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왜 삼성은 2년밖에 OS업데이트를 해주는걸까?라는 질문에 관한 답변입니다

(게시글 작성 시간: 06-25-2020 09:38 AM)
2424 보기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옵션
갤럭시 A/J/노트

이게 전부는 아니고 제가 모르는 이유가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해 주시고 부족한 설명이여도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하면... 

 

일단 첫째 기기별 최적화입니다. 컴퓨터 조립해보시면 알겠지만 새 CPU나 GPU가 나올때마다 운영체제는 거기에 맞게 최적화가 되어야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가 AMD, 인텔, NVIDEA등의 부품이 새로 나올때마다 최적화를 하고 운영체제 유지보수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이게 제대로 안되면 인식이 안되서 모니터가 잘려보여나오거나 외장그래픽 인식이 안되는 경우 많이 보셨을 겁니다. 스마트폰도 똑같습니다. 이게 정말 소요가 많은 작업이고 마이크로소프트도 매번 빡세게 하는데 삼성이 기기 만들면서 이것까지 하려면 정말 직원들 갈려나갈겁니다. 

 

둘째는 안드로이드 커스텀입니다. 픽셀이나 과거 넥서스를 써본분들은 아시겠지만 안드로이드 기본 버전은 그야말로 썰렁 그자체입니다. 그걸 그대로 탑재했다가는 스마트폰 1개도 안팔릴겁니다. 그래서 각 제조사별로 서비스를 탑재하면서 기기 차별점을 위해 커스텀을 가해 여러 기능들을 넣는 것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안드로이드는 가이드 주고 각 제조사별로 알아서 뜯어고쳐 만들라고 던져주는 운영체제입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보다는 구글 플레이, 유튜브, 클라우드, 광고등에 더 비중을 두는 기업입니다. 안드로이드는 단지 수단이죠.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일종의 도구입니다. 이걸 운영체제 배포될때마다 해야하는데 프로그래머나 ui,ux 일해보신분들 알겠지만 진짜 죽음의 작업니다. 각 분기별 업데이트로 어플리케이션들 ui와ux 뜯어고칠때마다 개발자들 죽어나갑니다. 그말은 즉 앱보다 더한 운영체제는 시간과 노력이 비교못할정도로 많이들어갑니다. 그러니 적시에 업데이트가 힘들고, 소요가 많이 들어갑니다.

 

셋째  통신사 펌웨어입니다. 우리나라 통신사(SK.KT,LG)그리고 세계 각국 통신사별로 펌웨어가 탑재됩니다. 정확히 설명 드리자면 어려우니 간단히 눈에 보이는것을 설명하자면 폰 부팅때 각 통신사 로고 뜨고, 통신사 앱 기본설치가 바로 그것입니다. 한마디로 통신사에서 업데이트를 간섭하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각 통신사별 OS 업그레이드 시기와 보안 업데이트 날짜가 다른 이유입니다. 통신사 펌웨어 검수가 안되면 아무리 제조사나 구글이 배포를 해도 업그레이드가 안되는 것입니다. 그게 각 기기별로 모두 적용인데 삼성은 보급형까지 합치면 셀수가 없죠...그걸 모두 관리하는것도 벅찹니다.  첫째 둘째 모두 뚫어도 세번째 펌웨어에서 걸리면 방법이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이폰은 잘하는데 왜 안되냐 하시는데 아이폰은 세계 어디던 통신사 펌웨어가 없습니다. 애플과 통신사 관계에서는 애플이 압도적 갑의 위치에 있습니다.

 

한마디로 통신사, 구글, 기기제조사 이 세 집단이 모두 서로가 손발이 안맞는 것입니다. 이게 무조건적으로 기기제조사 잘못이냐라고 하면 그건 틀린 지적입니다. 최종적인 이유는 구글외에 제3의 운영체제가 존재하지 않고 안드로이드 ios 독점이기 때문입니다. 구글의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관한 정책과 시스템적인 개선이 안되는 이유가 힘들여 안해도 대체제가 없어 구글을 쓸 수 밖에 없어 바꾸지 않는것입니다. 그렇다고 통신사를 탓하기엔 애초에 구글이 아이폰에 맞서 시장진출을 하며 여러모로 통신사에 권한을 넘겨주며 계약을 한 영향이 큰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복잡한 이유로 업그레이드는 정말 쉽지 않습니다. 

 

 

31 댓글
익명586
Expert Level 2
갤럭시 A/J/노트
구글 정책이랑 독자 one ui라 더 늘리기 힘든건 맞지만.......;;;;;;;;
조금 더 해줬음 해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소비자입장인 저도 그렇습니다. 무조건적인 옹호는 아니지만 제조사에서 계산기 두들겨봤을때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애플처럼 서비스 수익도 없으니 더더욱 그렇죠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공감합니다
잘 설명해주셨네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감사합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苦盡甘來
Active Level 6
갤럭시 A/J/노트
라인업도 줄여야 할텐데...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쉽지 않은게 삼성의 세계 1위 점유율은 바로 그 중저가 라인업의 기기 판매수에서 나오기 때문에 포기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2022苦盡甘來
Active Level 6
갤럭시 A/J/노트
모르겠네요... 계속 2년마다 바꿀수도 없는 노릇이라...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이게 참 소비자입장에서는 아쉽죠....

NOTE105g
Active Level 3
갤럭시 A/J/노트
플래그쉽 라인이라도 해줫음 하네요 여러 이유가 잇어도 플래그쉽 만큼은 더 비싼값 더 많이남는 이윤을 가져가는 만큼 틀리게 서비스를 해줘야된다고 봅니다.. 당장은 힘들어도 서비스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네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이게 참 어렵네요...소비자인 제 의견도 같지만 어디까지나 키를 쥐고있는건 제조사와 구글이라

NOTE105g
Active Level 3
갤럭시 A/J/노트
이게 구글에서 가만히 잇어서 그런거같네요.. 구글에서 3회 권장으로 바껴야될텐데.. os점유율은 이미 고정된지 오래여서ㅠㅠ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구글도 나서서 할 이유가 없는게 별다른 노력 없이도 이미 점유율은 절대적이어서 그렇습니다. 모든 앱들이 안드로이드와 ios만 지원하는 상황에서 다른 운영체제가 비집고 들어갈 틈도 없죠

do0
Active Level 4
갤럭시 A/J/노트
라인업이 너무 많던데... a시리즈 해외판보니까 엄청많던뎈..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그 라인업이 바로 삼성의 하드웨어 수익과 점유율 방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걸 다른 대체제 없이 포기하기도 어렵고 실제 이렇다할 대책도 없습니다. 애플처럼 하드웨어 운영체제 둘다 만들지 않는 이상에는....바로 그 애플의 장점이 시가총액 1위와 프리미엄 전략으로 고가정책을해도 잘팔리는 이유죠

재량
Expert Level 5
갤럭시 A/J/노트
옆집 사과농장은 2014년 제품인 아이패드 에어2인가도 해주는데ㅠ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애플의 장점이 바로 그 적절한 운영체제 지원과 최적화이기 때문입니다.테크 인플루언서나 it유튜버, 그리고 트랜드에 민감한 젊은세대 대부분이 아이폰을 많이 쓰는 이유입니다. 그 점 때문만은 아니지만 현재 삼성에서 죽었다 깨어나도 아이폰 넘어서기 힘든 이유 중 하나입니다

0 좋아요
호라드림
Expert Level 3
갤럭시 A/J/노트
이거 구글에서는 몇회로 하라고 정책 준건 옛말이고
최근엔 디바이스 각 제조사에 위임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소위 판올림 메이저 업데이트는... 기술력의 문제보다
인건비나 개발비용등 부수적인 요인이 밀접한 관계로 알고있습니다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정책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일괄 강요가 아닌 권고입니다.강제성은 없었습니다.2번도 권고 였습니다. 말씀하셨다시피 기술력이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다만 거기에 소요되는 인력과 자금이 많고 거기에 대비해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판단한거죠..특히 삼성은 애플과 같은 소프트웨어 수익이 전혀 없는터라(애플페이 수수료, 앱 수수료, 애플 뮤직같은)

호라드림
Expert Level 3
갤럭시 A/J/노트
처음엔 2회로 정해준걸로 알고있었는데 아니였군요ㅜㅜ

아마 구글에서 최소 마지노선을 2회로 정해?둔거같네요
1번해주고 그만하지말라는 의미로?ㅋㅋ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맞습니다....강제사항은 아니었지만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 제조사들도 권고사항을 준수하면서 일종의 표준 비슷한 사항이 된거죠. 지금 os업그레이드의 키를 쥐고 있는건 다름 아닌 구글입니다. 시스템적인 변화나 정책변경(통신사에 넘겨준 권환들과 업그레이드 변경사항 등)없이는 제조사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원인은 지금 시장을 독점지배하고 있는 구글이 손을 놓고 방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구글 입장에서도 굳이 여러 일을 벌여가며 해야할 필요가 없죠. 굳이 안해도 안드로이드말고는 대체 운영체제가 없기 때문에

호라드림
Expert Level 3
갤럭시 A/J/노트
대다수 소비자 입장에서 이런 복잡한 사연을 알수없는 상황이니...

어찌됐든 무조건 2번보다 3번이 좋고.. 기왕이면 4번이 더 좋으니
언넝 횟수가 늘어났으면 합니다ㅎㅎ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그렇죠....거의 대부분 사용자분들은 모르고 계시죠. 이런걸 알고 있는 저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일하다보니 알게 된 사실이어서 아마 90%이상의 소비자들은 모르실겁니다. 저도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갤럭시 사용자 입장에서는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긴하네요

호라드림
Expert Level 3
갤럭시 A/J/노트
얼마전에 네이버 포스트 댓글에서 본인이 개발자라며
메이저 업데이트 횟수에대해 쓴 글을보니.. 저도 머리로는 2회...인건 이해하지만..
갤럭시 사용자로써.. 3~4회 해줬으면 하네요ㅎㅎ
욕심인가 권리인가.. 애매하네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소비자로써 욕심은 당연하죠...다른 경쟁사 물건에 비해 내가 산 물건이 더 좋고 좋은 서비스를 받으면 좋구요. 욕심이 아닌 당연히 생각할수 있는 사항입니다.저도 이해는 한다고 하지만  지금의 2회 업그레이드가 많이 아쉬워요..특히 전에 아이폰을 썼던 사람으로써 더더욱 그렇죠..제가 지금 쓰는 s8 전에 쓰던 아이폰은 이번 2020년 ios14 업그레이드  대상이더라구요.s8보다 한참전에 나온 폰인데도요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는 근데 2번째 빼곤 핑계에 가까워 보이는게 1,3번째는 아이폰도 참 잘해나가고 있다는것...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첫째 아이폰은 자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이기때문에 최적화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노트북과 pc에 인텔만 쓰는 이유죠.. 윈도우처럼 여러개쓰는게 아닌 그리고 인텔 일부모델만 쓰고요.(윈도우는 인텔만 해도 수백개가 넘는칩 모두를 신경써야하고요)그마저도 2020발표에서 이젠 앞으로는 pc와 노트북에 인텔도 안쓰고 cpu도 본인들이 만든 A칩셋을 쓴다고 하더군요. 세번째 통신사 펌웨어는 아이폰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애플과 통신사 관계는 다른 안드로이드 제조사와 구글과는 달리 모든 권환이 애플에 있고 애플이 갑입니다. 따라서 통신사 펌웨어도 없고  그증거로 부팅 때 통신사로고나 기본탑재 통신사앱도 없고, 기기 업그레이드도 전세계 아이폰에서 동시에 배포됩니다. 이걸 아는 이유가 제 주변 친구들이 아이폰 사용자고 저도 지금 쓰는 s8 이전에 아이폰 4년정도 사용했습니다. 덕분에 지금 다음 폰을 아이폰으로 할지 갤럭시로 할지 고민하고 있긴한데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적어도 모든 기종 다 3번씩 업데이트 해줬으면.....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구글에서  정책변경이나 안드로이드 시스템적인 변경이 아니면 현재로서는 제조사의 노력만으로는 힘듭니다. 수익도 수익이지만 그러기에 소요와 거쳐야할 과정이 너무 많아요. 지금 문제를 해결하는 첫 단추의 역할을 하는 구글이 권고만 하고 아예 손을 놓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마자요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타이젠 개발 완료 하면 됨. 중국은 폰과 컴 운영체제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데 삼성은 언제까지 구글에 종속되어 끌려 다니고 애플에 치이고만 있을건 지?
0 좋아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A/J/노트

중국이 그게 가능한 이유는 공산당 문화검열로 이미 구글 검색, 유투브, 구글드라이브등과 같은 구글 서비스 이용이 오래전부터 이미 불가능했던 상황입니다.  해외판매 스마트폰이라면 모를까 중국내수용은 거의 모든 서비스가 차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설령 해외판매가 부진해도 내수물량으로도 휴대폰 판매1위가 가능한 중국의 인구수가 수익도 커버가 가능합니다. 애초에 구글에 크게 영향을 안받아왔습니다. 그리고 컴퓨터도 마찬가지죠. 이미 어지간한 웹사이트나 서비스도 중국 공산당의 검열로 접속이나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런 상황과 달리 우리는 수출로 먹고 살고 있는 나라고 그런만큼 글로벌 국가들에서 많이 쓰는 운영체제 선택이 불가피합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내수로 기업이 버티고 수익을 내기에 우리나라는 인구수도 경제력도 미미합니다. 그리고 운영체제 만들게 되면 필연적으로 구글의 모든 서비스 이용이 제한을 받게 되는데 그러면 우리나라사람들부터 삼성폰 안사려할겁니다. 해외는 말할 필요도 없겠죠.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그리 간단히 감나와라 뚝딱 만들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애플도 몇십년을 걸쳐 쌓아오고 다른 기업들을 따라오지 못하도록 노하우와 실력을 어렵게 쌓은게 소프트웨어입니다. 그 중 가장 막내격인 구글 안드로이드와 ios도  거슬러 올라가면 리눅스와 맥os인데 그 역사만 20년 가까이 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10년동안  윈도우, 맥os, ios, 안드로이드 말고 새 운영체제 등장이 있던 적 있나요. 그 마이크로소프트도 모바일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독점적인 점유율에 못이기고 도전이 실패했습니다.타이젠도 똑같았죠. 그만큼  소프트웨어 파워는 절대적입니다. 삼성이 그 수십년의 격차를 단번에 따라잡을 만큼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제조업과 달리 소프트웨어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생태계의 힘이 그야말로 절대적인 파워를 자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