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해결됨! 해결됨

제목:

갤럭시 RAM Plus(램 플러스) 지원 기기 (2021.12.18 기준)

(게시글 작성 시간: 12-18-2021 08:50 PM)
8547 보기
dlawoals2713
Active Level 7
옵션
갤럭시 S
램플러스는 삼성에서 A52s부터 지원시킨 가상 램 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여 기기의 램을 확장시킬수 있다네요....!


1. Galaxy A52s
2. Galaxy A52 5G
3. Galaxy Z Fold 3
4. Galaxy S21 시리즈
5. Galaxy A52
6. Galaxy A72
7. Galaxy M32
8. Galaxy S20 시리즈 (One ui 4.0 부터 지원)
9. Galaxy 노트 20 시리즈 (One ui 4.0 부터 지원)
10. Galaxy Z Fold 2
11. Galaxy Z Flip 5G
12. Galaxy Z Flip
13. Galaxy S10 시리즈 (One ui 4.0 부터 지원)
14. Galaxy 노트 10 시리즈 (One ui 4.0 부터 지원)
15. Galaxy Tab S7 FE
16. Galaxy Tab S6
17. Galaxy S20 FE
18. Galaxy Tab S7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One ui 4.0 업데이트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22 댓글
채택된 답변
minemap0035
Expert Level 5
갤럭시 S
one ui 4 올라간 기기들은 다 지원해요
그래서 z플립 3도 지원하고 z 플립 2는 존재하지 않아요
hdvsuebuebbeh
Active Level 1
갤럭시 S
돈 마크는 돈을 내고 깔는 거요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노트10시리즈, S20시리즈, 울트라모델은 램이 16기가까지 늘어나는건가요.. 좋네요
minemap0035
Expert Level 5
갤럭시 S
그렇긴 한데 off기능을 좀 넣어줬으면 하네요
12gb로 충분히 돌아가는데Screenshot_20211218-120758_DiskInfo.png
2021-12-6
Active Level 2
갤럭시 S
CPU GPU사용량 표기해주는 앱 이름좀 알 수 있을까요?
0 좋아요
채택된 답변
선그라스
Active Level 7
갤럭시 S
S21울트라 512모델은 20기가까지 늘어납니다.. 웬만한 컴퓨터보다도 높은 램크기죠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맙소사...
0 좋아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원가절감이면서 원가절감의 폐해입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램디스크 평이 안좋고요. 물리 램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죠

지난해 S20 FE 국내출시 모델과 올해 삼성 A라인 보급형 국내출시 모델에는 램2GB씩 너프한 6GB, S21 시리즈 울트라모델 제외한 S21 일반 모델과 S21플러스 모델은 4GB램 너프이고 물리 램용량을 줄여서 원가절감식의 가상 램은 물리 램보다 상대적으로 처리 속도가 느리고 128GB 작은용량에 용량 더 차지하게 만드는 벼룩의 간을 빼먹는것 같음.

S20 FE, A52s 국내판 6GB램 128GB = 보급형 용량으로 내수차별
S20 FE, A52s 해외판 이원화 8GB램 256GB = 준플래그쉽급 용량으로 넣어주었음

S20 FE는 플래그쉽에 들어가는 LPDDR5 램 규격, UFS 3.1규격이지만 급차이로 A52s에는 LPDDR4X 구형 램 규격, UFS 2.1 구형 내장 메모리 규격

(A52s는 중급기 보급형 A라인이라 LPDDR4X 램 규격 탑재한건 급차이로 그러려니 이해하지만요)


RAM Plus 스마트폰 내부 저장 용량을 사용하여 4GB 램을 추가로 확보해줍니다. 6GB 램을 장착한 한국 내수 모델 기준 최대 10GB 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해외 출시 국가 모델들 중에 8GB 램 출시 모델은 12GB 램을 사용 할 수 있게 됩니다

스마트폰 메모리 한계 왔나… 中 이어 삼성도 ‘가상 램’ 사용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760990

램 플러스 기능에 대한 해외 매체 평은..
해외 IT매체들은 이것이 새로운 기술이 아니고, 실제 램을 늘리는 만큼의 기기 성능 향상 효과를 내지는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조기억장치는 정보 저장 기능에 특화돼 있어 램 용량으로 할당해도 램만큼의 연산 성능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그동안 활용이 제한적이었던 기술을 올해 들어 업체들마다 개선하고 멀티태스킹용 램 용량 확보라는 수요가 맞물리면서 잇따른 상용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삼성전자 관계자는 “향후 램 플러스 적용 지역(국가)이 확대될 예정이다”라며 “적용 모델 확대 역시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저장공간인 UFS 내장메모리 규격에 따라 속도 차이도 있고요 가상 메모리는 디스크인 UFS 내장메모리 저장공간 일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물리 램을 사용하는것 보다 상대적으로 속도 처리가 늦습니다. 특히 A52s는 보급형 급차이라 LPDDR4X 구형 규격인데다 A52s의 탑재된 AP 스냅드래곤 778G 스펙에 비하면 UFS 2.1 구형 규격 탑재라 아쉬우면서 안타깝게도 언벨런스이며 내장메모리 UFS 3.0 규격이 아닌 하위 UFS 2.1 구형 규격이라 가용 용량이 줄어들면 기기의 속도는 떨어집니다. 내장 메모리 UFS 2.1 규격상 UFS 3.0, 3.1 규격 보단 속도가 더 느릴 수밖에요. UFS 3.0규격부터는 가용용량이 줄어 들어도 기기의 속도가 떨어지지 않게 되었습니다. 포맷을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던 EXT4 포맷이 아닌 삼성전자가 설계한 F2FS 포맷을 적용했고 그 결과, 낸드 플래시의 랜덤 쓰기 속도가 향상되었고 가용 용량이 줄어들어도 기기의 속도가 떨어지지 않게 되었습니다
갤럭시 S
S20 fe눈 안되는 거겟죠..ㅠ
minemap0035
Expert Level 5
갤럭시 S
one ui 4 올라가면 추가 됩니다
minemap0035
Expert Level 5
갤럭시 S
탭S7은 아직 one ui 4 자체가 출시되지 않았어요
minemap0035
Expert Level 5
갤럭시 S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갤럭시 S
갤럭시 A42 기종 도 지원합니다
채택된 답변
o9o9o9
Active Level 4
갤럭시 S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기능이었군요Screenshot_20211218-122823_Device care.jpg
pzv1014
Active Level 8
갤럭시 S
9시리즈도 넣어줬음 좋겠네요~😪🥺
minjae1025
Active Level 10
갤럭시 S
이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끊킨지 곧 2년이라..
GalaxyUnpacked
Active Level 9
갤럭시 S
전 용량 더 늘리고싶내요
minjae1025
Active Level 10
갤럭시 S
그럼 휴대폰 용량도 줄어듭니다
채택된 답변
영이옹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s10플러스를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s10은 정말 복받은 기계네요.1639801654603.gif
소닉
Active Level 5
갤럭시 S
탭s7지원된다고 아래 나와있네요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보급형 A라인은 너프된 낮은 램에 쥐어짜기식 임시방편 처방.플래그쉽, 보급형이든 가상 램은 물리 램을 사용하는것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고 안드로이드OS와 갤럭시폰은 많은 기능탑재와 발적화로 물리 램을 더욱 늘려줘야하는데 8램256GB용량 해외판 옵션과 달리 내수차별 국내판 A52s는 너프된 6램 128GB작은용량 쥐어짜서 저장공간 더 차지하며 악순환. 느린 가상 램 보단 물리 램이 높아야 좋습니다. 물리 램 줄여서 램 너프 해놓고 내장 스토리지 저장공간 이용해서 상대적으로 느린 가상 램으로 떼우게 하는건 또 너무 원가절감같음
전지충이
Active Level 8
갤럭시 S
램 플러스(가상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에 대한 설명. 기존에 삼성 폰에 이미 SWAP 공간이 지정되어 있었는데, 기존에 있던 것은 스왑 메모리라고 부르는게 맞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램 플러스 이름으로 추가된건 가상 메모리 방식이죠. 스왑 메모리랑 가상 메모리는 다른 방식으로 램 처럼 작동합니다. 아시다시피 스왑 메모리는 기본 저장 공간에 swap 파티션을 일정량 지정하여 RAM(실제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RAM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예약시켜 놓은 공간입니다.  그러나 보통 리눅스에서 가상메모리도 그렇고, 윈도우도 그렇고, 아마 안드로이드도 그럴 것 같은데 안정성 탓에 스왑파일 시스템으로 쓸 것 같은데... (스왑파일로 사용하지 않으면 리파티션으로 인한 전체 포맷이 필요). 가상메모리도 스왑메모리와 같이, 기본 저장공간의 일부의 한 영역(SWAP 영역)으로 사용하지만, 가상 메모리는 디스크를 RAM 처럼 쓴다는 의미가 아니라. 시스템에 부하로 인해 실제 메모리(RAM)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일부를 임시로 저장공간 일부 (SWAP 영역)에 저장시키는데, 저장 시킬 때는 가상 주소로 할당시켜놓고 RAM에다가는 할당된 가상 주소에 지정된 실제 메모리 주소로 불러들여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가상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램과 저장공간의 속도가 크게 달랐던 것이 맞았으나, 점차 저장공간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자, 여전히 램의 속도만큼은 아니지만, 램플러스와 같은 가상메모리도 실제로 램이 부족하다고 느끼지 못할 정도가 되었죠. 여전히 저장공간의 속도가 램 만큼 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이게 실제 메모리(RAM) 처럼 작동하냐고 한다면 아닙니다. 기존 램 스왑에 가상메모리(스왑)이 또 하나 추가되었다고 보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