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5-25-2025 12:51 AM ·
갤럭시 S안녕하세요, 삼성팀 여러분.
One UI 7을 탑재한 갤럭시 S24 울트라의 게임 및 에뮬레이터 성능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피드백을 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Red Magic은 Snapdragon 8 Gen 3 칩셋을 탑재한 Red Magic 10 Air를 출시했습니다. 이 모델은 9 Pro나 9S Pro와 달리 내부 쿨러가 없고 수동 냉각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대역폭 성능이 갤럭시 S24 울트라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 제품의 분해(Teardown) 영상을 분석해 보면, S24 울트라는 그래핀 기반의 써멀 패드를 사용하고 있고, 10 Air는 일반 써멀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 제품의 베이퍼 챔버도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쿨러가 없는 Red Magic 10 Air는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반면, S24 울트라는 게임이나 에뮬레이터에서 성능 저하와 발열 현상이 발생하는 걸까요?
ADB와 Scene 앱을 통해 확인한 결과, S24 울트라는 Red Magic 기기보다 TDP(열설계전력) 사용이 더 공격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과거 유럽에서 GOS 이슈(2018년)로 인해 성능 제한이 논란이 되었던 것을 알고 있으며, 그 후 SoC의 성능을 더 개방하셨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GOS는 성능을 제한하는 방식이 다소 비효율적입니다. 게임 성능에 중요한 "클럭"은 제한하고, 중요도가 낮은 "TDP"는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ARM 기반 SoC에서는 클럭 유지가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TDP는 오히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Red Magic 10 Air는 낮은 TDP로 고클럭을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삼성도 게임 및 에뮬레이터 환경에서 클럭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모드를 제공한다면, 더 낮은 TDP로 발열을 줄이면서 성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의 수명도 늘리고, 사용자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입니다.
Red Magic 10 Air가 내부 쿨러 없이도 이러한 최적화를 구현했다면, 더 우수한 쿨링 구조를 가진 갤럭시 S24 울트라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를 위해 보다 정교한 열 및 전력 최적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One UI에서 Winlator의 호환성 문제가 있는 점도 강조하고 싶습니다. 일부 앱과 게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실행됩니다. 처음에는 Snapdragon 8 Gen 3 칩셋의 한계라고 생각했지만, 같은 칩셋을 사용하는 제 친구의 Red Magic 9S Pro에서는 훨씬 더 나은 호환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게임은 특정 버전의 Winlator에서만 제대로 실행되고, 다른 버전에서는 성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또한 Winlator는 클럭이 고정되어 높은 주파수를 유지할 때 FPS가 훨씬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S24 울트라에서는 클럭이 수요 기반으로만 작동하여, 결과적으로 성능이 떨어지고 게임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Winlator 환경 또한 클럭과 TDP를 보다 정교하게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인 성능 향상을 이끌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