 입장이 있어야죠.. 장기간 사용해도 눈에 영향이 없다는 답변을 해주시던지 아무런 답이 없으면 어떡합니까? 한두 푼 하는 것도 아닌 거금 들여 사는 기기가 이런 현상이 논란이 됐으면 공식 답변을 해주셔야지요
소비자만 이런 논란 때문에 사용하는데 괜히 거슬리잖아요. 삼성 정말 실망입니다 일반 중소기업만도 못한 대처에요 공식적인 공지사항이나 답변 하나는 있어야죠
아니 어떻게 된 게 4년전에 나온 노트10 플러스가 s23플러스보다 플리커가 아예 없는게 말이 됩니까? 하도 궁금해서 영상 찍어봤는데 정말 이런 현상이 나오더군요
4년 전 기기만도 못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는 거잖아요
12 댓글
Lukas2050
Active Level 6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29-2025 11:26 AM ·
갤럭시 S
pwm을 무조건 높이는게 능사가 아니에요.. 일례로 애플이 삼성 고수율 패널을 가져가는데 애플이 바보도 아니고 pwm높지 않은 패널도 채택하겠습니까? 궁금하시면 아이폰에 채택된 디스플레이별 pwm수치 비교해보세요. 플리커링은 극도로 민감한 눈이 아닌이상 별 영향 없고 베터리 소모는 증가해서 일석이조로 잡기는 힘들어요. 24는 상급 디플이라 pwm높이면서 효율도 잡았으니 채택한거고요. 님 말대로면 애플이 괜히 pwm무지성으로 높은거 채택하겠죠? 근데 현실은 안그래요
방울
Active Level 4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29-2025 11:44 AM - 편집 05-29-2025 11:48 AM
갤럭시 S
원인이 그쪽에 있고 플리커링을 기준으로 또 다른 문제가 있으니 22, 23에서 피해자들이 나오는거잖아요. 제가 언제 무조건 올리자고 했어요? 실제로 플리커링에 의한 문제 자체도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걸 그냥 무지성 쉴드를 치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뭐라고 하는거잖아요. 민감 여부랑 상관없이 실제로 영향주는것도 사실이고요.
아이폰 어쩌라고요. 지금 23에서 발생했던 플리커링 이슈를 문제삼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23도 배터리 포기하고 임의적으로 주사율 고정을 해서 눈시림이 어느정도 나아졌지만 결국 이 폰이 문제인건 사실인거고 그 중심에 플리커링이 있는건데 무슨 소릴 하는거예요? 저도 이 폐급기 쓰다 한달도 안되서 던졌습니다 이 이슈 쉴드치는 사람들 보면 ㅉㅏ증부터 솓구치네요
아이폰 어쩌라고요. 지금 23에서 발생했던 플리커링 이슈를 문제삼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23도 배터리 포기하고 임의적으로 주사율 고정을 해서 눈시림이 어느정도 나아졌지만 결국 이 폰이 문제인건 사실인거고 그 중심에 플리커링이 있는건데 무슨 소릴 하는거예요? 저도 이 폐급기 쓰다 한달도 안되서 던졌습니다 이 이슈 쉴드치는 사람들 보면 ㅉㅏ증부터 솓구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