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08-2024 04:18 PM - 편집 05-08-2024 08:07 PM
기타와이파이가 없는 차량 안이나 야외에 있을때 사용하게 되는 기능인모바일 핫스팟! 어떻게 설정하여 사용하고 계신가요?
OneUI 6.1 S24시리즈 기준으로 모바일 핫스팟 설정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모바일 핫스팟
모바일 핫스팟은 퀵패널의 토글 또는 설정에서 연결 메뉴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핫스팟 메뉴에 들어가면 네트워크이름과 비밀번호, 밴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과 핫스팟 자동실행 여부, 일회용 비밀번호 사용여부, 트래픽 우선처리 등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핫스팟 자동 실행의 경우 사용중인 기기와 동일한 삼성 계정에 로그인된 기기 혹은 가족 그룹으로 지정된 기기들에 한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가족 그리고 와이파이 전용 태블릿에 핫스팟을 공유할때 해당 기능이 켜져있다면 상당히 편합니다.
일회용 비밀번호는 일시적으로 핫스팟을 공유할때 임시로 연결할 수 있도록 1회용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실시간 트래픽 우선처리는 게임이나 영상통화등의 지연이 되면 안되는 작업 처리시 사용하는 기능으로 활성화시 실시간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게됩니다.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을 보면 네트워크 이름과 비밀번호는 물론밴드 /MAC 주소 유형 /자동 끄기 /숨겨진 네트워크 /Wi-Fi 6 스탠다드 지원 /관리프레임 보호 /절전모드 /Wi-Fi 공유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밴드의 경우2.4GHz /2.4GHz & 5GHz /5GHz 선호 /6GHz 선호 중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해당 설정은 기기에 따라 일부 옵션은 없을 수 있으며5GHz나6GHz 선호로 설정 시 성능이 좋지만 미지원 기기에서는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보안의 경우 공개 /Enhanced Open /WPA2-Personal /WPA2/WPA3-Personal /WPA3-Personal중에 선택이 가능하며 각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개 : 모든 기기가 연결되는 오픈상태를 말합니다.
Enhanced Open : OWE를 기반으로하는 공용네트워크의 WFA표준 보안으로 PW로 보호되지 않는 개방형 네트웤에 암호화를 제공 및 개인정보를 보호합니다.
(단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는 연결되지 않습니다.)
WPA2 :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보안방식으로 AES알고리즘을 활용한 보안을 제공합니다.
WPA3 : WPA2의 취약점을 보안한 방식으로 SAE알고리즘을 활용한 더 강력한 보안을 제공합니다.
중간에 WPA2/WPA3 방식은 WPA3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기기의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MAC 주소 유형은 크게랜덤 MAC / 기기 MAC 두가지가 있으며 집이 아닌 공공장소에서 핫스팟 사용시 랜덤 MAC 방식을 사용합니다.
자동 끄기는 핫스팟을 켰지만 연결된 기기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꺼주는 기능으로 시간 설정을 통해 깜빡하고 끄지 않았더라도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면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관리프레임 보호는 오래된 기기에서 핫스팟 연결을 제한하여 모바일 핫스팟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이며 구형기기를 연결할 때는 비활성화 해야합니다.
※ 빨간색으로 강조된 부분은 초기 핫스팟 설정의 기본값들입니다.
-□-■-□-■-□-■-□-■-□-
지금까지 모바일 핫스팟의 설정들을 살펴봤습니다.
저의 경우 대부분 디폴트 값으로 사용하며 밴드만 2.4GHz및5GHz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각 기능들을 살펴보시고 원하시는 설정을 하셔서 핫스팟을 사용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8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