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해결됨! 해결됨

제목:

SW 번인 보정을 도입해주시기 바랍니다.

(게시글 작성 시간: 09-28-2022 03:30 PM)
5615 보기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옵션
갤럭시 S
갤럭시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나타나는 번인은 영구적인 현상, LCD의 일시적으로 생기는 잔상과 근본적으로 다르니 이를 막아 보고자 다크 모드도 사용해보고 수동으로 밝기를 낮춰 보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간단히 추려 봤습니다.

1. 다크 모드: OLED는 백라이트의 존재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방식이기에 특정 소자 부분만 꺼서 완벽한 블랙을 구현 할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켜져 있는 소자 부분을 최대한 줄여 소자 수명 낭비를 줄이고, 전력 소모도 같이 줄여보자!"는 의견이 등장했고 다크 모드가 급속히 확대되었습니다.(눈 부심 방지 목적도 있긴 있습니다...)

●한계
-Google 기본 앱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앱을 사용해보신 분들이라면 모두 아시겠지만 기본 제공되는 다크 테마가 완전한 블랙이 아니라는 점을 겪어 보셨을 겁니다. 완전한 블랙이 아니다=소자가 켜진다 는 의미이기에 번인면에서 큰 효과를 볼수가 없으며, 전력 소모면에서도 큰 효과까지는 보기 어렵습니다.
-번인의 비대칭도 문제가 됩니다. 다크 모드를 사용해도 일반적으로 색상이 표현되는 영역은 여전히 번인에 취약한 대상이 되고 이는 결국 '부분' 번인이라는 문제점을 불러옵니다.

2. 밝기 낮추기: 효과가 있긴 하지만 시인성이 좋지 못해지며, 수동으로 때마다 밝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소자 수명 단축이 이루어 지는것 같지만 그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점!

3. 상단바&하단바 등의 고정 표시 부분 숨기기: 권장하고 싶을 정도로 효과가 큰 방법입니다. OLED는 정지된 이미지를 장시간 유지시 해당 부분만 소자 수명 단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막는 확실한 해결책이니까요.

4. 성능 제한을 걸어 발열 제어: 고정된 화면 말고도 OLED는 발열에 굉장히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번인이 싫으신 분들은 써멀 가디언에서 온도 제한 값을 최소로 낮추시는걸 권장합니다.





■제조사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
사실 글을 작성한 가장 큰 이유 입니다. 
삼성은 이미 S8 이후 기종부터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면 번인 보정을 SW를 통해 해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뿐입니다.
평소 일정이 많아 바쁘거나 가까운 곳에 서비스 센터가 없더라도 시간을 내서 패널 교체도 아닌 SW 보정 하나 받으러 센터까지 가야됩니다. 유저 입장에서는 굉장히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죠.

타사는 이미 관련 특허를 오래전에 내고, OLED를 처음 적용한 기종부터 SW적인 번인 보정을 기기 자체에서 항시 이루어지도록 제작하였습니다.
image

한데 삼성은 SW 보정 하나 하려고 서비스 센터까지 가야한다? 
갤럭시 S부터 AMOLED를 주력으로 사용하며 번인에 대한 이해와 대책이 가장 많이 축적 되었어야 할 업체가 왜 아직도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드웨어 적으로 구현 가능하다면 기존 기기들에도 업데이트 형태로 항시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현이 되기를 바라며 차기작은 반드시 기기 내에서 번인 보정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부정적인 이야기만 했지만 좋은 점도 당연히 있습니다. 서비스 센터를 가서 보정을 받게 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대한 점검을 받을 수 있어 몰랐던 고장을 발견 한다는 장점도 있죠.
하지만 연세가 많으신 분들이나 디스플레이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스마트폰이 고장 난줄 알고 수리비가 많이 나올까봐 무조건 새폰을 사는 경우도 많이 본 입장에서 SW 보정의 기기 내장은 꼭 필요합니다.




최초라는 타이틀은 기술 부족한 중국 업체도 동작만 되게라도 구현하여 가져갑니다. 소비자는 최초 타이틀에 관심 없고 완성도 높은 기기를 원합니다.

환경 보호라는 기업의 의무적인 관점에서도 패널 교체가 많아질수록 폐기물이 늘어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최초가 중요한 과거의 '기술의 삼성' 타이틀에서 벗어나 기술의 상향 표준화 시대인 현재는 안정성의 삼성이 되기를 바랍니다.

3 답변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아이폰 처럼 배터리 수명 이것도 도입이나 해주지 이런것도 안해주는데 해줄리가요
A52s는 안드로이드11부터 램플러스 강제 적용에 이후 안드로이드12에서 물리램 용량 너프 시켜서 S21시리즈부터 S22 기본 모델과 S22플러스 모델에도 8GB 물리램 꼴 수준에 갤럭시 모든 모델에 물리 램 보다 느린 내장메모리 사용하는 램플러스(가상램) 도 강제적용으로 멍청하게 만들어놔서 처리 속도와 메모리 수명 영향에 미치고 결국 혹 달아놓은 꼴같은 개떡이죠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맞습니다. 램 관리 방식 문제가 있는게 사실이죠. 안드로이드 램관리 방식 공통이긴하지만 삼성 빼곤 물리램은 플래그쉽부터 준플래그쉽, 중급기에도 물리램을 상향해서 올려주는데 말이죠. ASUS 로그폰6 기본모델 8GB/12GB,/16GB, 로그폰6 Pro 18GB 물리램, 로그폰6D Ultimate 최상위 모델처럼 S23울트라 최상위 모델에 16GB, 18GB 처럼 갤럭시 바형 플래그쉽 S시리즈에 물리램 넣어줄것도 아니면서 S22시리즈 기본 모델과 플러스 모델은 8GB 재탕에 울트라 모델은 12GB 겨우 우려먹는 간당간당한 램이면서 무리한 원가절감으로 가상램으로 한심하게 떼우고 있고요. 작년에 제가 램플러스 끄기 관련 건의 글과 함께 램플러스 문제점 관련 내용 길게 남기긴했습니다. 아직도 램플러스 끄기(비활성화) 없는게 삼성 뭐하는지..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램-플러스-가상-램-켜기-끄기-옵션-설정-추가-제안-합니다/td-p/14461131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애플 아이폰 처럼 환경 설정 안에서 배터리 옵션에 실제 배터리 효율 %로 볼수 있으면 좋겠어요. (배터리 잔량 표시 말하는건 아님) 삼성 갤럭시는 삼성 서비스센터 가서 AS 기사를 통해서만 자체 프로그램으로 배터리 효율 볼수 있어서 이점 답답하더라구요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18 댓글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선택권을 주는게 맞지만 A사 사례를 보면 최대 밝기만 아주 조금씩 떨어지지 색 표현 능력은 거의 유지되던데 사용자가 왜 손해라는건지 이해가 가지는 않네요. 제가 말하는 보정은 A사 유저들이 보정이 있는 줄도 모르듯이 자연스러운 보정을 말하는 겁니다. 빨간색이 자주색으로 보이는 그런 보정 말하는게 아니에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대체 번인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보정을 넣고 본다는건 어디 출처의 사실이죠?
보정은 육안상 관찰 가능할 정도로 특정 소자의 광량이 낮아졌을때 해당 부분에 맞춰 밝기를 조절하여 같이 표현하거나 캘리브레이션을 맞춰 필요할때만 보정 들어가는 겁니다. 무턱대고 보정 해줄거면 벌써 A사 집단 소송났죠.

A사는 이 기술을 도입하기전까지 몇년간 테스트 하고 한겁니다.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그리고 AS 측면에서도 이미 삼성은 번인이 매우 심해서 보정이 안 되는 수준일 경우 SW 보정 서비스를 여러번 먼저 우선적으로 받는 정책입니다.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무조건 하향이라고 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어차피 번인 자체가 소자 수명 단축으로 밝기 자체가 낮아지는거라 보정 없어도 밝기 자체는 어두워집니다.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전혀 이해를 못하시는건 N20_U님 같은데요?

제가 언제 그렇게 극단적으로 감소시킨다고 했죠? 최대한 사용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동작하고 실제 통계를 봐도 조절값이 미미합니다.Screenshot_20220928-164521_YouTube.jpg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왜 GOS와 같나요? 그런 말대로면 기기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쓰로틀링 알고리즘도 사용자가 못 느낀다고 해서 괜찮은게 아니니 선택권 주고 기기 터지거나 화상 입으면 제조사가 다 보상해야겠네요?

기업은 이익 집단입니다. 비용 지출이 많을 상황이 생기면 절감을 시도하죠. GOS와 센터 SW 보정 정책도 그래서 등장한거고요.

선택권도 기업이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계산이 있을때 주는거지 함부로 주지는 않습니다.
0 좋아요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아이폰 처럼 배터리 수명 이것도 도입이나 해주지 이런것도 안해주는데 해줄리가요
A52s는 안드로이드11부터 램플러스 강제 적용에 이후 안드로이드12에서 물리램 용량 너프 시켜서 S21시리즈부터 S22 기본 모델과 S22플러스 모델에도 8GB 물리램 꼴 수준에 갤럭시 모든 모델에 물리 램 보다 느린 내장메모리 사용하는 램플러스(가상램) 도 강제적용으로 멍청하게 만들어놔서 처리 속도와 메모리 수명 영향에 미치고 결국 혹 달아놓은 꼴같은 개떡이죠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램 플러스 이전에 램 관리 방식부터 문제가 있습니다. 예전 자료이긴 하지만 보면
"삼성은 VNSwap이라는 가상 메모리 기술을 오래 전 부터 사용해 왔다. 이 기술은 부족한 RAM 공간을 스토리지 일부 영역으로 대체하면서 50%까지 압축할 수 있어 RAM 용량이 부족한 안드로이드 기기의 멀티태스킹 능력을 향상시켜 왔다고 한다.
덕분에 부족한 RAM 용량으로도 덩치 큰 앱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됐지만 가용 RAM 용량만 늘어났을 뿐 리프레시 현상은 과거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갤럭시S8에서 발견된 리프레시 현상은 메모리 용량이 부족해 발생했다기 보다는 메모리 부족이 확인되면 발동하는 OOM Killer나 Low memory killer에 대한 셋팅 차이가 불러온 결과로 판단된다.
과거 루팅으로 통해 커널 셋팅을 변경한 사용자들이 VNSWap 대신 Z-RAM을 사용해 효과를 봤다는 글도 있는 걸 보면 VNSWap 문제도 의심이 되지만 Kill 셋팅을 타이트하게 잡은 것이 원인이 아닐까 한다.
LG G6에는 하이브리드 SWAP이라 불리는 듀얼 구조의 ZRAM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G6 내부 구조를 확인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ZRAM0과 ZRAM1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Linux 메모리 관리 기능 중 하나인 Swap 기능을 동시에 2개 적용한 것이다.
특정 App 을 선택하여 메모리를 일정 부분 압축 하거나 일반적인 시스템 전체 메모리 중 일부를 압축하는 2가지를 혼합하는 방식이라서 일반 사용자들이 느끼는 멀티태스킹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동시에 더 많은 앱을 살려둘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삼성이 덩치만 키우는 방식으로 해법을 모색했다면 LG는 더 많은 앱을 살리기 위해 접근 자체를 달리 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러한 차이가 AP 성능을 역주행시킨 LG G6의 멀티태스킹 능력을 만들어 내지 않았나 생각한다."
라고 나와 있는데 이 말대로라면 결국 없어도 될 RAM 플러스까지 추가로 도입하여 실제로는 RAM+VNSwap+RAM Plus 구조로 메모리가 관리된다는 건데 왜 이렇게 비효율 적인 램 관리 방식을 쓰는지 이해 하기 어려워요. 압축률을 높여서 물리램에서 최대한 효율을 높여야지 무조건 가상 메모리만 갖다 쓰다니...(사람들 인식이 값이 크면 가상이고 뭐고 그냥 무조건 좋다는게 강해서 그런것 같기도 합니다.)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맞습니다. 램 관리 방식 문제가 있는게 사실이죠. 안드로이드 램관리 방식 공통이긴하지만 삼성 빼곤 물리램은 플래그쉽부터 준플래그쉽, 중급기에도 물리램을 상향해서 올려주는데 말이죠. ASUS 로그폰6 기본모델 8GB/12GB,/16GB, 로그폰6 Pro 18GB 물리램, 로그폰6D Ultimate 최상위 모델처럼 S23울트라 최상위 모델에 16GB, 18GB 처럼 갤럭시 바형 플래그쉽 S시리즈에 물리램 넣어줄것도 아니면서 S22시리즈 기본 모델과 플러스 모델은 8GB 재탕에 울트라 모델은 12GB 겨우 우려먹는 간당간당한 램이면서 무리한 원가절감으로 가상램으로 한심하게 떼우고 있고요. 작년에 제가 램플러스 끄기 관련 건의 글과 함께 램플러스 문제점 관련 내용 길게 남기긴했습니다. 아직도 램플러스 끄기(비활성화) 없는게 삼성 뭐하는지..

https://r1.community.samsung.com/t5/갤럭시-s/램-플러스-가상-램-켜기-끄기-옵션-설정-추가-제안-합니다/td-p/14461131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One UI 5에는 램 플러스 끄는걸 넣어 준다고는 하는데 과연 램 플러스를 끄는 옵션만 만들어줄지 아니면 근본적인 성능 개선도 이루어지는지가 관건이네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아이폰 배터리 수명 보호도 대충보면 갤럭시의 배터리 보호나 다를것이 없지만 자세히 보면 단순히 충전 제한을 거는걸 벗어나 사용자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천천히 아침시간에는 100% 채워주니 이런게 바로 사용자를 배려한 세심한 기능이라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충전속도가 느리기에 마냥 좋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유선 고속충전 속도도 작년 출시한 ASUS 로그폰5 시리즈 부터 퀄컴 퀵 차지5 (65W)인데다 2018년 출시한 로그폰3 시리즈는 퀄컴 퀵차지 4 (30W) 말이죠..

중국 제조사들도 유선 고속충전 65W~ 그이상 넘는데 말이죠

삼성 갤럭시 바형 플래그쉽 모델에 2022년도 아직도 25W 수준에 머물고있어 대만, 중국 등 다른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들과 너무 비교되어지고요

내년에 S23시리즈도 25W수준으로 머물것이라는 루머는 있긴하더군요
채택된 답변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애플 아이폰 처럼 환경 설정 안에서 배터리 옵션에 실제 배터리 효율 %로 볼수 있으면 좋겠어요. (배터리 잔량 표시 말하는건 아님) 삼성 갤럭시는 삼성 서비스센터 가서 AS 기사를 통해서만 자체 프로그램으로 배터리 효율 볼수 있어서 이점 답답하더라구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공감합니다. LG는 히드메뉴 들어가면 배터리 싸이클 수치라도 보여줘서 대략적인 추산이 가능한데 삼성은 자가진단 돌리면 무조건 좋음, 나쁨으로 뜨니 언제 교체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까다롭죠. 기능 구현이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십오지는105G
Expert Level 1
갤럭시 S
기술이 없는 거겠죠. 애플의 경우는 번인보정이 들어가고서도 색정확도나 암부그라데이션 표현이 잘 망가지지 않는데, 삼성은 자연스러운 모드 기준 새 상품에서도 정확하질 않으니 번인보정까지 하기엔 무리가 있는것 같네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원가절감 차원에서 MX 사업부가 SD로부터 패널 공급 받을때 단가 엄청 후려친다고 들었습니다. SD 입장에서는 그나마 제값에 사가는 Apple에 더 좋은 패널을 공급해주지 단가 후려치는 자사에 수율 좋은 패널을 줄것 같지는 않네요.
센터 SW 보정 자체도 꽤 괜찮은거 같던데 돈 벌려고 기기 내장을 안하니...
십오지는105G
Expert Level 1
갤럭시 S
안타깝네요..
개인적인 사용체감으로는 LCD든 OLED든 같은종류의 디스플레이면 비슷한 세대 비교시 항상 애플쪽이 압도적으로 좋았습니다
초원밍밍
Active Level 3
갤럭시 S
정말 절대적으로 공감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얘기가 여기 있네요.
0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