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심박수 수동측정

(게시글 작성 시간: 11-17-2024 12:27 PM)
222 보기
둔벰이
Active Level 5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
심박수 측정을 '항상' 으로 했을때 실제 심박보다 높은 심박수가 측정되는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특히 달리기 초기 워밍업구간 천천히 달림에도 200이 넘는 심박 오류가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심박수 측정을 '수동'으로 하여 측정을 하니 정상 심박이 표시되는것 같고 달리기 운동시 워밍업구간에서 과대심박수가 표시되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질문 : 이 문제에 대한 이유가 무엇 인가요?

가벼운 조깅 하는데 겔럭시워치로도 충분하다 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image


image


3 댓글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

안녕하세요. 삼성 헬스 서비스 운영 담당자입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문의해 주신 증상은 본 게시판에서는 해당 증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번거로우시겠지만, 아래의 경로를 통해 멤버스 게시글 제목과 관련 스크린샷을 남겨주시면 로그 추출 방법에 안내해 드리고 빠르게 도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삼성 헬스 앱 > 상단 점 3개 더보기 > 설정 > 문의하기

감사합니다.

0 좋아요
허니라이프
Active Level 7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

심박수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달리기 워밍업 구간에서 심박수가 200을 넘는 과대 측정이 발생하는 것은 심박수 측정 알고리즘이나 센서의 민감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센서 민감도 문제

  • 심박수 센서는 주로 광학 센서(PPG, Photoplethysmogram)를 사용하여 혈류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이 센서는 손목에서 혈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수를 계산하는데, 움직임이 많거나 센서와 피부 사이에 불안정한 간섭이 있을 경우 잘못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워밍업 구간에서 느리게 달리거나 운동 초기에는 움직임이 급격하지 않지만, 손목의 미세한 움직임이나 다른 외부 요인(예: 옷이나 팔꿈치의 위치, 손목을 떨구는 것 등)이 센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제 심박수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2. 심박수 측정 방식 차이

  • 항상 측정 모드에서는 워치가 지속적으로 심박수를 측정하려고 하며, 이 과정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신체 상태(예: 처음 운동을 시작할 때 심박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초기 운동 구간에서 과대 측정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 반면, 수동 측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측정을 시작하고, 이를 보다 안정적이고 규칙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운동 초반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면서 보다 정상적인 값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측정할 경우 워치가 더 정확한 타이밍에 측정을 시작하기 때문에 과대 측정이 줄어듭니다.

3. 알고리즘 및 필터링

  • 심박수 측정 알고리즘에서 운동 초반의 심박수 변화가 급격할 때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치가 운동을 감지하고 심박수를 빠르게 증가하는 값으로 계산하려 할 때, 실제 심박수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 일부 알고리즘에서는 운동 패턴을 필터링하여 정확도를 높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운동 초기나 빠르게 변화하는 신체 상태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및 개선

  1. 심박수 센서 위치 조정: 손목에 워치를 착용하는 위치가 중요합니다. 너무 느슨하거나 지나치게 조이는 경우, 센서가 정확히 혈류를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2. 심박수 측정 모드 변경: 수동 측정 모드를 사용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초기 운동 시 잘못된 심박수 측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심박수 측정 간격 조정: 일부 스마트워치에서는 심박수 측정 간격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너무 자주 측정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정확한 심박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벼운 조깅에는 Galaxy Watch가 충분히 좋은 선택이지만, 정확한 데이터 추적이 필요하다면 외부 심박수 모니터(예: 가슴 벨트형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둔벰이
Active Level 5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
👏 👏 👏
전문적이고 성의있는 그래서 상당히 궁금증이 해결이 되는 답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답변을 삼성의 담당자에게 기대했는데 뜻밖에 허니라이프님의 답변을 접하게 되어 기쁨니다. 달리기에 진심이며 웨어러블을 통해 계측되는 데이터들에 에 대한 특히 심박수에 관심이 많습니다. 심박수로 운동강도를 조절 할수 있기 때문 입니다. 갤럭시 워치전에 타사 워치를 사용한적도 있지만 심박수 문제로 갤럭시워치로 바꾸게 되었는데 역시 비슷한 현상이 있어 실망하던차 였습니다. 답변으로 상당부분 이해가 되었으며 그런 내용들은 이제 삼성에서 해결 할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0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