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S22 방열설계

(게시글 작성 시간: 04-29-2022 12:12 PM)
1865 보기
옵션
갤럭시 S

image
베이퍼 챔버 + 흑연패드


image

디스플레이 쪽 베이퍼 챔버 및 흑연 패드


image
디스플레이 방열판

디스플레이로 열 방출하는식

오직 전면 베이퍼 챔버만 보이는 사진으로

원가 절감했다며 중국폰들과 비교하는 사진들이 돌아다니는데

S22+, S22U의 VC 크기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애초에 칩이 뜨거우면 팬리스 쿨링에서 일정 크기-성능 이상의 방열판을 어떤 걸 쓰든 비슷합니다.

일례로 샤오미12는 더 큰 VC를 쓰는데도 발열이 미쳤죠. 당연히 아예 없거나 작으면 문제가 있습니다 )

 

여기에 얼마전에 나온 구리 - 스테인리스 원가 절감 논란까지 더해져 설계도 엉망, 발열도 문제라고 돌아다녔습니다.

 

이것도 사실은 S22U에 탑재된 공정이 더 난이도가 높고 비쌉니다.

(스댕 VC 가 구리 VC보다 더 얇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냉매가 더 들어갑니다. 추가로 특수소재까지 개발해서 넣었더군요.)

 

VC- 기기 절반 크기의 흑연 패드 - 기기 전체 크기의 방열판까지 쿨링 솔루션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문제는 저렇게 설계해놓고도 희대의 뻘짓 GOS를 넣은 것과,

S22 일반 모델은 겨우 아이폰급 방열 설계를 해놓았다는 것이죠.

 

AP가 정상적이라면 S22, 아이폰과 같이 흑연패드를 이용한 쿨링이면 충분한데

그렇지가 않으니 일반 모델은 난리가 났습니다.

S22 플러스와 울트라는 방열 설계가 잘 되어 있습니다. - 모바일 / 스마트 - 기글하드웨어 : https://gigglehd.com/gg/?mid=mobile&document_srl=11874592

 

해당 사이트 에서 가져왔습니다 

GOS 는 문제지만 방열 설계는 잘한거 같습니다

6 댓글
리스트레토948
Expert Level 5
갤럭시 S

제가 이거 이야기 했다가 비난을 어마무시하게 받았죠 😅

사람들이 달랑 한장 그것도 욕 먹기 딱 좋게 생긴 사진 하나만 올려 놓고 쪼막만한 막대기 하나로 쿨링 대충하고 넘어갔다는 식으로 이야기 하길래 아니라고, 뜯어보면 더 나오고 디스플레이 뒷면에는 아예 그냥 다 발라놨다 라고 이야기 했는데, 삼성 편든다는 식으로.....

플러스 모델과 울트라 모델 발열 설계 자체는 매우 착실하게 잘 해 놓은 게 맞습니다. 기본형은 더 넣을 공간 자체가 없지 않았을까 싶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아쉬운 건 사실이고요.

저는 플러스 모델을 사용한지 한 달 정도 됐는데 4.1 선탑재 상태여서 그랬던 건지 모르겠지만, 매우 쾌적하고 현재까지도 업데이트 직후 제외하고는 특별히 발열이 극심하거나 막 부담된다고 느껴본 적이 없네요.

GOS의 경우에도, 최소한의 상황 고려 없이 막무가내식 성능 제한으로 욕을 바가지로 먹고, 결국 이런 패턴을 풀어놨는데, GOS 자체는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스냅8 Gen 1 탑재한 폰들 발열 상태를 보면 진짜 대책 없어요.....

갤럭시 S
칩셋이 문제죠 뭐....
대박을향해
Active Level 5
갤럭시 S
문제있는 칩셋을 쓰는 회사가 문제. 더문제는 발열하나 제어못하는 폰을 찬양하는 님같은 겔빠들 ㅋㅋ
Mashimaro75
Expert Level 1
갤럭시 S
개별 부품 능력은 좋은나 시스템 통합 능력 부족하다는 내용으로 이해하고 갑니다.
0 좋아요
연어꼬리
Active Level 10
갤럭시 S
문제는 방열설계를 잘해놔도 칩 부위만 뜨거워질뿐 열이 전도되서 식어야하는데 전도가 안되
Mashimaro75
Expert Level 1
갤럭시 S
적외선 온도 측정해보면 베이퍼챔버 형상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입니다. 잘 분산되지가 않아요. 게다가 방열 종착역이 OLED 구리박판 깔린데입니다. OLED도 방열해줘야 하는데 두군데서 막 나버리면 OLED 수명도 떨어질 가능성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