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칼럼 #82] P2E(Play To Earn concept) 게임에 대하여 – 1부

(게시글 작성 시간: 12-22-2021 04:17 PM)
204 보기
Adappter
Active Level 7
옵션
Samsung Blockchain

어댑터 편집국 Ph.D 김기석

** 해당 컨텐츠는 Samsung Blockchain과 Adappter의 컨텐츠 제휴를 통해 제공 됩니다. **

 

P2E(Play To Earn concept) 게임에 대하여 – 1부

Adappter_0-1640157424722.png

 

(출처: 서울신문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VAXN1J8X)
현재 가장 블록체인게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는 P2E 게임이다. 또한 위의 기사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에서 P2E 게임을 출시하는 것에 대한 제약 조항들로 인해 국내게임사들이 글로벌을 대상으로 게임을 출시하고 있다.
P2E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게임 환경에서 게임을 하거나 다른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돈을 벌 수 있도록 하는 오픈 이코노미라는 것을 염두 해두어야 한다.
P2E는 플레이어가 게임 안에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곳에 형평성을 제공하고 개발자와 협업하여 게임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커뮤니티 주도 비즈니스 모델이다. 여기에 크립토 게임은 기존 비디오 게임과 달리 이용자가 게임 내 자산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NFT 토큰으로 토큰화함으로써 모든 플레이어에게 더 많은 것을 제공한다. 토큰화는 블록체인이 어떤 아이템을 암호화폐로 표현하여 가치를 제공하게 한다. 게임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게임 환경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아이템은 무엇이든 NFT로 토큰화해 실비로 거래할 수 있다. 이 부분이 현재 국내 게임산업법에 저촉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혁신적인 부분에 법은 언제나 늦게 따라올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Play-to-Earn 모델은 혁신적인 게임산업 모델이다. 온라인 비디오 게임을 수익화하는 것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NFT 게임은 플레이어 소유로 게임 수입의 경계를 넓혔다.
과거에는 플레이어들이 팔로워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하거나 상위권 게임 계정을 판매해 부를 창출했다. 그러다보니, 게임 인플루언서가 되기 위해 수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과도한 금액을 지불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2020년 게임 산업 수익 증가율은 연간 27%의 증가율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다른 분야를 앞질렀다.
P2E 게임으로 인해, 이제는 블록체인 기술의 수혜가 훨씬 더 많다. 플레이어들은 그들의 노력과 게임 시간으로부터 모든 게임 내 자산을 소유할 수 있고, 게임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투표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심지어 게임의 개발에 투자함으로써 게임의 일부를 소유할 수도 있다. 게임 내 암호화폐는 게임 환경 밖에서 가치가 높은 자산이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