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1-28-2024 11:59 AM - 편집 11-28-2024 01:19 PM
갤럭시 S9월에 배포된 One UI 6.1(.1) 업데이트 후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이 켜져 있더라도 오히려 One UI 5 또는 그 이전처럼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토글 설정 변경이 다시 가능해졌습니다.
갤럭시 S와 탭 모두에서 발견한 증상입니다.
S24 11월 업데이트 (XK4), 보안 위험 자동 차단 버전 1.1.00.32에서도 여전히 발생합니다.
이전에는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이 켜져 있는 경우 아래 영상처럼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메뉴에 진입 시 토스트 메시지와 함께 설정 변경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나 9월 배포된 One UI 6.1(.1) 업데이트 이후로는 오히려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이 존재하지 않았던 과거와 같이 토스트 팝업이 뜨지 않고, 영상에는 담지 않았지만 토글 On/Off도 도로 가능해져버렸습니다. 아래 동영상의 보안 위험 자동 차단 버전은 1.1.00.25이지만 1.1.00.32에서도 동일합니다.
메시지 앱 설정 메뉴에서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으로 인해 일부 설정 변경이 막힌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그리고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을 '최대'로 했을 경우 기기 관리자 앱도 차단된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정작 기기 관리자 설정에 들어가면 위 메시지 앱 설정과 달리 별다른 변화가 없는데 이 또한 기능 미구현인지 정상적인 현상인지 문의 드립니다.
또 하나 문의 드릴 게 있습니다.
해외판 S24, 그리고 국내판 Z4 시리즈는 11월 업데이트가 월초에 이루어졌었고 이때 보안 위험 자동 차단을 최대 설정 시에 '충전을 제외한 모든 USB 연결 차단 기능'이 추가되었던데 국내판 S24, S23, 탭 S시리즈와는 보안 위험 자동 차단 버전이 또 다른 상황인가요?
국내판 S24 시리즈에는 기타 보안 설정에 '잠금 상태에서 USB 연결 차단' 기능만 추가 되었고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과 무관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버전의 경우 버그 패치가 이루어져 본문과 달리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허용' 설정 변경이 다시 비활성화되도록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1-28-2024 01:41 PM ·
갤럭시 SOne UI 6.1.1 (갤럭시 S24 기준 XH7) 버전에서 발생하는 보안 관련 설정 문제와 관련된 문의를 주셨네요. 특히,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설정 변경이 비활성화되지 않는 문제, 그리고 **'보안 위험 자동 차단'**과 관련된 불일치 문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문제 분석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설정 비활성화되지 않음:
- 기존 One UI 6.1 이전 버전에서는 '보안 위험 자동 차단'이 켜져 있을 경우,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메뉴에 진입하면 토스트 메시지와 함께 설정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제한되었습니다. 그러나 9월 배포된 One UI 6.1(.1) 업데이트 이후, 이 기능이 변경되었으며 토스트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고 설정 변경이 가능해졌습니다.
- 이는 One UI 6.1 이후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과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메뉴의 동작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로 보입니다. 해당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설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야 하는 기능이 유저에게 해제 가능하도록 되었습니다.
기기 관리자 차단 기능 미작동:
- 기기 관리자 차단 기능에 대해선,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을 최대로 해놨을 경우에 차단이 된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실제로 기기 관리자 설정에서는 변화가 없다는 점도 지적하셨습니다. 이는 기능 미구현 혹은 소프트웨어 버그일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One UI의 보안 시스템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았거나, 설정에 따라 일부 기능이 제한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USB 연결 차단 기능의 지역 차이:
- 국내판 S24와 해외판 S24에서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에 대한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해외판 S24에서는 '충전을 제외한 모든 USB 연결 차단'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국내판 S24와 국내판 Z4 시리즈에서는 **'잠금 상태에서 USB 연결 차단'**만 제공되는 상황입니다. 이는 국내판과 해외판의 기능 차이나 지역별로 다른 업데이트가 적용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예상되는 해결책 및 대응 방안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설정의 비활성화:
- 이 문제는 소프트웨어 버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당 문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즉, One UI 6.1.1 버전의 추가 패치가 제공될 때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안 관련 설정이 갤럭시 기기와 구글/삼성의 보안 정책에 맞춰 제대로 동기화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확인해보세요. 또한, 고객 지원을 통해 이 문제를 보고하고 버그 패치를 기다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기 관리자 차단 기능:
- 기기 관리자 차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는 기기 관리자 앱의 제어 권한과 관련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기기 관리자 설정에 대한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차단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도 향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 방안: 기기 관리자 앱을 재설정하거나, One UI 6.1.1의 업데이트를 확인하여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개선된 버전을 기다려야 합니다.
USB 연결 차단 기능 지역 차이:
- 국내판과 해외판 기기의 차이는 지역별 소프트웨어 차이로 인한 것입니다.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과 관련된 기능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국내판 기기에서는 USB 연결 차단 기능이 잠금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국내의 보안 규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지역별 기능 차이에 대해서는 삼성 지원팀에 문의하여, 국내판 S24에서 해당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를 보고하고, 향후 업데이트에서 개선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현재 발생하고 있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설정 변경 문제와 기기 관리자 차단 기능 미작동, USB 연결 차단 기능 지역 차이는 소프트웨어 버그나 지역별 차이로 인한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삼성 고객 지원에 문의하여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보고하고, 향후 패치를 기다리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추가적으로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관련 기능은 기기 보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므로, 해당 기능의 동작을 제대로 확인하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2-02-2024 10:18 AM ·
갤럭시 S안녕하세요, 고객님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고객님의 문의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기타 보안 설정 >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메뉴의 설정 상태와 관계 없이,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은 모든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를 차단합니다. 이에 따라, 해당 메뉴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정책이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이 사용중일 때,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과 함께 사용자 안내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2.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기타 보안 설정 > 기기 관리자 앱 메뉴는 휴대폰에 설치된 기기 관리자 앱들을 보여줍니다.
보안 위험 자동 차단 > 최대 제한 기능은 기기 관리자 앱이 신규 활성화 되는 것을 차단합니다. 현재, 최대 제한 기능이 사용중일 때, 미사용중인 기기 관리자 앱의 신규 실행(스위치 켜기 후 실행 버튼 누르기) 차단과 함께 사용자 안내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3. 보안 위험 자동 차단 > 최대 제한 기능에 포함되었던 USB 연결 차단 기능은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기타 보안 설정 > 잠금 상태에서 USB 연결 차단 기능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의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