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플러스
Expert Level 3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1-23-2024 10:41 AM - 편집 11-25-2024 10:57 PM
갤럭시 S
고화소 저조도에 대한 아쉬운 품질의 글들을 종종 접하면서 출시 초기에 사용해 보고 야간에는 거의 쓰지 않는 기능이었습니다.
1. 50mp
최근 CamCyclopedia 내용을 읽다 옵션 변화에 따른 변화와 몇 번의 업데이트를 통해 현재는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궁금해 샘플을 만들어 비교해봤습니다.
Galaxy S24 Ultra
여러분은 4장의 사진의 차이점이 얼마나 느껴지시나요?
1. 손각대 50MP
2. 삼각대 50MP
3. 손각대 12MP
4. 삼각대 12MP
물론 촬영 환경과 피사체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위 사진의 경우 사실 딱히 뭐가 더 낫다라고 구분짓기에는 어려운 거 같습니다.
원본 사진을 확대하여 살펴보지 않는 이상 sns 게시하거나 가볍게 소비되는 이미지는 차이점을 느끼기 어려웠습니다.
어댑티브 픽셀 기능을 off 시키실 경우 장면에 따른 센서 모드 변경을 하지 않고 선택한 고해상도(200M/50M 등) 모드로 동작합니다
이런 작동 원리를 통해 저조도에서 어떤 결과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으며 항간에, 저조도에서 어댑티브픽셀을 끄는 게 낫다는 말도 있어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이런 작동 원리를 통해 저조도에서 어떤 결과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으며 항간에, 저조도에서 어댑티브픽셀을 끄는 게 낫다는 말도 있어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 빠른 결론
SNS와 스마트폰에서 소비되는 목적이라면 12MP의 사진이 용량과 이미지 품질 면에서 유용하며, 촬영 후 크롭 작업이나 고해상도 촬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삼각대를 활용하는 것이 품질 향상에 도움되는 결과를 보았습니다
SNS와 스마트폰에서 소비되는 목적이라면 12MP의 사진이 용량과 이미지 품질 면에서 유용하며, 촬영 후 크롭 작업이나 고해상도 촬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삼각대를 활용하는 것이 품질 향상에 도움되는 결과를 보았습니다
본론 이제 시작합니다!!!😅
1. 손각대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1번 사진이 대비나 선예도가 좀 더 뚜렷한 듯하나 그물이 좀 거친 느낌이 납니다. 저는 선예도가 떨어지더라도 3번이 더 나은 듯 보이고요.😅🤔
이런 부분은 사용자마다 취향의 영역인 거 같습니다.
2, 3번 차이는 잘 모르겠습니다.
야간 촬영 모드와 어댑티브 픽셀은 별개의 작동이라 알고 있어 비교군에 넣겠습니다.
좌측부터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이런 장면에서는 텍스처 디테일이 더 살아있는 1번이 좋아 보이네요.
좌측부터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확실히 1번 모든 옵션에 켜 있는 사진이 밤하늘의 노이즈도 그렇고 건물 표현도 더 나은 거 같습니다.
좌측부터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광량에 대한 처리가 옵션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확인됩니다.
좌측부터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암부 표현에서 어댑티브픽셀off, 야간 촬영 모드가 없는 3번은 뭉개는 결과가 나왔고 역시나 모든 옵션이 켜져 있는 게 여러 가지로 균형을 잡아가는데 좋은 거 같습니다.
2. 삼각대
삼각대에 거치하여 안정적으로 촬영했을 때 결과도 궁금했습니다.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여기서 확인되는 건 야간 촬영 모드 없이 손각대의 결과는 안정적이지 못한 흔들림 영향이 큰거 같습니다
그래서 삼각대 결과물이 이전 촬영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듯합니다.
1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n)
2 어댑티브펙셀 on (야간 촬영 off)
3 어댑티브펙셀 off (야간 촬영 미지원)
이 사진도 손각대와 차이점이 보이네요. 찾으셨나요?
3.옵션 변화 그럼 바나나의 생각은?
가장 크게 느껴진 점은 야간 촬영 모드가 흔들림 방지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이었습니다. 반면, 어댑티브 픽셀의 유무는 픽셀 관련 기능이라 그런지 사진 전반에서 큰 변화로 체감되지는 않았습니다.
확대해서 자세히 보면 모든 영역에 고르게 적용되지는 않지만, 어두운 부분을 밝게 처리한 흔적들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수반되는 노이즈 증가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보아, 노이즈 억제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아마도 이러한 프로세싱으로 인해 이미지가 약간 부드러워지는 변화를 보이는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종합 의견으로 객체마다 또렷한 라인으로 인공적인 느낌보다 빛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흐릿해지고 스마트폰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고려해 야경에 일부 노이즈에 대해 허용하는 입장이라 촬영 조건만 따라준다면 어댑티브 픽셀을 꺼두는 촬영도 하나의 선택지가 될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4. 손각대와 삼각대 비교
좌측부터
1.손각대
2.삼각대
좌측부터
1.손각대
2.삼각대
좌측부터
1.손각대
2.삼각대
전체적으로 삼각대를 사용하면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5. 12MP 과 50MP 차이?
사실 동일 선상에서 비교가 되지 않지만 커뮤니티에 종종 올라와서 비교해봤습니다.
2. 12mp
일부러 확대해서 보지 않는다면 사실 스마트폰에서 소비되는 환경에서 차이를 알기란... 저는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풀 사이즈로 펼치면 두 해상도 차이로 직접적인 비교군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50mp 확대해서 맞췄을 때 12mp처럼 축소했을 때 이미지 차이를 살펴보도록 하죠.
이미지를 눌러 크기게 보면, 오른쪽 12mp 사진은 픽셀화 되어 사진의 의미가 상실됩니다. 게시물 본문에 첨부된 사진은 축소되어 차이가 없어 보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좌측 50mp 사진을 우측 12mp 사진에 맞춰 축소
축소의 경우 pc에서 보더라도 어떤 장점이 있다고 말하기 뭐할 정도로 차이점을 느끼기 어려웠습니다. 이런 점을 봐서 굳이 고화소 저조도 촬영이 필요한 게 아니라면 용량 면에서도 이미지 품질 면에서도 12mp 유용할 듯 보였습니다.
6. 끝👋👋👋
내용이 길어 몇 분이나 볼지 모르겠으나 호기심 많은 궁금이 분들과 함께 심심풀이 게시물을 작성해봤습니다.😅😅
기능이 많은 만큼 내게 필요한지 사용 목적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다들 유용한 기능 잘 활용하시길 바라며 작성 끝.👋👋
11 댓글
바나나플러스
Expert Level 3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1-23-2024 12:26 PM - 편집 11-23-2024 12:27 PM
갤럭시 S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내용이 너무 많아 빼놓은 업스케일링 되는 부분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저조도 고화소 이용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면 12MP 사진이 범용적으로 활용도가 좋은 선택지가 아닐까 생각이 정리되더라고요.
물론 제가 경험해보지 못한 환경에서 다양한 이야기도 궁금합니다 😂
머찐저승사지님 관점 리뷰도 기다릴게요 👍 👍
내용이 너무 많아 빼놓은 업스케일링 되는 부분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저조도 고화소 이용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면 12MP 사진이 범용적으로 활용도가 좋은 선택지가 아닐까 생각이 정리되더라고요.
물론 제가 경험해보지 못한 환경에서 다양한 이야기도 궁금합니다 😂
머찐저승사지님 관점 리뷰도 기다릴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