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스타
Active Level 3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7-11-2025 01:40 PM - 편집 07-11-2025 01:41 PM
갤럭시 S지난 글에서 디스플레이를 fhd+로 설정했을 때 발열이 사라졌다고 했는데
아주 다 사라진건 아니고 대략 2~5도 정도 하락하였음.
하지만 이러한 온도차이는 일반적인 웹서핑 같은 것을 했을 때의 차이고
원신과 같은 고사양 게임을 하였을 경우 기기의 온도상승은 더욱 가파르게 올라가여 결국엔 쓰로틀링에 걸리게 됨.
삼성전자의 박사급 인력들이 하드웨어의 발열관리를 위해 밤낮으로 고생하며 기술개발에 힘 쓰고 있겠지만
기기의 온도를 큰 비용 없이 2~3도만이라도 내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직원이 있다면 수십억의 보너스를 받을지도 모름.
하지만 만약 우리가 해상도 설정을 fhd+로 낮추어 기기의 온도를 5도 이상 내릴 수 있다면 프로세서의 성능은 쓰로틀링 없이 최대치로 뽑아내며 사용가능하다 봄.
다시한번 말하지만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육안으로 QHD+와 FHD+의 화질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움.
7 댓글
갤럭시s25플러스user
Active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0-2025 12:04 AM - 편집 10-10-2025 12:04 AM
갤럭시 S
헉 ㄷㄷ s25+의 proscaler가 작동해서 아마 온도가 소폭 높아진거 같긴 합니다.
Proscaler가 디스플레이가 저화질의 영상이나 게임을 할때 QHD로 업스케일링 하는 기술이라 QHD+로 설정했을때 쓰로틀링이 좀 더 일찍 걸리는거 같기도 하구요 ㅎㅎ
Proscaler가 디스플레이가 저화질의 영상이나 게임을 할때 QHD로 업스케일링 하는 기술이라 QHD+로 설정했을때 쓰로틀링이 좀 더 일찍 걸리는거 같기도 하구요 ㅎㅎ
갤럭시s25플러스user
Active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0-2025 12:09 AM ·
갤럭시 S
전 유튜브 볼때 아이돌을 4K HDR로 시청할때 시원함과 미지근함 사이로 온도가 좀 오른 느낌이 있기도 했습니다
갤럭시s25플러스user
Active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0-2025 12:11 AM ·
갤럭시 S
그리고 QHD+로 설정했을때가 FHD+로 설정했을때 보다 온도차가 벌어지는 이유가
요번에 s25+/Ultra에 공급되는 스냅 8 엘리트만 내장된 Proscaler 블록이 활성화 된다고 하더라구요 ㅎ
요번에 s25+/Ultra에 공급되는 스냅 8 엘리트만 내장된 Proscaler 블록이 활성화 된다고 하더라구요 ㅎ
갤럭시s25플러스user
Active Level 5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10-2025 12:05 AM ·
갤럭시 S
근데 해상도 외에는 조작변인이 거의 없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