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onymous
해당 사항 없음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25-2019 11:14 PM ·
기타
많은 분들이 지코가 갤럭시 쓰는거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하죠. 어반컬쳐 기반의 직업, 배경과 트렌디함
은 갤럭시와 어울리지 않다는거죠. 그런데 '의외성'
이 대중들에게, 특히 젊은층들에게는 크게 다가오는
모양입니다. 사실 아이폰에 대한 피로도는 최고조에
달했다는게 개인적 판단입니다. 예전 10대 학생들이
특정업체의 패딩을 입지 않으면 유행에 뒤쳐진다고
생각하고 누구나 입었는데, 지금은 시들시들해졌죠.
어쨌든 그와비슷하게 요즘 젊은층은 극단적으로 볼
때 대다수가 아이폰을 씁니다.
이럴때 갤럭시의 방향성은 흔하디흔한 제품이 아닌
또 다른 트렌디한 제품이 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부터 생각한거지만, 삼성은 아디다스가 돼야합
니다. 매출과, 수익, 판매량, 영향력은 미국기반의 나
이키보다는 밀리지만 아디다스는 나이키못지 않게
사랑받는 브랜드죠. 개인적으로 아디다스를 더 좋아
합니다.
아쉽지만 삼성은 아디다스가 아닙니다. 아디다스
가 되기에는 젊은층 기반 유저가 붕괴됐죠.
지코의 예를 든 것은 그만큼 의외성을 더 많이 만들
어야합니다. 애플이 젊은층 기반이니까 우리는 노년
층을 공략하자! 가 아니라 미국 기반의 애플 보다는
규모나 영향력이 떨어지더라도 아디다스 처럼 경쟁
관계가 돼야합니다.
의외성은 인플루언서들의 선택도 중요하고, 제품
의 경쟁력도 중요합니다.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요...
완제품 사업과 반도체, 부품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기
때문에 경쟁사 눈치를 보고 보수적으로 경영하는 것
도 이해가 가지만 이제는 '의외성' 이 필요할 때가 아
닌가 생각됩니다. 모든 산업, 사업이 다 그렇지만 주
력 소비자층으로 멀어질 수록 어려워지죠...
생각하죠. 어반컬쳐 기반의 직업, 배경과 트렌디함
은 갤럭시와 어울리지 않다는거죠. 그런데 '의외성'
이 대중들에게, 특히 젊은층들에게는 크게 다가오는
모양입니다. 사실 아이폰에 대한 피로도는 최고조에
달했다는게 개인적 판단입니다. 예전 10대 학생들이
특정업체의 패딩을 입지 않으면 유행에 뒤쳐진다고
생각하고 누구나 입었는데, 지금은 시들시들해졌죠.
어쨌든 그와비슷하게 요즘 젊은층은 극단적으로 볼
때 대다수가 아이폰을 씁니다.
이럴때 갤럭시의 방향성은 흔하디흔한 제품이 아닌
또 다른 트렌디한 제품이 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부터 생각한거지만, 삼성은 아디다스가 돼야합
니다. 매출과, 수익, 판매량, 영향력은 미국기반의 나
이키보다는 밀리지만 아디다스는 나이키못지 않게
사랑받는 브랜드죠. 개인적으로 아디다스를 더 좋아
합니다.
아쉽지만 삼성은 아디다스가 아닙니다. 아디다스
가 되기에는 젊은층 기반 유저가 붕괴됐죠.
지코의 예를 든 것은 그만큼 의외성을 더 많이 만들
어야합니다. 애플이 젊은층 기반이니까 우리는 노년
층을 공략하자! 가 아니라 미국 기반의 애플 보다는
규모나 영향력이 떨어지더라도 아디다스 처럼 경쟁
관계가 돼야합니다.
의외성은 인플루언서들의 선택도 중요하고, 제품
의 경쟁력도 중요합니다.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요...
완제품 사업과 반도체, 부품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기
때문에 경쟁사 눈치를 보고 보수적으로 경영하는 것
도 이해가 가지만 이제는 '의외성' 이 필요할 때가 아
닌가 생각됩니다. 모든 산업, 사업이 다 그렇지만 주
력 소비자층으로 멀어질 수록 어려워지죠...
9 댓글
GOLDPOOH
Active Level 8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2-26-2019 12:45 AM ·
기타
저는 좀 다르다고 보는게 아디다스는 패션 기업이고 삼성은 it기업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며 재밌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프리미엄성을 요구하던 애플은 이제 판매량이 화웨이에게 내주게 생겼습니다. 그러먄 화웨이는 프리미엄으로 2위를 차지했나요? 가격으로 본것이죠. 중국기업이라는 이유로 무시하면 안됩니다. 물론 중국이라는 영향으로 성장하긴 했지만 애플 화웨이 삼성 모두 기업입니다. 제품들의 수익을 따지고 투자할지 말지 결정을 하는 것이죠. 핸드폰은 엄연히 패션이 아닙니다. 기술력 싸움이죠.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써보면서 이 기업 좋구나 라는 생각을 각인시켜야 합니다. 보급력을 높여야 된다는 말이죠. 프리미엄이라는 명분으로 가격 지키다가는 이제는 다음 기술 투자자본 또한 없어집니다. 저는 삼성이 디자인보단 기술력이랑 보급성으로 나갔으면 합니다. 이 글을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그냥 재미있게 읽어주시면 합니다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