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이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4-2024 10:41 AM - 편집 10-04-2024 10:55 AM
갤럭시 S
안녕하세요. 이미 지난달에 요청했던 내용이나 아직 개선이 없어서 재차 요청 드립니다. One UI 6.1.1로 업데이트 되면서 생긴 엑스퍼트 로우(expert raw)로 촬영한 로우(dng)파일의 편집에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저는 갤럭시 s24 울트라를 사용하며 평소 사진을 엑스퍼트 로우로 찍은 후 갤러리앱에서 바로 보정하여 사용합니다. One UI 6.1.1로 업데이트 하기 전까지는 이 부분이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었는데 업데이트 후 새로운 옵션이 생기면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처음 expert raw로 찍은 dng 파일 촬영일시 4월
위의 사진처럼 expert raw로 dng파일 사진 촬영을 한 후 연필모양의 편집 아이콘을 눌러 보정을 진행하면 jpg로 찍었을 때보다 보정할 때 보정 관용도가 높아서 제가 원하는 방향대로 편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지금껏 그렇게 사용해왔습니다. 이 사진에선 꽃의 색감을 살리면서도 해질녘의 구름의 모습도 같이 표현하게끔 보정을 진행할 생각입니다.
dng파일을 갤러리 앱에서 보정하여 jpg로 완성한 사진 4월
그렇게 원본 dng 파일을 갤러리앱 연필모양 편집아이콘을 눌러 보정을 진행한 사진입니다. 제가 원하는 방향대로 꽃의 색감을 살리면서도 구름의 디테일도 살아나게 보정을 완료하였습니다. 이 사진은 2024년 4월에 찍고 보정한 것으로 당시에 갤러리앱에서만 이렇게 보정이 가능했고 어도비 라이트룸에 dng파일을 보정하려하니 구름의 디테일이 뭉개져 삼성에 개선을 요청했던 상황입니다.
One UI 업데이트 후 dng파일 편집시 뜨는 화면
그런데 최근 One UI 6.1.1 업데이트 후 dng파일을 보정하려 연필모양 아이콘을 누르니 이런 모드가 새로 생깁니다. 하이라이트와 그림자를 먼저 편집해야하며 이 모드를 원하던 원하지 않던 반드시 통과해야만 다음 편집을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문제는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구름의 디테일이 완전히 깨져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편집을 시도해 볼 수도 없게 되었습니다.
One UI 업데이트 후 dng파일을 보정한 사진 10월
그렇게 저 과정을 통과하여 최선을 다해 보정을 한 사진입니다. 제가 원하던 구름의 모습은 완전히 사라져 있고 사진을 찍었을 때 의도했던 편집을 전혀 할 수 없게 바뀌어 버렸습니다.
이 문의를 지난 달에 드렸을 때 담당자님의 답변이 업데이트 되면서 raw 이미지 기반으로 편집하므로 갤러리에서 보이던 색감과는 다를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expert raw로 찍으면서 적용된 보정이 반영되지 않는 것 같은데 그럴 것이면 expert raw를 사용할 이유가 있을까요? 업데이트 되면서 새롭게 적용된 raw 에디터로 보정했을 때 더 잘 편집되는 사진들이 분명히 있습니다만 제가 예시로 보여드렸던 사진처럼 특히 구름의 디테일이 갤러리에서 보이던 모습과는 완전히 다르게 보이는 것들이 다수 있습니다. 이렇게 강제로 raw 에디터에 진입하는 것은 기존의 기능을 잘 쓰던 사람들에겐 불편한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제가 제안드리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One UI 6.1.1 업데이트 후 새로 생긴 raw 에디터 옵션에서 일반 에디터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아이콘을 만들어 raw 에디터 안할 수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기.
2. 예전처럼 dng파일에서 연필모양 아이콘 누르면 일반 에디터로 들어가게 만들고 raw 에디터로 진입하는 것은 새로운 옵션으로 만들기.
이번 업데이트로 인해 기존에 잘 쓰던 기능을 못쓰게 되어 당장에 사진을 제대로 찍을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빠른 개선을 요청합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아이폰 15 프로에서는 이 기능들이 정상 사용가능 상태라 그냥 사진을 아이폰으로 찍을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부디 기존에 너무나도 잘 사용하고 있는 기능들이 없어지지 않도록 계속해서 삼성제품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p.s 이미 해당 사진과 다른 사진들 같이 오류보내기로 보냈습니다. 답변을 몇주째 기다리는 중인데 해당 내용 또한 빠른 검토 바랍니다.
8 댓글
현이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2-2024 12:57 AM ·
갤럭시 S
엑스퍼트 로우에 대해서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유저들 또한 여러 의견들을 제시하는 줄 압니다.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제목-삼성-s24-ultra-프로-모드에서-실제-raw-지원-문제/td-p/29555259?src=Sha...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갤러리 앱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로 촬영한 dng파일의 모습이 실제인지 아니면 라이트룸이나 갤러리앱에 최근 추가된 raw에디터에서 보이는 dng파일의 모습이 실제인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바로 아래 댓글들을 참조해주십시오.)
만약 갤러리앱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고 촬영한 raw파일의 모습이 실제가 아니라 미리보기 이미지에 불과하다면 엑스퍼트 로우로 촬영하는 의미가 제겐 전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갤럭시 s 시리즈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유저이나 최근 몇년간은 사진 촬영을 위해 아이폰 프로 시리즈를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늘 삼성이 잘되길 바라는 마음이 크지만 아이폰을 직접 써보니 그 안에서 느끼는 아이폰만의 장점이 분명히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엑스퍼트 로우가 제대로 작동된다면 아이폰 사진과는 다른 독특한 갤럭시만의 장점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이 큽니다.
전문 포토그래퍼가 아닌 저같은 유저들이 쉽게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우리의 목소리를 무시하지 마시고 꼭 반영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제목-삼성-s24-ultra-프로-모드에서-실제-raw-지원-문제/td-p/29555259?src=Sha...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갤러리 앱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로 촬영한 dng파일의 모습이 실제인지 아니면 라이트룸이나 갤러리앱에 최근 추가된 raw에디터에서 보이는 dng파일의 모습이 실제인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바로 아래 댓글들을 참조해주십시오.)
만약 갤러리앱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고 촬영한 raw파일의 모습이 실제가 아니라 미리보기 이미지에 불과하다면 엑스퍼트 로우로 촬영하는 의미가 제겐 전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갤럭시 s 시리즈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유저이나 최근 몇년간은 사진 촬영을 위해 아이폰 프로 시리즈를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늘 삼성이 잘되길 바라는 마음이 크지만 아이폰을 직접 써보니 그 안에서 느끼는 아이폰만의 장점이 분명히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엑스퍼트 로우가 제대로 작동된다면 아이폰 사진과는 다른 독특한 갤럭시만의 장점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이 큽니다.
전문 포토그래퍼가 아닌 저같은 유저들이 쉽게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우리의 목소리를 무시하지 마시고 꼭 반영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바나나플러스
Expert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4-2024 12:24 PM - 편집 10-04-2024 03:54 PM
갤럭시 S
개인적으로 raw 사용을 대중성에 굳이 집중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raw 파일을 본다는 거 자체가 RAW 데이터를 미리보기로 캡쳐된 이미지 파일에 불과하고 그 역시 좋아하는 분들이 계시고 그 선택권한을 남겨 놓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들 들더라고요.
바뀐 컨셉을 바꾸기 싫다면 추출 모드라도 있으면 좋을듯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새로 도입된 RAW 편집 모드가 Raw 데이터를 불러온다는 면은 좋지만 아직 일부 영역에서는 최적화가 필요해서 당장 실사용에 적합하다는 생각은 안 들더라고요.
분명 최적화라고 개발 의도를 전달하시지만
편집 제공 범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초기값을 가지고 있거든요
작성 준비중인게 몇개 있습니다만 암튼 일부 공감하여 댓글과 추천 남겨요.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raw 파일을 본다는 거 자체가 RAW 데이터를 미리보기로 캡쳐된 이미지 파일에 불과하고 그 역시 좋아하는 분들이 계시고 그 선택권한을 남겨 놓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들 들더라고요.
바뀐 컨셉을 바꾸기 싫다면 추출 모드라도 있으면 좋을듯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새로 도입된 RAW 편집 모드가 Raw 데이터를 불러온다는 면은 좋지만 아직 일부 영역에서는 최적화가 필요해서 당장 실사용에 적합하다는 생각은 안 들더라고요.
분명 최적화라고 개발 의도를 전달하시지만
편집 제공 범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초기값을 가지고 있거든요
작성 준비중인게 몇개 있습니다만 암튼 일부 공감하여 댓글과 추천 남겨요.
현이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2-2024 12:46 AM - 편집 10-12-2024 12:47 AM
갤럭시 S
댓글 감사합니다.
expert raw로 촬영한 사진을 갤러리에서 보면 제가 의도한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참 좋았고 그 상태에서 갤러리 편집 후 바로 사용할 때가 참 많은데 그 갤러리에서 볼 때 나오는 dng파일이 그저 raw미리보기 캡쳐 이미지란 말씀이신거죠?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엑스퍼트-로우-expert-raw-로-촬영하고-raw파일을-라이트룸에서-보정해보려는데-뭔가-이상합니다-카...
이전에 엑스퍼트 로우로 찍은 raw 사진을 갤러리에서 라이트룸앱으로 불러오면 사진 화질이 현저히 떨어지게 나오는 것 또한 실상은 갤러리에서 보여지는 이미지가 진짜가 아니라 라이트룸에서 불러왔을 때 나오는 raw파일 모습이 실제인건가요?
이번에 갤러리에 신기능으로 나온 raw에디터 또한 라이트룸에서 불러왔을 때처럼 구름의 디테일이나 사진의 의도가 제가 찍었을 때랑 현저히 다르더라구요.
만약 raw에디터나 라이트룸에서 보여지는 raw파일의 모습이 실제라면 굳이 엑스퍼트 로우로 번거롭게 촬영하고 보정할 의미가 제겐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갤러리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로 찍은 dng파일이 실제라면 그리고 그 상태에서 편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제게 아주 큰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해당 이슈에 대해 정리하면서 끊임없이 엑스퍼트 로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시는 외국인 분도 봤고 제 글의 여러 댓글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제목-삼성-s24-ultra-프로-모드에서-실제-raw-지원-문제/td-p/29555259?src=Sha...
저는 스마트폰으로만 촬영을 하기 때문에 아이폰 15프로도 가지고 있고 삼성이 이 부분을 해결해주지 않는다면 그냥 아이폰으로 raw파일을 촬영하여 아이폰 앱에서 편집을 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이폰 사진 앱에서 raw파일을 보정하면 꽤나 디테일하게 편집이 가능합니다.)
관심 가지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expert raw로 촬영한 사진을 갤러리에서 보면 제가 의도한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참 좋았고 그 상태에서 갤러리 편집 후 바로 사용할 때가 참 많은데 그 갤러리에서 볼 때 나오는 dng파일이 그저 raw미리보기 캡쳐 이미지란 말씀이신거죠?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엑스퍼트-로우-expert-raw-로-촬영하고-raw파일을-라이트룸에서-보정해보려는데-뭔가-이상합니다-카...
이전에 엑스퍼트 로우로 찍은 raw 사진을 갤러리에서 라이트룸앱으로 불러오면 사진 화질이 현저히 떨어지게 나오는 것 또한 실상은 갤러리에서 보여지는 이미지가 진짜가 아니라 라이트룸에서 불러왔을 때 나오는 raw파일 모습이 실제인건가요?
이번에 갤러리에 신기능으로 나온 raw에디터 또한 라이트룸에서 불러왔을 때처럼 구름의 디테일이나 사진의 의도가 제가 찍었을 때랑 현저히 다르더라구요.
만약 raw에디터나 라이트룸에서 보여지는 raw파일의 모습이 실제라면 굳이 엑스퍼트 로우로 번거롭게 촬영하고 보정할 의미가 제겐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갤러리에서 보이는 엑스퍼트 로우로 찍은 dng파일이 실제라면 그리고 그 상태에서 편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제게 아주 큰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해당 이슈에 대해 정리하면서 끊임없이 엑스퍼트 로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시는 외국인 분도 봤고 제 글의 여러 댓글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제목-삼성-s24-ultra-프로-모드에서-실제-raw-지원-문제/td-p/29555259?src=Sha...
저는 스마트폰으로만 촬영을 하기 때문에 아이폰 15프로도 가지고 있고 삼성이 이 부분을 해결해주지 않는다면 그냥 아이폰으로 raw파일을 촬영하여 아이폰 앱에서 편집을 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이폰 사진 앱에서 raw파일을 보정하면 꽤나 디테일하게 편집이 가능합니다.)
관심 가지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나나플러스
Expert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2-2024 08:40 AM - 편집 10-13-2024 08:04 PM
갤럭시 S
저는 전문가도 아니고 갤럭시 카메라를 통해 사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용자임을 전제로 봐주세요
일단 대화에 혼선을 줄이기 위한 정의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RAW - 카메라(하드웨어)로 부터 저장되는 포맷
DNG - adobe 사의 편집용 포맷
RAW는 카메라로부터 얻은 모든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며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구조입니다.
별도의 xmp 파일도 필요하고요. 시스템 자원도 요구하며 느린 포맷입니다.
adobe에서 이런 불편함을 개선한 포맷 과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게 dng 라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Raw 파일은 원본(원시) 파일이다” 라고 말하는 부분에 이런 기본 정의는 갖고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갤럭시는 dng 포멧을 사용합니다. 아마도 메뉴에 RAW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일반 사용자에게 혼선을 주는 게 아닌가 싶은데 이걸 또 풀어서 하나씩 다 설명하기도 애매하여 사용된다고 느껴지네요.
두 포맷의 차이는 이렇고 질문의 내용에 답변 하겠습니다.
이제부터 편의상 dng 파일을 raw 로 표현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raw 원본을 보고 싶다는 거죠?
그런데 아쉽게도 raw 원본을 본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raw는 촬영 시 환경에 모든 데이터를 갖고 있는 데이터 파일입니다.
갤러리 raw 편집, 라이트룸, pc에서 사용 가능한 편집 툴 모두 raw 사진이 갖고 있는 데이터 중 일부를 캡쳐한
미리보기 파일을 우리가 보게 되는 거죠.
말씀하신 내용 중 이전에 봤던 이미지들은 마음에 들었다는건 이런 기본 이미지가 마음에 들었다고 표현하시는거 같습니다.
당연히 마음에 들수있는거고요.
여기서 일반 jpg 파일과 raw 파일의 차이는 jpg는 사용자가 소비하는 사진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최소한의 정보만
남기고 압축하는 경량화 된 이미지 파일이고
raw는 보여지기 위한 정보 이외 촬영 당시에 담고 있는 많은 빛 정보를 추가로 더 가지고 있는 파일이거든요
이건 편집 할 수 있는 영역이 더 폭넓은 파일이지 이걸 모두 이미지 뷰어로 표출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뷰어마다 보이는 첫 이미지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의 아쉬운 점은 첫 이미지 호출은 다양하여 다를 수 있지만 일부 결과물에서 편집 영역이 소화할 수 없는 아쉬움이 보이더라고요.
두 번째 링크 답변입니다.
제가 플래그쉽을 s23 하반기부터 만지기 시작해서 이전 경험이 없습니다.
raw 관심을 갖고 정보를 찾다 보니 이전까지는 비압축 파일로 제공되었고 s23 어느 시점부터 압축 컨테이너를 jpeg xl 도입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아마 이때부터 raw 파일이 일부 영역의 정보가 부족한 현상을 지목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exiftool 을 사용해서 파일을 들여다보면 일반 프로 촬영(JPEG), Expert Raw(JPEG XL)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꾸준히 나오는 이야기 중 주요 내용은 압축 컨테이너 도입 후 이전보다 별로라는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거 같아요.
그렇지만 용량과 이미지 품질의 타협점을 찾기 위해 더 많이 사용될 듯 보이네요
이번 아이폰 16부터 jpeg xl 이 도입된거 같더라고요 다만 사용자가 jpeg 무손실, jpeg xl- 무손실, jpeg xl - 손실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갤럭시에 압축 컨테이너를 거치치 않는 선택지를 제공해줬으면 싶더라고요.
댓글로 더 많은 내용을 디테일하게 다루기 어렵지만 이정도 내용이면 선택에 있어 어느정도 정보가 되지 않을까 싶어 남겨요 😂
일단 대화에 혼선을 줄이기 위한 정의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RAW - 카메라(하드웨어)로 부터 저장되는 포맷
DNG - adobe 사의 편집용 포맷
RAW는 카메라로부터 얻은 모든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며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구조입니다.
별도의 xmp 파일도 필요하고요. 시스템 자원도 요구하며 느린 포맷입니다.
adobe에서 이런 불편함을 개선한 포맷 과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게 dng 라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Raw 파일은 원본(원시) 파일이다” 라고 말하는 부분에 이런 기본 정의는 갖고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갤럭시는 dng 포멧을 사용합니다. 아마도 메뉴에 RAW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일반 사용자에게 혼선을 주는 게 아닌가 싶은데 이걸 또 풀어서 하나씩 다 설명하기도 애매하여 사용된다고 느껴지네요.
두 포맷의 차이는 이렇고 질문의 내용에 답변 하겠습니다.
이제부터 편의상 dng 파일을 raw 로 표현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raw 원본을 보고 싶다는 거죠?
그런데 아쉽게도 raw 원본을 본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raw는 촬영 시 환경에 모든 데이터를 갖고 있는 데이터 파일입니다.
갤러리 raw 편집, 라이트룸, pc에서 사용 가능한 편집 툴 모두 raw 사진이 갖고 있는 데이터 중 일부를 캡쳐한
미리보기 파일을 우리가 보게 되는 거죠.
말씀하신 내용 중 이전에 봤던 이미지들은 마음에 들었다는건 이런 기본 이미지가 마음에 들었다고 표현하시는거 같습니다.
당연히 마음에 들수있는거고요.
여기서 일반 jpg 파일과 raw 파일의 차이는 jpg는 사용자가 소비하는 사진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최소한의 정보만
남기고 압축하는 경량화 된 이미지 파일이고
raw는 보여지기 위한 정보 이외 촬영 당시에 담고 있는 많은 빛 정보를 추가로 더 가지고 있는 파일이거든요
이건 편집 할 수 있는 영역이 더 폭넓은 파일이지 이걸 모두 이미지 뷰어로 표출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뷰어마다 보이는 첫 이미지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의 아쉬운 점은 첫 이미지 호출은 다양하여 다를 수 있지만 일부 결과물에서 편집 영역이 소화할 수 없는 아쉬움이 보이더라고요.
두 번째 링크 답변입니다.
제가 플래그쉽을 s23 하반기부터 만지기 시작해서 이전 경험이 없습니다.
raw 관심을 갖고 정보를 찾다 보니 이전까지는 비압축 파일로 제공되었고 s23 어느 시점부터 압축 컨테이너를 jpeg xl 도입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아마 이때부터 raw 파일이 일부 영역의 정보가 부족한 현상을 지목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exiftool 을 사용해서 파일을 들여다보면 일반 프로 촬영(JPEG), Expert Raw(JPEG XL)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꾸준히 나오는 이야기 중 주요 내용은 압축 컨테이너 도입 후 이전보다 별로라는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거 같아요.
그렇지만 용량과 이미지 품질의 타협점을 찾기 위해 더 많이 사용될 듯 보이네요
이번 아이폰 16부터 jpeg xl 이 도입된거 같더라고요 다만 사용자가 jpeg 무손실, jpeg xl- 무손실, jpeg xl - 손실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갤럭시에 압축 컨테이너를 거치치 않는 선택지를 제공해줬으면 싶더라고요.
댓글로 더 많은 내용을 디테일하게 다루기 어렵지만 이정도 내용이면 선택에 있어 어느정도 정보가 되지 않을까 싶어 남겨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