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해결됨! 해결됨

제목:

블루투스 5에 관한 이야기(갤럭시 버즈가 끊기는 이유?)

(게시글 작성 시간: 03-27-2019 09:06 PM)
15243 보기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

image
블루투스 5가 탑재된 갤럭시 버즈



블루투스는 어디에나 있고 점점 더 흔해지고 있습니다.

이상한 모양의 헤드셋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시작되어..
헤드폰부터 심박 모니터, 웨어러블, 기상 관측소까지 모든 것을 연결하는 강력한 무선 프로토콜이 되었습니다.

이 중 최신 블루투스 버전인 블루투스 5는..
특히 저전력 운영 모드에서 크게 발전되었습니다.

이는 홍수처럼 쏟아지는 IoT 디바이스를 위한 것이며..
갤럭시 S8 시리즈 이후에 출시된 최신 갤럭시 S, 노트시리즈..
아이폰 8이후의 최신 아이폰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휴대폰에 탑재된 기술입니다~ 🤗




image
지하철에서는 와이파이 주파수와 블루투스 주파수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전의 블루투스 버전들은 모두 1.0부터 시작해 소수점이 있었습니다.
오래전부터..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하신 분이라면.. 블루투스 3.0 혹은 블루투스 v4.1 같은 것을 본 적이 있으실거예요~ 😊

비교적 최근이라고 볼 수 있는 블루투스 4.0 업데이트에는..
새로운 저전력 프로토콜을 추가해 ‘블루투스 LE’로 명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새로운 버전의 블루투스에 SIG(Special Interest Group)는 단순히 ‘블루투스 5’라는 이름만 붙였습니다~ 🤗
소수점도, v도, LE도 없어요. 😅😅

여기에는 크게 개선된 저전력 프로토콜이 들어가 있습니다.





블루투스 5의 역량을 활용하려면 새로운 블루투스 5 디바이스...
즉, 블루투스 5 헤드폰, 스마트 홈 디바이스, 스피커, 마우스, 키보드 등등이 있어야 합니다.

블루투스 5는 최근에 발매되고 있는 고사양 휴대폰에서는 빠르게 표준화가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주변 기기들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죠? 😅



image
가성비 갑의 국민(?)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QCY T1





그와중에 좋은 소식은 블루투스 5 하드웨어들은 이전 버전의 블루투스와 완벽히 호환된다는 것입니다.

블루투스 5를 채용한 휴대폰이라도 이전 버전을 탑재한 블루투스 헤드폰, 스피커, 피트니스 트래커, 자동차 등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새 기술의 장점을 경험하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






블루투스 5의 가장 큰 특징이 더 멀리까지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블루투스 4.2 LE의 4배인 243m 정도).

하지만 이는 이론적인 최대 거리이고, 현실에서는 이보다 훨씬 더 짧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전 버전보다는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안타깝게도 모든 기기에서 언제나 이런 도달 거리를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보니.. 개발자들은 도달 거리를 위해 총 대역폭을 희생해야 합니다. 😅

이는 소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되 집안 전체나 대형 매장 전체에 도달해야 하는 IoT 디바이스에 적합하다고 합니다~ 🤗.



image
IoT(Internet of Things)





블루투스 5에는 대역폭을 희생해 도달 거리를 늘리는 방식과 함께 거리는 줄이고 대역폭을 늘리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

이러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모드에서 최대 속도 초당 2메가비트와 20dB 이상의 더 높은 전송 출력을 지원합니다.


하나는 더 먼 거리에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하나는 짧은 거리에 2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펌웨어 업데이트처럼..
순간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거나..
오디오나 영상처럼 데이터를 많이 소모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디바이스에 유리한 방식입니다~  😊

또한, 블루투스 5를 채택한 헤드폰은..
배터리 사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블루투스 5는 저전력 사양 안에 표준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아서, 당분간은 블루투스 헤드폰과 헤드셋은 전력 소모량이 큰 블루투스 클래식 모드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블루투스 5의 큰 개선 사항들은..
모두 저전력 모드(LE)를 위한 것입니다~ 🤗

블루투스 4.0에서 처음 소개되었고..
v4.1, v4.2에서 점차 개선된 블루투스 LE는..
블루투스 4.0 이전의 ‘클래식’ 블루투스와는 완전히 독립적인 프로토콜입니다. 😊

블루투스 4.2와 BLE 모드는..
클래식 블루투스보다 훨씬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도달 거리가 비슷하고 레이턴시가 적으며 전력을 극히 일부만 사용합니다.


이것이 블루투스 LE가..
IoT 디바이스, 비콘(beacons), 타일, 피트니스 트래커 등..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이나 저전력 운용이 핵심인 많은 곳에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블루투스 5는 여기에 고대역폭 혹은 더 먼 도달 거리 연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전력 운영을 개선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효율이 8배 증가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 수를 8배 늘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 참고출처:
http://www.itworld.co.kr/news/108549#csidx35c194d4380fef185f570f59096f61f





몹시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조만 해주세요~ 🤗


1. 위에서 말씀드린 블루투스 5의 여러 특성들 중.. 5번째 특성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요? 🤔

블루투스 5를 이용하는 갤럭시 버즈의 경우..

필요에 따라..

하나는 더 먼 거리에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과..
하나는 짧은 거리에 2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번갈아가며..
사용할 것 같은데..

그 전환 과정이나.. 선택을 하는 과정이..
매끄럽지 않아서 끊김이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2. 주변에 비슷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너무 많아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이 아닐까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등은 ISM 대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에서 통신합니다.

ISM 대역은 전세계 공통 대역으로 특별한 허가 없이 주파수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대역입니다.

ISM 대역은 여러 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는 보통 2400 ~ 2483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의 블루투스는 5.8 GHz, 와이파이는 5 GHz 대역도 통신 가능)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는 주파수를 같이 사용하다보니 서로 사용하는 주파수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에서는 이 간섭을 최대한 고려하여 제품을 만들고 있지만 간혹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출처: 
https://www.rra.go.kr/emf/wrongfact/ask/index03.jsp?bdMode=view&dataId=BDATA000000000003391


3. 거기다 심지어 갤럭시 버즈의 크기가 너무 작다.

통신기기에서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예로.. 라디오만 봐도.. 같은 조건에서..
소형라디오보다는 대형라디오의 수신율이 조금 더 좋습니다. 🤗


그런데 갤럭시 버즈의 경우..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전작인 아이콘X 2018에 비해 크기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블루투스 통신처리를 하는 부품도 작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효율도 감소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
.
.
.
.
이런 원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다면..
갤럭시 버즈에서 끊김이 발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하지만..

1, 2번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빠른 시일내에..
좀 더 효율이 좋은 방향으로 개선된 버전의.. 수정펌이 나와서..
불편을 겪고 계신 분들의 불편함이 해결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4 답변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512GB
Expert Level 1
웨어러블(워치/버즈)
오우 전문가시네요 🤭🤭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seraphim
Active Level 6
웨어러블(워치/버즈)
잘 읽었습니다.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Earbuds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

안녕하세요.  Earbuds 담당 입니다.
어쩌면 저보다 기술적인 부분을 더 많이 알고계신 강호의 숨은 고수는 아니실지...  ^^;
음끊김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실 가장 큰 원인은 무선구간의 혼잡도로 볼 수 있습니다.
혼잡 관련한 원인은 또 너무 다양하게 나열할 수 있어서 일일이 열거할 만 하지는 않구요.
고정된 곳에서 바람만 불어도 환경이 바뀌는 지라 (자연의 힘은 대단 합니다.~)
동일 공간 내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너무나 많은 기기들로 인한 영향이 꽤 큽니다.
(이쪽 동네에서는 요런 걸 Interference라고 합니다. 더 들어가면 머리 아프니 요기까지만요)
또한 전자기파의 이동 경로상에 놓은 장애물들의 영향도 무시하지 못할 만큼 크게 작용하구요.
이론적인 통달 거리는 통신하려는 양 기기간 장애물 없는 Open space에서 측정이 되는 최대 거리이지
실 사용 환경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선 기기간 통신은 어느 한쪽이 원인을 제공했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두 기기가 상호 작용으로 인한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은 전송 매체인 전자기파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느냐 하는 부분이 관건이 되구요.
말씀하신대로 많은 사용자, 사용하는 대역폭, 전자기파의 세기를 결정할 만한 전송 파워 등등...
기본적인 관점에서도 고려할 사항이 다양합니다.
True Wireless 제품들의 경우, 일반적인 BT 이어폰의 경우와 달리
폰 <-> 이어버드간, 좌 <-> 우 간, BT/BLE사용 등
기본적으로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연결 유지, 음끊김 방지, 좌우싱크, AV 싱크 등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고, 지금도 더 나은 사용환경과 품질을 만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답니다.
참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채택된 답변
Earbuds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

문제의 버즈...  @.@

그래도 정가 다 주고 구매하셨다니 박수 세 번요~ 짝짝짝. 🙂

지금 제 귀에도 노란색 버즈가 꽂혀 있답니다. (웬지 모를 동지의식?  ^^;)

공개된 글판에 적는 글은 아무래도 조심스럽습니다.

게다가 담당 이라는 이픔표까지 달고 있으니 더더욱 그렇구요.

일부 분들이 보시기에 끼리끼리... 라고 오해하시는 분들도 더러 있으니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얼마나 힘든가를 제품에서 뿐 아니라

이 곳 커뮤니티에서도 또 느껴지더라구요.

주기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IconX (2018)에서도 그랬던 것 처럼

사용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쭈~~~~~욱 계속 됩니다.

기대해 주세요~

원본 게시물의 답변 보기

12 댓글
채택된 답변
512GB
Expert Level 1
웨어러블(워치/버즈)
오우 전문가시네요 🤭🤭
웨어러블(워치/버즈)
감사합니다.. 512GB님..
전문가까지는 아니고.. 제가 알고 있는 내용에..
검색해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
채택된 답변
seraphim
Active Level 6
웨어러블(워치/버즈)
잘 읽었습니다.
웨어러블(워치/버즈)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seraphim님~ 🤗
0 좋아요
채택된 답변
Earbuds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

안녕하세요.  Earbuds 담당 입니다.
어쩌면 저보다 기술적인 부분을 더 많이 알고계신 강호의 숨은 고수는 아니실지...  ^^;
음끊김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실 가장 큰 원인은 무선구간의 혼잡도로 볼 수 있습니다.
혼잡 관련한 원인은 또 너무 다양하게 나열할 수 있어서 일일이 열거할 만 하지는 않구요.
고정된 곳에서 바람만 불어도 환경이 바뀌는 지라 (자연의 힘은 대단 합니다.~)
동일 공간 내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너무나 많은 기기들로 인한 영향이 꽤 큽니다.
(이쪽 동네에서는 요런 걸 Interference라고 합니다. 더 들어가면 머리 아프니 요기까지만요)
또한 전자기파의 이동 경로상에 놓은 장애물들의 영향도 무시하지 못할 만큼 크게 작용하구요.
이론적인 통달 거리는 통신하려는 양 기기간 장애물 없는 Open space에서 측정이 되는 최대 거리이지
실 사용 환경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선 기기간 통신은 어느 한쪽이 원인을 제공했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두 기기가 상호 작용으로 인한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은 전송 매체인 전자기파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느냐 하는 부분이 관건이 되구요.
말씀하신대로 많은 사용자, 사용하는 대역폭, 전자기파의 세기를 결정할 만한 전송 파워 등등...
기본적인 관점에서도 고려할 사항이 다양합니다.
True Wireless 제품들의 경우, 일반적인 BT 이어폰의 경우와 달리
폰 <-> 이어버드간, 좌 <-> 우 간, BT/BLE사용 등
기본적으로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연결 유지, 음끊김 방지, 좌우싱크, AV 싱크 등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고, 지금도 더 나은 사용환경과 품질을 만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답니다.
참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웨어러블(워치/버즈)
네~ 저도 동일한 주파수 대역 문제와..
빽빽하게 들어선 높은 빌딩들이 제일 큰 원인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어요..
눈에 보이진 않지만..
워낙 많은 전파들이 우리 주위를 날아다니고 있잖아요? 🤗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늘 열심히 하시는 모습.. 참 인상적이고..
보기에도 좋습니다.. 😊👍👍👍

강호의 고수까지는 아니지만..
IT관련 일을 하고 있다보니..
기술적인 부분들에 관심이 많아서..
이런저런 자료들을 찾아본답니다~

왠만한 기술용어는 알아들으니까.. 저랑 대화하실 때는..
편하게 말씀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오늘 문제의 버즈를 구매신청했습니다.
예전에 Buds담당자님이 하신 말씀이 있어서..
정가 다 주고 구매했어요~ 😉
(사실 노란색은 중고나라에서는 살 수 없더라구요~ 😅😅)

불량없는 제품을 받아서.. 편하게 잘 쓸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오늘도.. 각종 민원 처리에 힘드시겠지만..
건강을 위해 식사는 제때 꼭!! 챙겨드시길 바라구요..
오후에도 화이팅하세요!!! 🤗
채택된 답변
Earbuds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

문제의 버즈...  @.@

그래도 정가 다 주고 구매하셨다니 박수 세 번요~ 짝짝짝. 🙂

지금 제 귀에도 노란색 버즈가 꽂혀 있답니다. (웬지 모를 동지의식?  ^^;)

공개된 글판에 적는 글은 아무래도 조심스럽습니다.

게다가 담당 이라는 이픔표까지 달고 있으니 더더욱 그렇구요.

일부 분들이 보시기에 끼리끼리... 라고 오해하시는 분들도 더러 있으니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얼마나 힘든가를 제품에서 뿐 아니라

이 곳 커뮤니티에서도 또 느껴지더라구요.

주기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IconX (2018)에서도 그랬던 것 처럼

사용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쭈~~~~~욱 계속 됩니다.

기대해 주세요~

웨어러블(워치/버즈)
편하다는 말.. 다른 의미는 아니구요..
편하게 기술용어를 쓰셔도 괜찮다는 의미로 말씀드렸어요~ 🤗
(근데.. 이것도 보는 사람에 따라서.. 오해의 소지가 있긴 하겠네요~ 😅😅)

모두를 만족시키기는 힘들다는 거..
저도 십분 이해가 갑니다~ 😊

사용성과 품질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 무한 응원박수를 보냅니다~ 👏👏👏


P.S.
Buds 담당자님도.. 노란색 쓰신다니..
왠지 더 잘 산 것 같은데요? 😉
훈스스
Active Level 5
웨어러블(워치/버즈)

잘 몰라서그러는데 그럼 4.2 le보다 5의 저전력기능이 약한건가요?

웨어러블(워치/버즈)
아뇨.. 훈스스님.. 4.2 LE의 저전력 기능보다 더 개선된 것이 5입니다~ 🤗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웨어러블(워치/버즈)

지하철 출태근 혼잡한 곳 즉 사람 밀도가 높을 수록 끊김현상은

더욱더 두드러지는 경우를 볼때 통신 활동 가장 많은 곳일 수록

끊김 현상을 더 나오는 것 같습니다. 

웨어러블(워치/버즈)
네~ 맞습니다.. 뿔닭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다보니..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는.. 끊김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무선 블루투스 기술의 한계가 아닐까 싶은데~ 😅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도 나와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