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해결됨! 해결됨

제목:

2023올해도 웬지 기대 안되게 하는 삼성 갤럭시

(게시글 작성 시간: 01-05-2023 12:04 PM)
2123 보기
전지충이
Active Level 9
옵션
갤럭시 S
S23시리즈 이미 알려진 정보들 보아하니 기본모델부터 플러스모델에도 
또 개선도 고작 몇개 안되고 전작 갤럭시 S22시리즈 모두 역대 최악의 폰처럼 그대로인 부분을 말하자면

1.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미탑재
이거 2021년도 S21시리즈부터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제거된 문제부터 2022 지난해에도 다른 여러 사용자들과 내가 글에도 몇번이나 넣어달라고 개선 건의 했는데 묵살 되었고 S23시리즈에도 뻔하게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혹은 마이크로 SD카드 하위 호환까지 되는 UFS카드 슬롯 어느것도 탑재하지 않음. 은근히 마이크로 SD사용자들 많은데 
삼성 신형 마이크로 SD출시 많이했으면서 삼성 생태계를 삼성전자 MX사업부가 스스로 셀프 단절ㅋㅋㅋㅋㅋ올해도 또 구매 안하고싶게 만드네요


2. S23 기본 모델, S23플러스 모델은 전작과 동일하게 물리램 8GB램 또 재탕으로 우려먹는 쪼잔한짓과 APU 시스템 리소스만 과도하게 사용되어 잡아먹고 느려터진 내장메모리로 강제 가상램으로 떼우는 쓰레기 같은악순환 반복!!! 
대만,일본, 중국 제조사들은 이전부터 12GB 물리램이 평균이었고 대만 ASUS 로그폰, 중국 제조사들 포함 플래그쉽 최상위 모델은 물리램 16GB 인데다 최상위 모델에 한해서 한정판 모델에는 LPDDR5 속도 계량된 버전의 램메모리 18GB 물리램은 최상위 모델의 한정판 모델에 한해서 2년전부터 있었음. S20시리즈 3종 모델 모듀 균등하게 12GB 만도 못한 S21시리즈부터 S22시리즈, S23시리즈에서도 삼성 갤럭시 폰만 겨우 최상위 울트라 모델에서만 12GB 물리램 찔끔 넣는 평균 하향 수준 물리램ㅋㅋㅋㅋㅋㅋㅋㅋ 
삼성전자 MX사업부 니들이 무슨 아이폰 IOS인줄 아냐
안드로이드는 소프트웨어 램메모리 압축 기술도 없고 램 사용방식도 다르고 처절하게 아이폰에게 발렸던것도 수치

설령 S23 시리즈에 신형 UFS 4.0 규격의 내장메모리 탑재한다하여도 아무리 신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좋아져도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램플러스(가상램)로 용량 설정된 만큼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기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 수명 영향을 끼치기도하고 느린 로딩속도로 물리램에게 처리 속도와 안정성과 실제 실용적인 물리램 한테는 상대도 안됩니다. 즉. 가상램 높아바야 비지떡이고 실제 탑재된 하드웨어 물리램 용량이 높을수록 여러모로 장점이자 더 좋다는거죠

그리고 S23시리즈에 신형 LPDDR5X 8GB 물리 램메모리 탑재하여도 이전 세대인 LPDDR5 비해 처리 속도 좀 더 빨라진다는것과 전력 소모는 어느정도 줄어든다라는것 이외에는 물리램 용량 자체는 2023년도 안드로이드 플래그쉽 모델에 한해서 치곤 안드로이드OS는 램 사용량이 앱도 그렇고 갈수록 최신버전 OS와 최신버전 앱업데이트 실제 램 잡아먹는 램 사용 점유율은 올라갈수밖에 없고요. 특히 타제조사들 보다 램메모리 점유율 많이 잡아먹는 One UI는 5버전 포함한 버전 올라갈수록 더 램 잡아먹는 사용량 점점 높아지는것도 고려하면 갤럭시폰은 안드로이드 타제조사들 폰에 비해 물리램 매우 낮은 편으로 최악이고 거기다가 규모있는 해외판 갤럭시폰에 비해 국내 내수용 모델은 팀킬 이라는 억지 명분으로 억지로 너프한게 구매 하락 요인도 제공. 이미 해외판 모델들은 이미 팀킬이다!! 이건 뭐 내로남불이냐 
LPDDR5X 불안정한 수율 문제와 LPDDR5X 초기 램이니 뿔딱 불량 피하는 뽑기 운에 맞겨야하는 현실이 될 가능성도ㅋㅋ 언제부터 삼성이 고의적으로 가전제품이든 모바일 갤럭시 제품이든 검수로 걸러내는 페기해야할 불량 부품에 뿔딱 부품 집어넣는걸로 악명 높은건도 문제ㅋㅋㅋㅋ

물리램 용량은 갤럭시S 기본모델, 플러스 모델에 중급기 스펙 마냥 물리램 8GB 재탕에 램플러스(가상램) 떼워먹기식이고 LPDDR5 규격이든 LPDDR5X 규격이든 둘중에 하나라도 어쨌든 차라리 2022~2023년 기준 갤럭시S 신제품에 기본모델에 물리램 12GB / 플러스 모델에 물리램 12GB / 최상위 울트라에는 물리램 16GB 라도 탑재 했더라면 납득되는 급차이로 불만은 사라지고 비판과 비난 사그라 들었을듯.. 플래그쉽 모델에 마이크로 SD슬롯 없는것도 메트리 떨어지고 자꾸 출시될때마다 S20시리즈까지 실용성 장점있었던게 계속 장점이 하나둘씩 빠지는 플래그쉽 답지 않는 원가절감 심하게 들어간 제품으로만 고의적으로 
S22시리즈 전작과 내부 별 큰 차이 없는 상태의 원가절감만 심하게 해버리는것만 내놓으면 S23시리즈는 올해도 소비자로서 거르고 패싱할수밖에

그럴거면 하반기에 뭔가 기대되는 아이폰 15 시리즈로 구매하거나 돈 더보태서 TSMC 3나노 A17칩 탑재 유력시 되는 15프로, 15프로맥스 모델 가는게 현명하겠다. 
무조건 안드로이드OS를 꼭 써야한다면 순정 안드로이드OS인 올해 픽셀8 시리즈


3. 여러 사용자들이 갤럭시S 진동 모듈 및 내장 스피커 개선 요청에 대해서도 묵살되었음.
하만인가 머시기인가 인수한거 묵혀둬서 어디다 대체 언제 써먹을려고!? 이것도 간당간당하게 AKG 이어폰 종류 꼴랑 내놓고 끝!?
A라인은 뭐 중저가형이라 스피커 그렇다쳐도 플래그쉽 바형 메인 모델인 갤럭시S 진동 모듈과 스피커를 개선하고 좋은걸 넣어줘야 맞는데 타제조사들 대비 너무 개선 의지 없고 원가절감 궁리만 해먹는데만 있고 좋은 스피커 품질 넣어줄 의지는 이미 실종


4. S23시리즈에도 GOS 시즌은 2023에도 계속~!? 
두고 봐야겠죠ㅋㅋ

기존에 AP 발열 가장 적고 전성비 좋은 스냅드래곤778G 탑재된 A라인 중급기 A52s, 하위모델 S20FE 포함한 플래그쉽 S20 시리즈 포함 갤럭시 모든 제품에 강제 원격 GOS 적용으로 삼성 럭시 제품을 얼간이 상태로 만들어버리는 GOS

2022년도 일부 해외 국가들에만 출시하고 국내 내수에는 미출시한 갤럭시 A73 모델의 AP는 스냅드래곤 778G이라 A52s에서 개선된 대화면 모델로 불리었지만 그러나..일부 카메라 망원 빠지면서 카메라는 약간 너프,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 탑재가 아닌 A라인 상다수 중국산 싸구려 부품 사용이 늘어난데다 A73에는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BOE디스플레이 탑재였던게 불편한 진실이자 계륵인것도 있고

이 상당수 플래그쉽 부품 포함한 플래그쉽 모델들과 갤럭시 전체적으로 평균 스펙 하향 문제의 노태문 사장 체제로 비롯되어 삼성 갤럭시플래그쉽 모델들에 모든 심한 원가절감을 포함한 GOS 문제를 노태문 사장의 허울뿐인 거짓말과 비겁한 핑계로 가득하다ㅋㅋ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소비자들이 GOS를 원한다는 희대의 망언과 전세계 소비자들과 업계의 비웃음거리로 전락되어버렸다ㅋㅋㅋ GOS 논란과 그외 여러가지 문제 논란으로 전세계 소비자들의 갤럭시 제품 외면으로 불매와 함께 2022년도 갤럭시마져도 매출도 큰하락으로 이어진게 펙트ㅋㅋㅋ 2022년도 전체 애플 아이폰 매출 제외한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들은 삼성전자 포함하여 모두 매출 동반 하락 이미 알려진 펙트

2022 하반기 출시되었던 Z폴더블4, Z플립4 포함 삼성전자 영업이익 69% 하락 

나도 Z폴드 시리즈는 기대도 안되고 접는 폴더블폰은 관심밖이라 패스

삼성전자 GOS 덕분에 포켓몬 고오스가 웃습니다ㅋㅋㅋㅋㅋㅋ포켓몬스터에 얼간이 포켓몬 야돈이 있다면ㅋㅋㅋ
삼성 플래그쉽 모델에 갤럭시S시리즈에 원가절감만 심하게 주구장창하면서 메모리 가격은 많이 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물리램 재탕 우려먹고 장점이 사라질때로 사라진 얼간이 제품이된 갤럭시폰이 있다ㅋㅋㅋ

갤럭시 원가절감으로 잘팔리지도 않는 상태로 산업폐기물들만 양산하는 모양세나 다름 없어보이고
준플래그쉽 A7x, A8x, A9x 중에 국내시장에는 어느것 하나도 출시 안하는 답답함과 중저가 모델은 A라인이면 충분할것인데 중구난방식으로 이상하게 꼬인 문어발식 라인으로 M라인, F라인만 늘리고 일관성도 없는데다 A라인모델은 똑같은 모델인데도 일관성 없게도 해외판과 비교하여 스펙 차별이 너무 심한 국내시장 포함하여 전세계 갤럭시 플래그쉽 모든 모델을 포함한 안드로이드 진영은 플래그쉽 모델은 점유율 자체가 애플 아이폰에게 상대도 안되게 매우 처참히 낮으며 갤럭시는 세계시장에서 A라인에 한해 A12 같은 A3x, A5x이하 낮은 넘버 보급형 중저가형 모델에 한해만 어느정도 잘팔리는 현실ㅋㅋ 

그냥 폴더블폰 포함한 모든 플래그쉽 제품 생산 중단 및 철수하고 한국 내수 포함한 전세계에서 A12같은 저가형 모델이나 갤럭시 역대 중급기 중에서는 역대 최고의 A52s 같은 판매율 최고 레전드 찍은 중급기까지만 팔던지!!! 그러면 전세계 판매율과 잔세계 점유율은 유지 하겠네! 
갤럭시 플래그쉽 모델 구매하는 소비자들 마져 점차 줄어들고 이대로 가다가는 MX사업부 사장 체제 교체 안하면 갤럭시도 언제가는 과거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들 비슷하게 팬택/SKY, LG MC사업부 처럼 역사속으로 사라져가겠지요
 




2 답변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아구삼성
Active Level 7
갤럭시 S
ㅇㄱㄹㅇ 폰 처음사도 램용량 절반 시스템이 냠냠굿하고있고
A,M,F,퀀텀,점프 난잡한 보급기 라인업으로 한대라도 더 팔아먹으려는건 보기에 안좋음.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카메라비기너스
Active Level 10
갤럭시 S
이번에도 점점 기대치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좀 흠잡을 정도 없는 갤럭시가 나오면 좋겠지만요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20 댓글
편한삼성
Active Level 7
갤럭시 S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링크 글 안봐도 압니다. 노사장 체제 S21시리즈부터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빠지고 거짓 친환경 이중잣대와 애플따라해야할 다른 좋은 기능 제공은 안따라하고 따라하지 말아야하는 번들 충전기, 번들 투명 젤리케이스, 번들 유선 이어폰까지 기본 구성품에 빼버렸고 유선 이어폰은 사용자에 따라 취향이 다른 부분과 부담되는 유명한 AKG 유선 이어폰인 만큼 구성되는 출고가 인상 문제 영향을 받을수 있는 부분 생각하면 100번 양보해서 번들 유선 이어폰 뺀건 이해한다쳐도 초기 새제품 구매 기기로 데이터 이동 및 배터리 방전 대비하여 배터리 충전 중요한 기본 번들 충전기마져 빼버린건 애플처럼 심한거였고요.
서로 다른 타제조사들 폰 사용자들이 넘어올때 충전기 별도로 구매해야하는 이부분은 번거러운 부분과 이중지출 문제도 있죠

2019년 하반기 갤럭시 노트10 시리즈땐 3.5mm 이어폰 단자 애플 따라하듯이 뒤꽁무늬 쫒아가듯이 빼더니 그러면 최소한 그래도 3.5mm to Usb-c젠더라도 한번은 기본 구성품에 동봉하여 넣어줬야하는데 이마져도 기본 구성품에 안넣어줬죠.

갤럭시는 2022 지난해부터 출시 모델에 이유가 어쨌든 디스플레이 필름 미부착한 상태로 출시로 논란 문제 있었죠. 필름 붙여 나오는것 또한 장점이었는데요 출시할수록 장점인 하드웨어 부품 기능을 원가절감 심하게 빼고 빼고 또 빼고 안드로이드 타제조사들에 비해 갤럭시는 이미 플래그쉽 스펙도 밀린지 오래이고 매 메트리도 사라져가고 별반 차이없어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아이폰으로 넘어갈까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결과적으로도 삼성전자 MX사업부가 스스로 전세계 소비자들 갤럭시 플래그쉽 제품 등돌리게 해놓았으니까요. 플래그쉽 스펙 사양과 부품 옵션 맞게 벨런스 균형 맞게 소비자들에게 구매하기 좋게 제대로된 바형 플래그쉽 갤럭시폰 나오면 좋겠는데 A라인 마져 2021 하반기 A52s 중급기 국내 흥행 최다 판매와 A52s 중급기 치곤 스냅778G 전성비와 성능 유지력 호평 흥행 이후로는 2022지난해 중급기는 되레 AP부터 스냅드래곤778G 성능, 성능유지력에 비비지 못한 엑시노스 하향 평준화되는 너프였고요. TSMC 4나노 생산된 오버쿨럭된 스냅드래곤8 Gen 2가 실제로 출시되는 S23시리즈 실물기기에 A15칩의 싱글코어 근접하여 비비거나 A16에 GPU와 비비게 잘나온다 해도 하반기에 출시할 아이폰 15시리즈 4종 모두 C타입 적용여부와 15프로 모델에 TSMC 3나노 A17탑재 이거면 성능면에선 게임 끝이겠죠. 실제 성능유지력까지 전작 A16대비 더 좋다면 퍼펙트요
SM-S921N
Active Level 7
갤럭시 S
환경때문이라면서 오히려 환경에 나쁩니다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그러게요. 애플 언행불일치 친환경이 아닌 가짜 친환경 쇼로 어설프게 따라하다 장점 메트리 잃은 삼성전자MX사업부 언행불일치 기업들 이윤만 쏙 챙기면서 오히려 환경만 더욱 악화시키는 반복되는 악순환
채택된 답변
아구삼성
Active Level 7
갤럭시 S
ㅇㄱㄹㅇ 폰 처음사도 램용량 절반 시스템이 냠냠굿하고있고
A,M,F,퀀텀,점프 난잡한 보급기 라인업으로 한대라도 더 팔아먹으려는건 보기에 안좋음.
채택된 답변
카메라비기너스
Active Level 10
갤럭시 S
이번에도 점점 기대치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좀 흠잡을 정도 없는 갤럭시가 나오면 좋겠지만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마이크로 SD카드 미사용자에겐 해당 사항 관련 없겠죠. 삼성 한정판 모델 겨우 512GB~ 1TB 겨우 한정판 모델에서만 그치는것에 비해 그런데 타제조사 기본 옵션으로 용량 선택과는 다르게 삼성 갤럭시는 아직도 일반 구매는 256GB 내장메모리 용량 고정인데다 마이크로 SD슬롯 빠진거면 장점인 외장 용량 확장을 못하는 불편함이 있는것도 사실이고요
탄수화물
Active Level 6
갤럭시 S
일부단점을 해결하기위해 아예 태블릿으로 넘어가는것도 방법입니다
스마트폰은 CMC용으로 굴리면 되고 나머진 태블릿으로 하는겁니다Screenshot_20230105-134010_Chrome.jpg
0 좋아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말해주신 그방법도 있긴한데 그방법이 생각 안해본건 아니라서요. 그런데 테블릿은 스마트폰 보다 큰화면과 배터리 용량이 큰 장점들도 있지만 휴대성과 무게 비교하면 스마트폰에 비해 떨어지긴한점도 있어서요. 테블릿 유저는 아니지만요. 2021년도 출시된 캘탭S7 시리즈 중에 플러스 모델 제외한 7기본 모델과 7F는 삼성 디스플레이도 아닌데다 LCD도 재팬디스플레이나 샤프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에 비해서도 품질 못미치는 LCD 품질 떨어지는 중국 기업 CSOT 디스플레이 탑재로 오줌 액정으로 악명 높더군요. 터치 불량 품질 문제도 있고 가성비 좋다는 갤탭 8시리즈는 S22시리즈 처럼 스냅드래곤8Gen1 칩셋 발열, 전성비 문제와 안좋고 GOS로 인한 성능저하 있는데다 여전히 오줌액정 악명 높고.. 지난해 하반기 출고가 인상해버린데다 할인폭도 크지도 않는편인데다 그가격이면 좀더보태서 마이크로 SD카드 사용하지 않는 테블릿PC 사용자라면 넘사벽 괴수급 깡 성능 M칩셋 탑재된 아이패드 시리즈 중에 사는게 좋을 정도더라구요
탄수화물
Active Level 6
갤럭시 S
터치불량은 용서 못하지만 그외에는 나에겐 큰의미가 없는 문제점입니다

1.디스플레이품질측면에서 오히려 LCD를 선호(품질무관 100~200ppi만 뽑아주면 됩니다)
(OLED가 안좋다는게 아니라 번인때문에 장점 다말아먹습니다)

2.성능문제는 어차피 8gen1을 다는 못씁니다 절전모드걸어도 다못쓸걸요?
따라서 발열문제는 어느정도 해결가능합니다
(돌리는 소프트웨어따라 엑시노스9611도 다 못씁니다)

3.휴대성은 11인치 500g까지는 휴대할만합니다 오히려
기존의 6인치대 200g 스마트폰이 작아서 문제였으니...

4.좀더 보태서 M칩셋 아이페드 말씀하시는데 보태야하는 양이 70~80만원입니다
체감범위를 넘어선 성능을 위해 70~80만원을 투자하는건 어려울듯 합니다Screenshot_20230105-134301_Chrome.jpg
0 좋아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1. 저도 그점은 알고있습니다 현재에도 OLED 종특 번인 생각하면 차라리 LCD선호 할수밖에 없는거 공감이죠. 그런데 문제는 LCD 중에 LG전자 LCD, 재팬 디스플레이, 샤프 디스플레이도 아닌 품질 떨어지는 중국 CSOT 기업이라 문제요. 여긴 중국 BOE 보다 더 떨어지는것 같은데.. 이미 갤탭 7시리즈부터 중국 CSOT 탑재 포함 갤탭 오줌 액정 악명 높은것도 상당히 아쉽죠

2. GOS 생각하면 게임 안해도 성능저하로 인해 뭘 하든 일반앱 사용에도 갈수록 느려지는 갤럭시 버버벅이죠. 성능 남아도는것과 GOS로 인한 강제 성능 저하는 차이가 메우 크고 다르니까요. 갤탭 이라고 GOS 예외는 아니니까요. 삼성 갤탭은 지난해 하반기 인상해버린데다 할인폭도 적고 애플은 그래도 해외 구매 할인 폭이라도 더 들어가죠. 이전 세대들 포함 제품별 가격 차이는 있지만요

3.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는 있으면 좋죠. 그런데 테블릿에서도 마이크로SD카드 슬롯 있는것도 좋지만 휴대성이 편한 스마트폰에 있으면 더 좋죠. 휴대성이 스마트폰이 편하니까요

일단 1,2,3번을 떠나서 어쨋든 갤탭마져도 내부 부품 조합 벨런스 아쉬운점 및 문제 보면 빡치더군요 . 갤탭7기본 모델은 스냅865 쓸만한데 하필 품질 떨어지늨 중국 CSOT 디스플레이인데다 왜 하필 터치 문제라니...
특히 가성비 좋은 갤탭 7FE 와이파이 모델도 중국 CSOT 디스플레이인것과 해외판은 8램까지 출시했면서 국내판은 고작 4램/ 6램에 그치는 역시나 내수차별.. A52s에 탑재된 동일한 칩셋인 안드 칩셋 중급기 전성비 괴물 스냅778G인데도 120hz 주사율도 지원하지 않는 아쉬운면이요. LCD라고 해서 120hz 주사율 못넣은것도 아니고요
0 좋아요
탄수화물
Active Level 6
갤럭시 S
그 GOS로 강제제한걸린후의 성능조차 다못씁니다
디스플레이주사율도 60HZ면 됩니다
색재현력도 신경안쓰는편입니다
렉도 무거운 소프트웨어가 아닌이상 크게 체감을 못합니다
요즘나오는 전지기기는 내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성능을 보급기 수준에서 이미 넘어섰습니다
0 좋아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9
갤럭시 S
S20FE, A52s 디스플레이 품질 생각나서 LCD 탑재된 구형 아이폰7,8 보다 더떨어지는 수준의 색재현력 암부 최악이라서요. 갤탭 7FE는 S20FE, A52s 보다는 색재현력 암부는 나은건지 궁금합니다. 갤탭7 FE하고는 디스플레이 품질 암부 직접 비교는 보질않아서요
A52s 하고 S20 FE 두모델 디스플레이 암부 비교는 보았었지만요

주사율도 뭐 영상시청목적이거나 일반 사용이라면 60hz 사용 고집이라면 60hz도 무난하죠. 120hz 장점도 있지만 120hz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 증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양면성은 있지만요. 일단 갤탭은 테블릿 pc니까요. 요즘 웬만하면 게임용 테스크탑pc 게임용 모니터 에서는 120hz, 144hz 인데다 갤탭 보다 가격 저렴한 A52s에서 지원하는데도 120hz 선호 사용 여부를 떠나서 갤탭 7FE에서 120hz 지원과 미지원 차이는 그래도 있어서요. 갤탭은 배터리 용량도 A52s 보다 당연히 테블릿 크기상 커서 120hz 지원을 했다하면 좋았을텐데 아쉬운면이 남아서요.

고사양 모바일 게임용 목적이다면 닥 아이폰, 아이패드겠지만 영상이나 일반 여러 기능 사용에선 갤탭이 다양한 기능적인면에서는 장점은 그래도 있으니까요
끾연
Active Level 3
갤럭시 S
ㄹㅇ ios보다 딸리면 램이라도 많이 넣던가 진동도 구려 스피커도 구려 s22+ 사전예약까지 해서 샀던 과거를 지워버리고싶음 ㅋㅋㅋㅋㅋ
카메라 실행시킬때도 버벅이고 그나마 애플에 비교우위였던 sd카드슬롯도 왜 없앴는지 의문
진짜 구데기폰 부숴버리고싶다 크롬으로 뉴스보는데도 버벅이는 구데기폰!!
keskra
Active Level 3
갤럭시 S
s21 s22 microsd 없어서 계속 s20 울트라로 버티는데 다음에는 인정하고 폴드 대용량으로 가야 할 것 같습니다
갤럭시 S
램은 좀 너무하긴 했어요. 12기가는 넣어줬어야지. 다들 아이폰 ㄱㄱ
SM-S921N
Active Level 7
갤럭시 S
근데 지금 생각해보면 보급형은 SD넣어주면서 플래그십은 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