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로스
Expert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2-31-2020 08:21 PM - 편집 03-10-2021 11:56 AM
기타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충전 파트 마지막 부 입니다.
충전할 때 어떤 것들을 조심해야 배터리도 오래 가고 본인도 편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어쩌면 꽤나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거에요.
---
너무나도 당연할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제조사들, 특히 전자제품 제조사들은 강하게 권장하고 있는 부분이에요.
우리가 밥 먹을 때를 예로 들어봅시다. 각 나라의 전통 음식은 그 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춰 개발되어 왔기에 대부분 입에 맞아 잘 먹을 수 있지만, 다른 나라의 음식을 가져다 놓으면 먹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있죠.
같은 원리에요. 사람이 밥을 먹는 것처럼 충전기도 디바이스에 전기를 공급해 배(터리)를 채워주는 건데, 이때 각각의 디바이스에 맞는 양을 일정한 속도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는게 가장 좋아요. 그게 바로 정품 충전기인 것이죠.
비정품 충전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충전이 안되거나 하진 않지만, 믿고 사용하긴 어렵죠.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제조사에서 만든 게 아닌 웬 이상한 충전기들도 많은데, 그 충전기들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출처가 불분명하니 괜히 불안해져요.
심지어 비정품 충전기를 사용하다가 문제가 일어나면 무상 수리가 불가하다고 못 박아놨으니…비정품을 사용할 이유가 더욱 없어질거에요.
--
사람들이 많이 오해하고 있는 것 중 하나입니다. 물론 전압이 너무 높거나 하면 좋지 않은 영향이 갈 순 있어요.
다만 제조사들은 그 모든 것들을 고려하면서도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개발합니다. 배터리 레벨에 따라 충전 속도도 조절하기 때문에 좋지않은 영향은 최대한 줄여주죠.
사용자 입장에서 걱정할 정도는 아니에요. 적절한 고속충전기 사용은 편리함을 제공해줍니다.
--
지난 글에서 잠시 언급했었던 저항으로 인한 손실전력 때문도 있습니다. 고속충전기의 경우 더 높은 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똑같은 시간에 더 많은 손실전력(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여기에 더해 충전하는 동안 디바이스를 사용할 경우 과부하가 발생해 배터리에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게임이나 영상 편집 등 부하가 높은 작업을 하면 충전과 동시에 배터리 소모도 함께 이뤄져 열이 발생할 수 있어요.
가만히 뒀을 때 발생하는 열은 제작 과정에서도 고려된 것이라 문제되지 않는 정상 현상입니다.
다만 충전 중 배터리 과부하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배터리에 결코 좋을 수가 없습니다. 충전 중에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건 가급적이면 피하는 것이 좋겠죠.
--
사실 세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충전기에선 고주파음이 발생합니다.
전력 회사에서 집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220V의 교류 전기입니다. 이제 충전을 하려면 직류로 바꿔야겠죠.
이때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는 기술을 이용합니다. 220V짜리 교류 전기를 쉽게 말해 껐다가 켰다가를 반복해 낮은 전압의 직류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이에요.
발열이 적고 크기가 작아 충전기에 많이 탑재하는데,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어요. 이 노이즈는 웬만해선 사람들에게 잘 들리지 않는 수준이에요. 거기에 더해 충전기에 따라서 노이즈를 어느정도 줄여주는 기능을 탑재한 경우도 있어요.
그러나 귀가 예민한 사람들에겐 어쩔 수 없이 들리기도 한답니다.
--
지난 글에서 설명했듯이 노트20의 25W PD 충전기는 일반충전 모델을 위한 5V 프로필도 존재합니다.
전압은 고정이더라도 전류는 디바이스가 받는 만큼만 받을 수 있다고 했죠? 따라서 5V/1A의 전력을 받는 S3를 아무 문제 없이 충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버즈 라이브 등의 웨어러블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걱정하지 말고 충전하셔도 문제 없어요.
--
하지만 S3의 충전기로 노트20을 충전하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단 충전은 가능합니다. 5V 프로필로도 충전은 가능하죠. 하지만 전류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5V/3A의 전력을 받아야 하는데 S3 충전기의 최대는 5V/1A밖에 안돼요. 본래 같은 시간에 3배 이상의 전류를 공급해야 정상인데 그게 불가하니 충전 시간은 더 길어지죠.
이러면 충전기에 무리가 옵니다. 발열이 발생하고, 충전기 고장의 우려가 커지죠. 주의하셔야 할 부분이에요.
--
충전은 디바이스의 컨디션에 따라 바뀝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는데, 발열과 배터리 보호.
디바이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 더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전력을 제공해요.. 또한 지속적으로 높은 전력을 제공할 경우 배터리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레벨(구간)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45W 충전기를 사용해 충전하더라도 70% 이상부터는 15W 충전기와 다를 바 없는 속도로 충전되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정상이죠.
참고로 90% 이상부터 거의 모든 디바이스들은 배터리를 최대한 완벽하게 충전하기 위해 전압을 4.7V 수준으로 제한합니다. 흔히 완속충전이라고 할 수 있어요.
--
배터리는 방전이 가장 치명적입니다. 배터리 수명을 깎는 지름길이죠. 방전되기 전에 충전을 하는 것이 좋아요.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건 40% 밑으로 내려가기 전에 충전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계신 것 2.
과거에 나온 전자제품이라면 이런 기능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래서 충전기에 장시간 연결해두면 배터리의 수명이 쫙쫙 깎여나갔죠.
하지만 2015년 이후 출시하는 모델들은 조금 다릅니다. 거의 모든 디바이스에 과충전을 방지하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적용했습니다.
이후에 꽤나 유명한 일이 있었던 탓에…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꼭 없애야 할 항목 중 하나로 과충전이 다시 떠올랐고, 이를 완벽히 방지하고자 PCM 기술을 확대 적용했어요.
그래서 현재 시중에 있는 디바이스 대부분은 100% 충전이 완료되면 디바이스 알아서 배터리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과충전 현상이 발생하기조차 힘든 환경이에요.
충전기 연결해놓고 주무셔도 아무 문제 없으니 편하게 쓰셔도 OK. 걱정 안하셔도 돼요.
--
충전 사이클, 충/방전 횟수라고 하죠.
이게 이름과 의미가 살짝 다른데요. 배터리 분량만큼을 1회 소모하면 사이클 1번이 누적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100%중에 70%를 사용하고 다시 100%까지 충전하고 30%를 사용하면 총합 100%를 사용했으니 1번 누적인겁니다.
(중간중간 충전 안하신다면 방전 발생할 때마다 누적된다고 보시면 편합니다.)
충전 1회, 방전 1회 시 사이클 2번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셔서 참고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
평상시에 사용하다가 꺼지면 아주 소량의 배터리를 남겨놓습니다. 덕분에 켜면 잠시나마 켜지죠.
하지만 초절전 모드를 이용하다가 꺼지면 다시 켜지지 않습니다. 있는 전기 없는 전기 다 끌어모아 써버리는게 초절전 모드다 보니 조금도 남기지 않고 다 써버리는 것이죠.
가능하면 초절전 모드를 사용하다 꺼지는 상황은 만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완전방전은 금물..!
--
보증 기간 내 배터리 무상 교체 기준입니다. 이는 일체형이 도입된 초기부터 동일한 기준으로 유지 중입니다.
사실 효율이 80% 밑으로 내려가도, 사이클이 500회를 넘어도 배터리 타임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듯 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배터리 교체 시점을 잊은 상태에서 보증 기간을 1달 넘겼는데, 슬슬 배터리가 죽여달라고 소리치기 시작했습니다. 방문해보니 배터리 효율 82%, 사이클 850회더라고요.
결국 2달 더 버티다가 며칠 전 사이클 1000회를 넘기고 교체했습니다. 마지막 시점엔 배터리가 도저히 정상이라고 보기 힘들겠더라고요...
--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에 따라 2020년 1월 1일 이후 구매 기종부턴 보증기간이 2년으로 연장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기사를 읽어보신 분들은 아실텐데요. '소모품'은 1년으로 유지 적용된다고 했습니다. 소모품에는 배터리, 충전기, 이어폰 등이 포함된다고 보시면 돼요.
결론적으로 배터리 교체는 구매일 기준 그 달의 마지막 일로부터 1년 안에만 무상 교체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여기엔 번인도 포함이라는 점..
예) 2020년 1월 5일 구매
보증 기간 : 2022년 1월 31일 까지
일부 품목(소모품, 번인 등) : 2021년 1월 31일 까지
--
25W PD 충전기를 통해 초고속 충전이 가능한 기종입니다. S10 5G에 적용된 이후 점차 늘려나가고 있어요.
--
45W PD를 지원하는 초고속 충전 2.0 지원 기종은 단 2가지 입니다. 확 줄었죠?
심지어 이번 노트20 울트라는 미지원...
--
마지막이자 배터리 사용에 대한 걱정을 덜어드리고자...
배터리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소모품입니다. 새 기기를 구매한 후 사용을 시작한 이상 배터리 수명은 조금씩 줄어들거에요.
물론 알려진 많은 방법들을 통해 배터리 수명을 오래 유지하면 디바이스 수리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에 불편을 주는 방법들이 너무 많아요.
소모품인 이상 걱정 없이 편하게 쓰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새 출시하는 기종들은 배터리 용량도 크고 기술도 좋아졌다 보니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과거만큼 심각하게 차이나진 않으니까요.
---
글 읽고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충전 관련 이야기는 이정도에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어쩌다 보니 올해 마지막으로 올리는 컨텐츠 게시글이네요. 조금 뒤 올해 마지막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일로스 드림.
16 댓글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2-31-2020 08:32 PM ·
기타
노트20울트라가 45W가 안되는건 처음알았네요 ㅇㅅㅇ 만약 해버렸다면 문제생겼겠어요
순순이들
Active Level 1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2-31-2020 08:45 PM ·
기타
와ㅠㅠ진짜...읽다가 다읽고 댓글써야지했었는데 읽으면서 제가궁금했던사항들이 계속나와서 다시한번더 읽으면서 댓글써요~! 정말 감사합니다ㅠㅠ충전에대해 이렇다저렇다 말은많은데 정작 제대로정확한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서 지킬것들을 지켜나가야하는데 점점 이거까진괜찮겠지!하면서 게을러지더라구요ㅜㅠ 마일로스님글보니까 제가 다시 열심히지켜야할것들이 보이네요,,, 일단 충전하면서 절대로 폰사용은 하지않아야겠어요. 또 저는 25퍼정도까진 괜찮겠지 싶어서 그쯤 충전을했었는데 40퍼! 새겨야겠네요 ㅎㅎ 아! 마일로스님!! 싸이클 보고 궁금한게생겼는데요!
방전된적이 없으면 완충을 몇번 했었어도 싸이클 0인건가요??ㅎㅎ 읽다보니 너무 좋은정보가많아서 감사드리고 책갈피해놓고 종종계속 다시 읽어야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방전된적이 없으면 완충을 몇번 했었어도 싸이클 0인건가요??ㅎㅎ 읽다보니 너무 좋은정보가많아서 감사드리고 책갈피해놓고 종종계속 다시 읽어야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HongChaLatte
Active Level 4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1-14-2021 09:49 PM ·
기타
항상 100퍼 완충 되자마자 충전기 빼놧엇는데 덕분에 귀찮음에서 해방햇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