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6-26-2023 12:44 AM - 편집 06-28-2023 06:44 AM
갤럭시 S인트로
모바일 제조사들도 이제 자신들한테 맞는 옷을 찾아서 핏하게 출시하는 제조사가 있는 반면 자신한테 맞지 않는 옷을 입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경쟁사를 따라하기 바쁜 그룹으로 나뉘는 것 같아요.
여기서 자신의 옷을 잘 찾아서 트랜디하게 가는 제조사가 대표적으로 애플, 샤오미, 소니 정도가 있고 나머지는 자신의 옷을 찾고 있거나 자신의 분수에 맞지 않게 경쟁하는 제조사도 종종 보이는 것 같아요.
뭐, 그럼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소비자가
직접 찾아서
최적화를 연구하는게
맞는건가?
Galaxy S22 시리즈는 21 시리즈의 문제점을 대폭적으로 개선을 하여 출시한 기함 모델은 맞지만 삼성의 욕심과 절약정신으로 인해 이상하게 흘러가던 모델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첫 번째 문제로 뽑자면 GOS도 있지만 One UI부터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야할 것 같아요. 삼성을 상징하는 UI는 타사하고 비교하면 기능은 타의 추종을 부러워할만큼 많고 그만큼 보수적으로 진행하는 시스템들
기능이 많기로 유명한 샤오미도 3 년전부터 사용자가 필요없는 기능 및 설정적인 기능들을 필수적으로 설치를 안할 수 있도록 바뀌고 있죠. 뭐, 소니는 아예 구글 순정처럼 아예 간 제조사도 있지만요.
그에 비해 삼성은 무거운 용량과 많은 기능들을 자랑하고 있죠. 그래서 해결 방안으로 생각한 부분은 Bixby + AR 기능들을 adb로 밀어버리는 걸로 해결책으로 생각을 했어요. 실제로 adb로 밀어버리니까 발열도 크게 줄여들고 퍼포먼스도 크게 향상이 되었어요. 그리고 터치 반응 속도도 비약적으로 좋아졌고요. 16개월동안 사용하면서 큰 문제점이거나 버그는 전혀 없었어요. 덤으로 배터리 타임도 꽤 안정적으로 떨어진 덕분에 평균적으로 7시간 30분 ~ 7시간 50분 정도 가는 일들도 꽤 종종 보이고요.
두 번째로는 구글과 겹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adb로 밀어버려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용량 및 ROM 용량을 확보가 가능할까라고 생각을 하고 시도를 해봤는데 RAM 효율이 엄청 좋아졌어요. 일단, 삼성 기기들의 문제점이 RAM 효율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닌데 그 점을 해결이 되었더라구요.
adb로 밀어버리기 전에는 2.6~3.1GB 정도 후에는 3.7~4.1GB 정도 남는 경우들이 종종 보이더라구요. 정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어요.
사실, 삼성 자사 어플리케이션들이 기본적인 용량도 무겁고 캐시를 드럽게 많이 잡아먹는 점이 큰 문제였지만요.
여기까지만 보면 Bixby + AR과 삼성의 자사 어플리케이션하고 구글하고 겹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삼성 자사 어플리케이션들을 adb로 밀어서 시스템용량, ROM 및 RAM 용량을 효율적으로 확보를 하는 것으로 최적화를 했어요.
그럼, 마지막 하나가 남았죠? 그거를 밀었을 때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셋 번째로는 Gos 해제 및 비활성화를 하는 행위를 adb로 밀어버리면 됩니다. 중요한 점은 크게 드라마틱 점들은 없지만 배터리 부분에서 큰 변화가 있었어요.
8시간 20분 ~ 8시간 45분 정도 가는 수치를 볼 수 있었어요. 아, 그리고 발열도 꽤 제법 잘 제어도 하고요.. 사실 이게 정상적인 SD 8Gen1의 모습인데... (26°to31°라는 수치를 보았을 때 삼성 기기라는 걸 감안 했을 때 안정적인 수치)
결국 삼성의 욕심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욕심이 많은 만큼 최적화라도 잘하면 아무 말 없이 쓰겠지만....
이러한 방법들을 직접 찾아서 연구를 하고 최적화를 하는 작업들을 소비자가 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실사용은
나쁘지
않았어요.
SD 8Gen1 with Non Bixby + AR One UI with Non Gos 조합은 좋은 조합였어요.
배터리 오래가고 성능도 꽤 출중하고 캠팩트한 사이즈 (동급 대비 92% 정도 끌어올린...) 그리고 덤으로 괜찮은 카메라...
사실 SD 8Gen1은 큰 잘못이 없어요. 단지 어버이를 잘못 만날 뿐이죠.
사실 이 정도로 작업을 한 상태에서 나쁜 성능을 뽑아주는게 이상하죠. 하지만 삼성은 가능합니다. 여러분들은 잘 모를 수도 있지만 타사 같은 경우 SD 888 / SD 8Gen1 최적화를 툴 제공하는 루트를 알려주거나 업데이트로 툴를 제공하는 방식들을 탑재해주어서 제법 꽤 쾌적하게 사용했어요.
어떻게 알고 있냐고요? 그거 서브 폰이 샤오미 12 모델을 쓰기 때문에 알고 있는 거라서... 추후 샤오미 12를 따로 리뷰로 작성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워낙 좋은 폰이라서 ㅎㅎ
그럼, 마무리를 해야겠죠?
SM7
같은
기함 폰 였다...
르노삼성자동차가 삼성이 직접 자동차를 제조하지 않고 프랑스 르노 회사에서 가져오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죠. 물론, 2006년 까지는 일본의 명가 브랜드인 닛산에서 그대로 가지고 와 나름 2인자 자리까지 간 기억이 있네요. 그 후부터가 르노 자동차에서 가지고 온 자동차를 다시 삼성의 색깔 입히면서 떡락으로 가지만요... (프랑스 본사에 있는 르노는 잘 살아있다는 점)
요즘 삼성의 모바일 기기들도 비슷한 것 같아요. TSMC에서 설계하고 공정한 기기들은 좋은 성과가 받은지 언정 삼성이 직접 설계하고 공정한 기기들은 혹평을 받는 점들을 보면 르노삼성하고 비슷하지 않나 싶어요.
총평
-7.2 / 10-
삼성이 직접 공정하고 설계한 ap를 탑재한 모델치곤 나름 선빵을 강하게 준 정도... 나머지는 삼성의 최적화가 타사에 비해 밀린 점들을 감안해도 현 시점에서 구매를 하였도 큰 문제는 없다.
사실 23/+하고 ap, 챔퍼,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거의 동일한 부품들을 탑재했으니까요.
그러고보니 이제 카메라 이미지 센서 바꿀 때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제조사들은 같은 렌즈를 쓰더라도 최신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데 삼성... 대단한 기업이죠... 그렇습니다. 같은 렌즈 크기, 같은 이미지 센서... 울트라 라인업들도 카메라 부분에서는 여전히 큰 발전이 없어서... 이제는...
4 댓글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6-26-2023 12:51 AM - 편집 06-26-2023 01:29 AM
갤럭시 S
제가 찾은 방법은 일반인들한테는 크게 추천하지 않는 방법이예요.
전문적인 지식도 요구하지만 현장에서 나오는 경험도 요구하는 최적화 방식이지만 한 번 성공하면 타사처럼 좋은 성능을 미치듯이 뽑아주는 방법은 맞는 것 같아요. (안 했을 경우 동급대비 35~45% 정도의 성능을 뽑는다고 보면 될 거 같아요. // 22 시리즈를 포함한 모든 삼성 폰들 포함임.)
전문적인 지식도 요구하지만 현장에서 나오는 경험도 요구하는 최적화 방식이지만 한 번 성공하면 타사처럼 좋은 성능을 미치듯이 뽑아주는 방법은 맞는 것 같아요. (안 했을 경우 동급대비 35~45% 정도의 성능을 뽑는다고 보면 될 거 같아요. // 22 시리즈를 포함한 모든 삼성 폰들 포함임.)
빨판상어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6-26-2023 08:11 AM - 편집 06-26-2023 01:29 PM
갤럭시 S
삼파에서 만들었던 2100, 2200, 888, 8g1은 기본적으로 그당시의 저조한 수율로 인해 양품의 기준이 낮아 뽑기에 따라 AP의 성능과 유지력이 천차만별입니다. 거의 한세대급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어요. 남들은 이렇다 저렇다 해도 내것이 뽑기가 크게 성공했거나 망했으면 나한테는 해당없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3도 그렇게 좋게는 안보는게.... 23이 본질적으로 22에서 큰 변화 없이 AP/메인센서만 교체되고 다른 부분에서의 변경점은 별로 없는 물건이라서 원가절감의 망령이 아직도 강한 폰으로 보입니다. 기본모델의 경우 이것저것 많이 더 넣어주긴 했지만 15%나 가격인상을 단행한 마당에 그게 큰 의미를 가지긴 어려운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3도 그렇게 좋게는 안보는게.... 23이 본질적으로 22에서 큰 변화 없이 AP/메인센서만 교체되고 다른 부분에서의 변경점은 별로 없는 물건이라서 원가절감의 망령이 아직도 강한 폰으로 보입니다. 기본모델의 경우 이것저것 많이 더 넣어주긴 했지만 15%나 가격인상을 단행한 마당에 그게 큰 의미를 가지긴 어려운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