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칼럼 #7] 블록체인이 극복해야할 3가지 과제

(게시글 작성 시간: 10-16-2019 04:45 PM)
434 보기
블록체인담당
Moderator
Moderator
옵션
Samsung Blockchain

** 해당 컨텐츠는 Adappter 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

 

안녕하세요. Adappter 칼럼니스트 최강막내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이 극복해야 할 3가지 과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블록체인은 금융거래, 국제송금, 전자투표, 스마트 계약과 같이 전 산업분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체인도 몇 가지의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요?

 

bc.JPG

 

간단하게 분산화된, 탈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입니다.

입력되는 데이터는 누구나 데이터 베이스를 열람할 수 있으며, 위변조 할 수 없습니다.

블록체인과 같이 지속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로 분산원장 기술입니다.

(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와, 탈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는 A B의 계약 내용을 공신력을 가지는 제 3자가 기록합니다.

이 기록은 누구나 열람할 수 없습니다.

탈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는 A B의 계약 내용을 A B가 기록합니다.

이 기록은 누구나 열람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거래를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기록한다면

A B의 거래내용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탈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기록한다면

A B의 거래내용을 실시간으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됩니다.

 

개인과 개인이 신뢰할 수 있고, 이것을 증명할 수 있는 분산원장이 바로 탈 중앙화 데이터베이스(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이 극복해야 할 문제점.

 

  1. 오라클 문제

장점: 앞서 말했듯 블록체인에 한번 기록하면 위변조가 불가능합니다.

단점: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람을 신뢰할 수 없습니다.

 

블록체인에서 오라클은

외부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가져오는 것을 말하는데요.

블록체인 밖에서 가져오는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고로 모든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신뢰 할 수 없습니다.

외부의 데이터 없이 오로지 블록체인 내에서 데이터를 축적하거나, 미들웨어 솔루션을 통해서 외부 데이터를 검증해야 합니다.

 

  1. 트릴레마 문제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는 탈중앙화, 보안성, 확장성을 말하는데요.

세 가지의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탈중앙화와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데요.

확장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탈중앙화와 안정성이 걸림돌이 됩니다.

탈 중앙화란 중앙집중화를 벗어난 자율 조직을 의미합니다.

확장성이란 사용자 수가 늘어나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노드 수가 적으면 블록생성시간을 단축하고, 트랜잭션 속도를 높이지만 소수의 노드로 중앙화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드 수가 적으면 보안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변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1. 보안문제 

    secure.JPG

a. 블록체인은 개인과 개인이 안전하게 정보를 교환하게 합니다.

이때 입력되는 정보는 생태계 참여자의 동의를 구해서 이 거래가 무결하다는 것을 검증합니다.

이것이 바로 합의 알고리즘인데요.

블록체인의 거래내역을 조작하기 위해선 네트워크의 51%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면 됩니다.

이때 소수의 검증자만 참여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더욱 취약하게 됩니다.

또한 검증자가 별로 없는 소규모 퍼블릭 블록체인 역시 취약할 수 있습니다.

 

b.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코드는 재사용되기도 합니다.

오픈 소스를 그대로 복사 붙혀넣기를 할 수 있습니다.

고로 하나의 코드에서 취약점이 발견됐을 때 그 코드를 사용한 많은 블록체인이 해킹대상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이더리움의 The DAO 해킹, 패리티 멀티시크월렛 해킹이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코드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하게 되면, 블록체인은 더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트릴레마: http://wiki.hash.kr/index.php/%ED%8A%B8%EB%A6%B4%EB%A0%88%EB%A7%88

보안: http://www.zdnet.co.kr/view/?no=20171027155110

EOS 보안사고: https://m.coinness.com/ko-kr/news/412922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