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1:03 PM ·
SmartThings안녕하세요 ?
루나 스퀘어 서비스 중단에 대하여..답변이 없어 다시 스띵 관계자분에게 다시 질문드립니다.
루나 스퀘어 서비스 중단에 따라 C2C 연동이 해제되어 스띵에 물리지 않아 IoT 생태계가 먹통이 되었습니다.
루나 스퀘어 홈페이지에 가 보니. 저 같은 소비자가 꽤 많이 있습니다. 루나 스퀘어 가습기를 구입한 가장 큰 이유는 스띵 지원이 가능해서
구입한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이 기능이 중단되어 벽돌이된 스마트폰이랑 다를 바 없습니다.
스띵 관계자분에게 하기와 같이 검토 요청드립니다.
1. 해당 서버를 인수하여 향후 5년이나 10년간 별도 운용이 가능한지 ?
- 물건 팔때는 향후 서비스까지 포함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 직접 생산을 하지 않았어도 팔때는 스띵 간판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지금 이게 뭡니까 ?
무책임하게.. 스띵도 일부 책임이 있는거 아닌가요 ?
2. C2C 별도 서버 운용은 하되 별도로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스띵과 C2C 로 연동되고 있는 루나 스퀘어 모든 제품을 직접 물릴 수 있게 조속히 Edge Driver 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가용한 모든 인력을 투입하여 최대한 빨리 부탁합니다. 이 정도는 해 줘야지 스띵 다운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해결되었습니다! 답변으로 이동.
2 답변
채택된 답변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5:10 PM - 편집 08-27-2024 05:13 PM
SmartThings참 힘든 상황이네요. ㅠㅠ
먼저, 기업 생리상 불가능한 안들이라 어려울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기업은 이윤이 남아야 움직이는 구조인데, 폐업한 제조사를 추가 지원한다? 이제까지 살면서 그런 곳은 없었던거 같아요.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이라도 상폐 된다고 공지된 주식을 사지 않듯이요. ㅠㅠ
보통,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 판매하면서 추가 수익이 발생하고, 그 수익금 중 일부라도 앱연동 지원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면 모를까, 수익 한 푼 나지 않는 무료 앱을 그것도 폐업한 제휴사 제품 지원에 돈을 들인다?? 일반 개인도 않할 일을 기업에게 바라는 것은 마음만 상하고 정신 건강을 해치실꺼 같네요. ㅠㅠ
스마트띵즈가 이용료 무료로 오픈 플랫폼을 지향하는 이유는 수익을 기본 전제로, 다른 iOT 플랫폼과 경쟁해서 시장 점유율을 넓혀 더 많은 수익을 내는게 궁극의 목적일 겁니다. 그래서 여러 제조사들은 제품을 만들고 오픈된 엣지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자기네 제품에 맞게 엣지(드라이버)를 만들어서 인증을 받고, 스싱 로고를 박아서 판매를 할 껍니다. 동일 제품을 다른 iOT 플랫폼에도 연동되게 똑같은 작업을 해서 여러 플랫폼 마크를 박아서 판매를 할꺼구요. 그래서 보통 한 제품에 여러 iOT 플랫폼 로고가 박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모든게 수익이 전제 되어야 인력을 투입하든 서버를 운영하든 지원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겁니다.
현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해볼 수 있는 방법은
1. 핑거봇을 이용하는 방법(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스마트 핑거봇)
2. IR리모컨을 사용하는 제품이면 IR학습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IR리모컨 사용(스띵연동제품)
3. 빠른 손절_위에 방법 모두 추가 비용이 드니 아직 적당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을 때 당근에 빨리올려서 판매하고 스띵에 연동되는 다른 제품을 구매
저는 개인적으로 3번 빠른 손절을 추천 드립니다. 어차피 가습기는 필터를 갈아도 2~3년 지나면 부품 부식이나, 때가 껴서 오래 사용하기는 힘든 가전입니다. 가성비 좋은 제품으로 주기적으로 교체 하는게 건강에 더 좋을 것 같네요.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8:22 PM ·
SmartThingsA라는 식당이 반포동의 한 골목에 새롭게 오픈을 했습니다. 이 식당은 "네이버 지도에 검색하면 제일 먼저 나오는 반포동 최고의 맛집"이라는 문구로 현수막을 내걸며 홍보했습니다
이 현수막을 보고 방문한 고객이 음식을 주문했는데, 맛이 상당히 별로였고 서비스 대응도 좋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가게를 지도 맨 위에 보여준 "네이버"의 귀책사유일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가게 잘못이죠. 네이버는 단순히 지도에 있는 매장 목록을 알려준 것 뿐이니까요.
스마트싱스도 비슷합니다. 스마트 싱스를 활용해 C2C 서비스를 만든 "루나스퀘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루나스퀘어가 C2C 연동으로 스마트싱스를 선택해 활용한 것이지, 스마트싱스에서 별도로 루나스퀘어가 이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강제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또한 C2C에서 연동되는 대부분의 기능과 서버는 해당 기기를 만든 제조사에서 담당합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4:39 PM - 편집 08-27-2024 04:47 PM
SmartThings오우 ; 최근 본 중 제일 당황스러운 글이네요 ;
엄연히 다른 업체인데 이게 무슨..ㅎ
팔 때 스싱 걸고 대대적으로 선전한 것도 루나 스퀘어.
물건을 판 것도 루나 스퀘어인데
인력을 왜 스싱에서 투입하나요 ;
서버 인수라니 ㅎ 루나 스퀘어는 팔 생각이 있대요 ? ; 루나 스퀘어 관계자세요 ? ;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4:49 PM ·
SmartThings-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5:10 PM - 편집 08-27-2024 05:13 PM
SmartThings참 힘든 상황이네요. ㅠㅠ
먼저, 기업 생리상 불가능한 안들이라 어려울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기업은 이윤이 남아야 움직이는 구조인데, 폐업한 제조사를 추가 지원한다? 이제까지 살면서 그런 곳은 없었던거 같아요.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이라도 상폐 된다고 공지된 주식을 사지 않듯이요. ㅠㅠ
보통,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 판매하면서 추가 수익이 발생하고, 그 수익금 중 일부라도 앱연동 지원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면 모를까, 수익 한 푼 나지 않는 무료 앱을 그것도 폐업한 제휴사 제품 지원에 돈을 들인다?? 일반 개인도 않할 일을 기업에게 바라는 것은 마음만 상하고 정신 건강을 해치실꺼 같네요. ㅠㅠ
스마트띵즈가 이용료 무료로 오픈 플랫폼을 지향하는 이유는 수익을 기본 전제로, 다른 iOT 플랫폼과 경쟁해서 시장 점유율을 넓혀 더 많은 수익을 내는게 궁극의 목적일 겁니다. 그래서 여러 제조사들은 제품을 만들고 오픈된 엣지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자기네 제품에 맞게 엣지(드라이버)를 만들어서 인증을 받고, 스싱 로고를 박아서 판매를 할 껍니다. 동일 제품을 다른 iOT 플랫폼에도 연동되게 똑같은 작업을 해서 여러 플랫폼 마크를 박아서 판매를 할꺼구요. 그래서 보통 한 제품에 여러 iOT 플랫폼 로고가 박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모든게 수익이 전제 되어야 인력을 투입하든 서버를 운영하든 지원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겁니다.
현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해볼 수 있는 방법은
1. 핑거봇을 이용하는 방법(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스마트 핑거봇)
2. IR리모컨을 사용하는 제품이면 IR학습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IR리모컨 사용(스띵연동제품)
3. 빠른 손절_위에 방법 모두 추가 비용이 드니 아직 적당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을 때 당근에 빨리올려서 판매하고 스띵에 연동되는 다른 제품을 구매
저는 개인적으로 3번 빠른 손절을 추천 드립니다. 어차피 가습기는 필터를 갈아도 2~3년 지나면 부품 부식이나, 때가 껴서 오래 사용하기는 힘든 가전입니다. 가성비 좋은 제품으로 주기적으로 교체 하는게 건강에 더 좋을 것 같네요.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5:28 PM ·
SmartThings-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7-2024 08:22 PM ·
SmartThingsA라는 식당이 반포동의 한 골목에 새롭게 오픈을 했습니다. 이 식당은 "네이버 지도에 검색하면 제일 먼저 나오는 반포동 최고의 맛집"이라는 문구로 현수막을 내걸며 홍보했습니다
이 현수막을 보고 방문한 고객이 음식을 주문했는데, 맛이 상당히 별로였고 서비스 대응도 좋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가게를 지도 맨 위에 보여준 "네이버"의 귀책사유일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가게 잘못이죠. 네이버는 단순히 지도에 있는 매장 목록을 알려준 것 뿐이니까요.
스마트싱스도 비슷합니다. 스마트 싱스를 활용해 C2C 서비스를 만든 "루나스퀘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루나스퀘어가 C2C 연동으로 스마트싱스를 선택해 활용한 것이지, 스마트싱스에서 별도로 루나스퀘어가 이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강제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또한 C2C에서 연동되는 대부분의 기능과 서버는 해당 기기를 만든 제조사에서 담당합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8-2024 04:29 AM - 편집 08-28-2024 04:34 AM
SmartThings의견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면 어떨까요 ?
네이버 지도 등록이라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는데, 전 이 관계가
네이버 맛집이 아니라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계로 생각해 보는건 무리일까요 ? routiny 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스마트띵즈가 오픈 플랫폼을 지향하는 이유는 수익을 기본 전제로, 다른 iOT 플랫폼과 경쟁해서 시장 점유율을 넓혀 더 많은 수익을 내고자 하는게 아닐까요? 법대로 하자면 말씀하신대로 루나 스퀘어의 책임이 크겠죠. 하지만 지금 그 회사는 전화도 먹통이 되었고 그럴 여력이 없어 보입니다.
저도 삼성전자에 다니지만 한국 대표기업으로서 최소한의 상도덕을 강조하는 겁니다.
그런식으로 접근하다가는 결국 카카오처럼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좀 과장을 하면...그 많은 우수인력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면 에지 드라이버 하나 만드는데 하루도 안 걸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열 받으면 제가 직접 만들지도 모릅니다. ㅋㅋㅋ
그리고 마지막 삼성은 상생 협력을 강조하는 기업입니다.
제가 저 가습기 하나 아까와서 이러는 걸까요 ?. 지금 당장 10000 대도 살 수 있습니다. ^^
바로 내일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1년 정도의 미래를 내다 보고 일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 꼬잉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8-2024 09:36 AM ·
SmartThings엣지를 만든다는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큰 회사에 다니시니 더 잘 아시겠지만 모든 회사들의 기본적이 운영 방침은 수익성 입니다. 아주 작은 프로젝트 하나라도 수익성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단종되고 더 이상 확장서도 없는 제품에 1원, 1초라도 투자할리가 없겠죠. 더군다나 동일한 제품군들을 갖추고 있는 회사에서는 눈길도 주지 않겠죠. ㅠㅠ
또 하나 기술적인 문제로는 기본적으로 루나에서 운영하던 앱의 스펙이나 제품 사양 등 기본 코드들을 스싱쪽에 모두 넘겨줘야 엣지 검토라도 해볼텐데 루나에서 그럴리가 있겠습까? 엄연히 사업을 접었다 해도 루나 독자 기술들을 넘길리 없겠죠.
결국, 돈이 문제이고, 루나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은 이상 답이 없습니다. 아직 중고 시세가 살아 있을 때 빠른 손절을 하는게 정신 건강에 이로우실 꺼 같습니다. ㅠㅠ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8-2024 09:51 AM ·
SmartThings-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8-28-2024 08:12 AM ·
SmartThings오~~ 꼬잉이님. 바로 이해했습니다. iot 에 잘 모르지만 쪼꿈씩 알아가고 있는데 너무 쉬운 설명 해주니 바로 알아차렸어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