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칼럼 #36-1] 블록체인을 통해 금융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까 - 1부

(게시글 작성 시간: 12-08-2020 02:08 PM)
455 보기
블록체인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Samsung Blockchain

** 해당 컨텐츠는 Adappter 와 컨텐츠 제휴를 통해 제공 됩니다. **

 

 

페이팔이 지난 2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연말까지 페이팔 지갑에 가상자산 보관 및 사고 팔기 서비스를 추가하고, 내년 초에는 모든 가맹점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가능케 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블록체인이 금융시스템에서 더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와중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금융시스템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금융시스템의 불균형은 결국 금융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금융소외자 또는 금융소외지역이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금융소외자란, 담보가 없거나 대출금 연체 등으로 사실상의 신용 대출이 힘들어 1~2 제도금융권을 이용할 수 없는 저신용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8~13등급 사이의 대출자들을 지칭한다. 금융소외자들은 최근 P2P 펀딩 및 클라우드펀딩이 생겨나면서 다양해지긴 하였지만, 대부업체 등에서 고금리를 주고 대출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세계적으로는 금융소외자가 살인적인 이자율뿐만 아니라 애초에 신용등급이라는 개념이 부족한 나라의 국민들이 굉장히 많으며, 또한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금융시스템이 무너지면서 금융소외가 생긴 경우에는 그 나라 전체가 금융소외지역이 되어버린다.


금융소외자 또는 금융소외지역에 블록체인이 어떤 기회를 줄 수 있는지 업계 인사들의 발언들을 나누어보도록 하겠다.


페이팔 CEO 슐만은 지난 5월에 스스로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우리 로드맵에 초점을 맞추면, 이 모든 자원을 리브라에 대항해 투입하는 것보다 더 빨리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라고 이야기 했다. 그리고 이번에, “페이팔의 서비스가 가상자산의 국제적 도입과 각국 중앙은행이나 기업들이 추진하는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네트워크망을 촉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미르 도살 글로벌 파트너십 포럼 회장은 "많은 이주노동자들과 가난한 사람들이 높은 이자의 대출을 받고, 비싼 수수료를 내며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며 "암호화폐라는 새로운 지불수단이 도입되면서 7~15%에 이르는 수수료를 내지 않을 수 있게 됐다"고 했다. 도살 회장은 이어 "난민 관리에서 오는 어려움도 블록체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며 "비밀과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이다"고 했다.


벤 배너리 스위스 임팩트 인베스트먼트 공동창립자는 "금융시스템을 보면 세계 금융이 3%의 소수에게 집중돼 있다"면서 "평등을 이뤄내야 번영을 만들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금융의 포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리 창립자는 "블록체인을 통해 작은 국가들에 세계 금융에 접근성을 제공한다면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기능 중 탈중앙화, 보안성 등이 금융소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 시간에는 금융소외지역에서 가상자산 산업이 이용되는지 그 사례들을 이야기해 보겠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