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가이드
Expert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08-2025 06:21 PM - 편집 05-08-2025 06:22 PM
이벤트[피싱 주의] 인터넷보호나라 정부 기관 SKT 해킹 이슈를 악용한 피싱 주의 권고 사항 참고 바랍니다
인터넷보호나라 정부기관 출처 링크 주소 입니다 https://www.boho.or.kr/kr/bbs/view.do?searchCnd=&bbsId=B0000133&searchWrd=&menuNo=205020&pageIndex=1...
□ 개요
o 최근 발생된 SKT 해킹사고 이슈를 악용하여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고 보이스피싱을 시도하는 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민감정보 탈취 및 금전 피해로 연계되지 않도록 사용자 주의 필요
※ 정부기관 및 SKT를 사칭하여 유심 해킹을 이유로 접근하여 민감정보 및 금전 탈취 시도
□ 주요내용
◆ 정부기관 및 SKT에서는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o “SKT 유심 해킹”, “악성앱 감염” 등의 키워드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사례 탐지
- SKT 유심 해킹피해에 따른 구제 조치를 명목으로 피해구제 당국 및 SKT를 사칭해 가짜 고객센터 전화번호로 전화를 유도하거나 직접 보이스피싱을 통해 악성앱 설치 유도
o 가짜 고객센터 전화 연결 후 원활한 지원을 위해 공식 등록 원격제어 앱 설치 유도
- 보안점검, 악성앱 검사, 사고접수 등을 돕겠다는 명목으로 피해자에게 스스로 원격 제어앱을 정상 스토어에서 찾아 설치하도록 유도
- 설치된 원격 제어 앱을 통해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추가 악성앱을 설치해 금융정보 등 민감정보 탈취
□ 대응방안
o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문자 신고 및 확인 방법
-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counterscam112.go.kr)’내 ‘통합신고’를 통해 신고
- 스마트폰 내 문자 수신 화면에서 확인가능한 ‘스팸으로 신고’
- 보호나라(카카오톡 채널) 내 ‘스미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 판별
o 스미싱 문자 예방 방법
- 문자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
- 의심되는 사이트 주소의 경우 정상 사이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피해 예방
- 휴대폰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 번 더 확인
- 정부기관 및 금융회사인 경우, 전화나 문자 등을 통해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음
* 정상스토어에 등록된 앱인 경우도 포함
o 번호 도용 문자 발송 차단
- 악성앱 감염 및 피싱 사이트를 통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스미싱 문자 재발송을 위해 피해자 번호가 도용될 수 있으므로 “번호도용문자차단서비스*”를 신청하여 번호 도용 차단
* 이동통신사별 부가서비스 항목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
o 모바일 결제 확인 및 취소
- 스미싱 악성앱 감염 및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①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② 모바일 결제 피해가 확인되면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캡처
③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
④ 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하여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④ 또는 민원실을 방문하여 사고 내역 신고
⑤ 사고 내역을 확인받고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
⑥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지참하여 통신사 고객센터 방문 또는 팩스나 전자우편 발송
⑦ 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사실 및 피해 내역 확인 후 피해보상 요구
o 악성어플리케이션 삭제
-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악성 앱에 감염되지 않으나 인터넷주소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점검
①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하기
② 악성앱 수동 삭제하기
③ 서비스센터 방문
o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하기
- 악성 앱에 감염되었던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
o 2차 피해 예방하기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을 발송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스미싱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함
□ 기타 문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 국번없이 118
□ 작성 : 국민피해대응단 스미싱대응팀
해결되었습니다! 답변으로 이동.
1 채택된 답변
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