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8-2022 10:39 AM ·
갤럭시 S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8-2022 10:54 AM ·
갤럭시 S물론 화소가 화질은 아니기도 하고요
야외에서 빛이 누가봐도 많은 상황에서는 기본보다는 잘 나올수 있는데 사실 그런 상황이 일상적이지도 않죠
삼성이 잘못 한 부분이 1억화소 강조해서 1억화소를 기본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조건이 안 맞아서 오히려 화질 안 좋다는 평을 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1억화소 이런 것 말고 센서 크기랑 조리개 좀 개발하면 좋겠습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8-2022 12:55 PM ·
갤럭시 S아시다시피 고만고만한 센서들 사이에선 Computational photography 즉, 칩셋 성능이 중요한데 아직 그부분에서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만큼 단순 수치로 제품의 매력을 강조하는 것 그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전 1억화소 보다 10X 광학줌에 매력을 엄청 느끼고 있습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10-09-2022 04:01 PM ·
갤럭시 S다른 스마트폰들의 12MP와 생각보다 차이가 나긴 합니다만.. 비닝센서 + 센서사이즈의 한계로 102MP DSLR과 비교하면 S22U의 108MP는 많이 아쉽죠
10-11-2022 10:54 AM ·
갤럭시 S포토글래퍼 님,
안녕하세요. 카메라 담당입니다.
먼저 고화소(108MP) 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소중한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108MP 고해상도 촬영을 하실 때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 2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을 (Adaptive Pixel) 하게 됩니다. 먼저 12MP로 촬영을 하여 밝은 이미지를 얻어 기본 디테일을 확보하고, 그 다음 고화소(108MP)로 촬영하여 108MP의 디테일을 얻어 합성하는 Adaptive Pixel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고화소(108MP)의 경우 항상 광학 x1.0배 광각(Wide) 줌 카메라 렌즈 만을 사용해서 촬영하고 있고, 줌 배율을 변경하여 촬영하시는 경우에는 디지털 줌으로 변경되며, 이러한 디지털 줌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시는 경우 광학 줌과는 다르게 그 위치에서 찍은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광학 줌으로 촬영된 이미지와는 다른 화질을 제공하는 것 이라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러한 고화소 사진을 잘 촬영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빛(수광량)이 충분한 야외에서 사용해주시길 권해드리고 있으며, 사용중인 S22울트라 모델의 경우 디테일 향상(Detail Enhancer) 기능을 이용하면 AI를 통해 선명도를 향상 시켜주는 알고리즘이 동작하여 여러 장의 멀티프레임 처리를 통해 (super resolution) 확보된 디테일을 추가로 개선하는 솔루션을 제공드리고 있으며, 특히 야외와 같이 밝기가 보장 되는 환경에서 많은 픽셀들을 모아서 처리하여 높은 성능의 해상도가 나오기 때문에 더욱 선명하고 디테일한 사진을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고화소 모드로 사진을 촬영 시 심도가 얕고 초점 거리가 길어서 같은 거리에서도 큰 센서를 사용하는 DSLR 처럼 중심부 외 영역인 주변 부는 자연스러운 흐림(아웃포커스) 효과가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고화소 사진을 촬영 하실 때는 가급적 휴대폰을 평평한 바닥 또는 삼각대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해주시길 권해드리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S22의 광각 카메라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동일 피사체를 확대 하였을 때 세부 디테일 표현에서 물리적인 해상력의 차이로 일부 차이가 있어 보일 수는 있지만 사용자 개개인 마다 호불호가 많이 존재하는 감성의 영역이기 때문에 당사에서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개발 방향을 결정해오고 있습니다. 남겨주신 소중한 의견 또한 당사 개발자가 개발 방향을 고민하고 결정하는데 있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