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24-2023 04:02 PM ·
Samsung BlockchainRWA (Real World Asset) on Blockchain의 사례분석
필자가 지난 시간동안 RWA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 이번 칼럼에서는 RWA의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2023년 이후 전 세계 자본이 블록체인 파이낸스에 얼마나 많이 들어오게 될지 살펴보겠다.
전 세계 토큰화된 자산의 총 규모는 2030년까지 50,000% 이상 성장하여 무려 16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상장 및 비유동성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몇 년간 자산의 토큰화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이러한 예측을 할 수 있는 이유는, 토큰화된 자산은 비유동성 자산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RWA on Blockchain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세계의 자산을 디지털화하고 거래할 수 있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는 달리 탈중앙화된 특성을 가지며,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RWA on Blockchain은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부동산, 고정수익증권, 예술 작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RWA on Blockchain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진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을 분산원장에 저장하므로, 거래의 투명성과 변조 방지가 가능하다. 이는 자산 거래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또한, 신뢰성이 부족해서 기존금융이 진입하기 어려웠던 곳에 자금이 유입될 근거를 마련해준다. 둘째, 유동성이 향상됩니다. RWA on Blockchain은 자산을 더 쉽게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자산의 유동성이 증가한다. 셋째, 중개인 없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기존의 자산 거래는 중개인이 필요했지만, RWA on Blockchain은 중개인 없이 직접 거래가 가능하다. 이는 거래 비용을 절감하고 거래 속도를 높여준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을 직접 관리할 수 있어 자율성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RWA on Blockchain의 주요 사례에 대해 알아보자.
- 부동산 자산화
부동산은 RWA on Blockchain의 주요 사례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부동산 투자에는 큰 투자 금액과 긴 거래 시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RWA on Blockchain을 통해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고 분할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작은 금액으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고, 거래 과정이 간소화되어 유동성이 증가한다. 또한, 부동산 자산의 소유권 이전과 관련된 법적 문제도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고정수익증권 자산화
고정수익증권도 RWA on Blockchain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기존에는 고정수익증권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중개인과 긴 시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고정수익증권을 디지털화하고 분할 소유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들은 손쉽게 이러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지므로 투자자들의 안전성도 증가한다.
- 예술 작품 자산화
예술 작품은 RWA on Blockchain의 독특한 사례 중 하나이다. 예술 작품은 가치가 높고 유동성이 낮은 자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RWA on Blockchain을 통해 예술 작품을 디지털화하고 소유권을 분할할 수 있게 되면, 작품에 대한 투자와 거래가 쉬워진다. 또한, 작품의 출처와 인증을 블록체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 위조품과 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 금융서비스 자산화
RWA on Blockchain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 자산화를 실현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용기록을 블록체인에 올리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용 점수가 없는 개인들도 신용 기록을 바탕으로 대출이나 금융 상품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간에 신용과 자본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개인 간의 P2P 대출이나 마이크로 투자 등의 금융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서비스 자산화를 통해 저소득층에게는 금융 포용성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금융 격차를 줄일 수 있다.
RWA on Blockchain을 통해 저소득층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용과 자본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금융 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는 사회적으로 공정하고 포용적인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위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부동산, 수익증권, 예술품 등은 원래 존재하던 자산을 토큰화하는 것이라면, 금융서비스 자산화는, 새로운 자산군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들이 지난 몇 년사이에 떠오르고 있다.
- Creditcoin (https://creditcoin.org/)
Creditcoin은 2016년에 출시된 오픈 소스 분산형 금융 플랫폼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간에 신용과 자본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Creditcoin은 현재 100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Creditcoin은는 저소득층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다. Creditcoin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간에 신용과 자본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Creditcoin의 개발사인 Gluwa는 암호화폐 거래소와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여 저소득층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Creditcoin과 Gluwa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저소득층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Gluwa는 나이지리아 재무부와 파트너쉽을 준비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재무부의 아메드 글로리아 쿠페지 이사는 “글루와의 사명과 비전, 그리고 나이지리아의 블록체인 발전에서 글루와가 할 수 있는 역할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면서, 나이지리아의 블록체인 산업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데 있어 글루와와 같은 기업의 관심을 보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Gluwa 에코시스템은 나이지리아 시장에서 차세대 현지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벤처 캐피털 부서인 Gluwa 캐피털은 다양한 모금 라운드에 3,500만 달러의 자금을 할당하여 아프리카의 현지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와 암호화폐 거래소를 지원했다. Creditcoin과 Gluwa의 성공은 블록체인 기술이 저소득층의 삶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GoldFinch (https://goldfinch.finance/)
Goldfinch는 2022년 10월에 출시된 분산형 신용 대출 프로토콜이다. Goldfinch는 기존의 은행 시스템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oldfinch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신용 평가와 채권 발행을 자동화한다. Goldfinch는 또한 탈중앙화 거버넌스를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관리한다.
GoldFinch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작동한다.
신용 평가: Goldfinch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대출 신청자의 신용을 평가한다.
채권 발행: Goldfinch는 대출 신청자가 채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채권은 Goldfinch의 토큰인 GFI로 구매할 수 있다.
탈중앙화 거버넌스: Goldfinch는 탈중앙화 거버넌스를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관리한다. 거버넌스 토큰인 GFI를 보유한 사용자는 프로토콜의 규칙을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Goldfinch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Goldfinch는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은행 시스템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Centrifuge (https://centrifuge.io/)
Centrifuge는 2017년에 설립된 분산형 금융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을 기반으로 한 대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entrifuge는 Ethereum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Centrifuge의 토큰인 CFG를 사용하여 대출을 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Centrifuge는 실물 자산을 기반으로 한 대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부동산, 장비, 매출채권 등에 대한 대출을 제공할 수 있다. Centrifuge는 탈중앙화 거버넌스를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관리한다. CFG를 보유한 사용자는 프로토콜의 규칙을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Centrifuge는 DeFi와 통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Centrifuge의 대출은 MakerDAO, Compound와 같은 DeFi 프로토콜에서 담보로 사용할 수 있다.
Centrifuge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Centrifuge 역시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은행 시스템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RWA on Blockchain은 실제 세계의 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화하고 거래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사례이다. 이를 통해 자산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며, 유동성이 증가합니다. 또한,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적용될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규제와 법적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RWA on Blockchain의 발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규제와 법적 구조의 마련이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기술과 실제 세계의 자산을 조화롭게 융합시키기 위해 법적인 측면에서의 지원과 규제 역시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