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파란토끼ll종원
★★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16-2023 11:08 AM - 편집 02-16-2023 11:19 AM
갤럭시 S
안녕하세요.. SiriusA님..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해서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삼성의 정책을 지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순수하게 제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국내 5G 망 네트워크 상태가..
5G SA모드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5G 우선모드 사용도 불편해서 LTE우선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SA 모드로 5G망만 사용시 네트워크 끊기고 불편해서 못쓰시는 분들이 많을거에요.. 말씀처럼 2021년에 KT 쪽에 오픈되었지만.. 사용자들이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개인적 생각으로는 현재에는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주변에 SA 모드 사용중이신 분이 계실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해서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삼성의 정책을 지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순수하게 제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국내 5G 망 네트워크 상태가..
5G SA모드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5G 우선모드 사용도 불편해서 LTE우선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SA 모드로 5G망만 사용시 네트워크 끊기고 불편해서 못쓰시는 분들이 많을거에요.. 말씀처럼 2021년에 KT 쪽에 오픈되었지만.. 사용자들이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개인적 생각으로는 현재에는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주변에 SA 모드 사용중이신 분이 계실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
4 댓글
채택된 답변
파란토끼ll종원
★★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16-2023 11:08 AM - 편집 02-16-2023 11:19 AM
갤럭시 S
안녕하세요.. SiriusA님..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해서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삼성의 정책을 지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순수하게 제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국내 5G 망 네트워크 상태가..
5G SA모드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5G 우선모드 사용도 불편해서 LTE우선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SA 모드로 5G망만 사용시 네트워크 끊기고 불편해서 못쓰시는 분들이 많을거에요.. 말씀처럼 2021년에 KT 쪽에 오픈되었지만.. 사용자들이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개인적 생각으로는 현재에는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주변에 SA 모드 사용중이신 분이 계실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해서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삼성의 정책을 지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순수하게 제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국내 5G 망 네트워크 상태가..
5G SA모드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5G 우선모드 사용도 불편해서 LTE우선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SA 모드로 5G망만 사용시 네트워크 끊기고 불편해서 못쓰시는 분들이 많을거에요.. 말씀처럼 2021년에 KT 쪽에 오픈되었지만.. 사용자들이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개인적 생각으로는 현재에는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주변에 SA 모드 사용중이신 분이 계실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
SiriusA
Active Level 8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16-2023 11:48 AM ·
갤럭시 S
안녕하세요 파란토끼II종원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KT향 단말을 사용했을때 저도 늘 SA모드를 키고 다녔고 연결면에서 이슈는 없었습니다.
물론 저의 사용 환경이 과반수 이용자를 대변하지 못할수도 있겠지만 아예 지원을 안하는거랑 사용자 옵션으로 두는데에는 차이가 있을거 같습니다.
원활한 환경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삼성 갤럭시S20+ 단말로 SA와 NSA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비교 시험한 결과, SA(13시간 38분)는 NSA(12시간 32분)보다 최대 1시간 6분(8.8%)을 더 오래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LTE에 비해 촘촘하게 구축되는 5G 기지국의 특성을 활용해 SA에서는 관련기관 협의와 시스템 개발을 거쳐 올해 연말부터 보다 정교한 재난문자 서비스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LTE 기지국 기반의 재난문자는 불필요한 인근 지역의 정보까지 수신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SA에서는 위치한 지역의 재난문자만 제공해 이용자 불편을 줄이고, 효과적인 재난상황 전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분명 더 advanced 된 방식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이긴 합니다.
5G 망 품질에 대한 개선은 통신사에서 주도 할 일입니다. 다만 자급제 단말 사용자는 매년 늘고 있습니다. KT망을 쓰는 자급제 단말 한에서 이 옵션을 사용할수 있으면 그래도 일부 사용자 한에서는 이용 경험이 향상 될 수 있을거 같아서 문의드렸습니다 :)
가능한거랑 안하는건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이런 유의미한 이용 경험의 차이가 다른 통신사의 SA 지원을 더 푸시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KT향 단말을 사용했을때 저도 늘 SA모드를 키고 다녔고 연결면에서 이슈는 없었습니다.
물론 저의 사용 환경이 과반수 이용자를 대변하지 못할수도 있겠지만 아예 지원을 안하는거랑 사용자 옵션으로 두는데에는 차이가 있을거 같습니다.
원활한 환경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삼성 갤럭시S20+ 단말로 SA와 NSA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비교 시험한 결과, SA(13시간 38분)는 NSA(12시간 32분)보다 최대 1시간 6분(8.8%)을 더 오래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LTE에 비해 촘촘하게 구축되는 5G 기지국의 특성을 활용해 SA에서는 관련기관 협의와 시스템 개발을 거쳐 올해 연말부터 보다 정교한 재난문자 서비스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LTE 기지국 기반의 재난문자는 불필요한 인근 지역의 정보까지 수신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SA에서는 위치한 지역의 재난문자만 제공해 이용자 불편을 줄이고, 효과적인 재난상황 전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분명 더 advanced 된 방식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이긴 합니다.
5G 망 품질에 대한 개선은 통신사에서 주도 할 일입니다. 다만 자급제 단말 사용자는 매년 늘고 있습니다. KT망을 쓰는 자급제 단말 한에서 이 옵션을 사용할수 있으면 그래도 일부 사용자 한에서는 이용 경험이 향상 될 수 있을거 같아서 문의드렸습니다 :)
가능한거랑 안하는건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이런 유의미한 이용 경험의 차이가 다른 통신사의 SA 지원을 더 푸시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파란토끼ll종원
★★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16-2023 12:57 PM - 편집 02-16-2023 01:00 PM
갤럭시 S
참.. 오랜만에 좋은 댓글을 보는 것 같습니다.
SiriusA님이 실제로 사용해보신 경험이 있으셨군요.. 다행히 품질면에서는 이슈가 없으셨던 것 같고.. 배터리 타임은.. 어떠셨나요?체감할 정도였는지? SiriusA님의 실제 사용 경험담이나 데이터(배터리 타임의 체감이라던지..) 함께 문의글과 올라왔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
맞습니다.. 말씀처럼 SA방식이 더 나은 방식일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SA로 가야하고.. 더 나아가서 6G, 그이상으로 가야하겠지요.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답변에 언급해주신 내용은..
'원활한 환경에서는'이라는 강력한 전제조건이 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아시다시피 일부 대도시 지역을 제외한 많은 곳에서는 '원활하지 못한 환경'인 곳이 더 많은 상황이죠.. 관련해서 수시로 기사도 올라오고 있구요.. 😊
말씀처럼 자급제 사용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 SA모드가 오픈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KT를 제외한 타 통신사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기능이 있는데 지원이 되지 않는가? 문의할 수 있고, 항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T사용자의 경우에도 사는 지역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천차만별이겠지요.. 그에 따른 민원과 불만도.. 자급제 기기 보급대수만큼이나 증가하지 않을까요?
가능한 걸 안한다기보다는.. 이런 저런 이유들로 우선 순위가 좀 많이 뒷쪽에 있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멤버스만 봐도 당장에 쏟아지는 오류와 개선관련 대처를 하는데도.. 꽤나 오래 걸리고 있으니까요.. 개발하고 대처하는 사람을 늘리면 되겠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무한정 인원을 늘릴 수도 없는 일일테구요.. 😊
SiriusA님 같은 사용자들 한사람 한사람의 문의와 요청이 유의미한 것 역시 맞습니다. 그리고 중요합니다.
하지만 조금더 유의미한 경험이 되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왜 이런 질문을 하게 되었는가?도 글 속에 담아주시면 더 좋은 질문, 더 좋은 요청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팍!팍! 제대로 푸시하셔서.. 빠른 시일내에 자급제 기기에서도 SA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
SiriusA님이 실제로 사용해보신 경험이 있으셨군요.. 다행히 품질면에서는 이슈가 없으셨던 것 같고.. 배터리 타임은.. 어떠셨나요?체감할 정도였는지? SiriusA님의 실제 사용 경험담이나 데이터(배터리 타임의 체감이라던지..) 함께 문의글과 올라왔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
맞습니다.. 말씀처럼 SA방식이 더 나은 방식일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SA로 가야하고.. 더 나아가서 6G, 그이상으로 가야하겠지요.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답변에 언급해주신 내용은..
'원활한 환경에서는'이라는 강력한 전제조건이 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아시다시피 일부 대도시 지역을 제외한 많은 곳에서는 '원활하지 못한 환경'인 곳이 더 많은 상황이죠.. 관련해서 수시로 기사도 올라오고 있구요.. 😊
말씀처럼 자급제 사용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 SA모드가 오픈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KT를 제외한 타 통신사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기능이 있는데 지원이 되지 않는가? 문의할 수 있고, 항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T사용자의 경우에도 사는 지역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천차만별이겠지요.. 그에 따른 민원과 불만도.. 자급제 기기 보급대수만큼이나 증가하지 않을까요?
가능한 걸 안한다기보다는.. 이런 저런 이유들로 우선 순위가 좀 많이 뒷쪽에 있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멤버스만 봐도 당장에 쏟아지는 오류와 개선관련 대처를 하는데도.. 꽤나 오래 걸리고 있으니까요.. 개발하고 대처하는 사람을 늘리면 되겠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무한정 인원을 늘릴 수도 없는 일일테구요.. 😊
SiriusA님 같은 사용자들 한사람 한사람의 문의와 요청이 유의미한 것 역시 맞습니다. 그리고 중요합니다.
하지만 조금더 유의미한 경험이 되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왜 이런 질문을 하게 되었는가?도 글 속에 담아주시면 더 좋은 질문, 더 좋은 요청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팍!팍! 제대로 푸시하셔서.. 빠른 시일내에 자급제 기기에서도 SA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