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orony
Active Level 6
옵션
-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6-11-2019 05:03 PM - 편집 06-11-2019 11:11 PM
기타
휴대폰 사용 중에, 카메라 모드에서 HEVC 코덱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이에 관련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근데, 궁금한 사람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어요. 그냥 써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보시겠죠.)
HEVC란?
HEVC는 High Efficiency Video Codec의 약자로, H.265와 동등하게 사용되는 코덱의 종류입니다.
(H. 265라고 부르거나, HEVC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삼성전자에서 NX1에 H.265 기술을 적용하기도 했죠! 쳘수해서 더는 볼 수가 없네요 ㅜ.ㅜ)
H.264 대비 압축 효율이 2배 가까이 되는 기술이죠. 압축률이 높은데 품질도 좋아서 아주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입니다.
보통, 압축률이 높으면 품질이 떨어지는 데에 반하여 HEVC는 품질도 나쁘지 않습니다.
.MOV 코덱 파일을 H.264 코덱으로 압축할 경우 어느정도 품질은 떨어지지만 HEVC는 품질도 괜찮다는 점!
(실제 상업 환경에서는 H.265(HEVC)보다 H.264 코덱을 많이 활용하죠. 물론 저 또한)
H.264의 후계자로 H.265(HEVC)가 있겠지만 최근 오픈소스인 AV1 코덱을 개발하고, 또 이 기술을 채택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향후, HEVC와 AV1 코덱을 같이 지원할지 아니면 AV1 코덱만 지원할지는... 삼성만 알겠죠.
(높은 분들만 알고 계시려나요? 엣헴)
그러니까 그냥 쉽게 말해서
용량은 더 작게, 품질은 나쁘지 않게 또는 좋게 녹화를 할 수 있지만,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불가능하거나 공유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HEVC의 프로파일별 지원 기술 및 레벨별 특징은 웹 검색을 통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DR10이란?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가까운 밝기의 범위를 HDR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방송 및 동영상 콘텐츠들 중에 SDR (Standard Dynamic Range)의 경우 8bit 기반으로 표현 가능한 명암비는 최대 1000:1 수준입니다.
HDR(High Dynamic Range)은, 10bit 기반으로 표현 가능한 명암비는 최대 100,000:1의 명암비를 가지며, 10000nit를 지원합니다.
그러니까 그냥 쉽게 말해서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 DR이 더 넓게 확장되어 실제로 보는 것과 같이 실감나게 전달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참고 : DR(Dynamic Range)란, 사람이 눈으로 보는 범위를 말한답니다
이에 관련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근데, 궁금한 사람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어요. 그냥 써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보시겠죠.)
HEVC란?
HEVC는 High Efficiency Video Codec의 약자로, H.265와 동등하게 사용되는 코덱의 종류입니다.
(H. 265라고 부르거나, HEVC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삼성전자에서 NX1에 H.265 기술을 적용하기도 했죠! 쳘수해서 더는 볼 수가 없네요 ㅜ.ㅜ)
H.264 대비 압축 효율이 2배 가까이 되는 기술이죠. 압축률이 높은데 품질도 좋아서 아주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입니다.
보통, 압축률이 높으면 품질이 떨어지는 데에 반하여 HEVC는 품질도 나쁘지 않습니다.
.MOV 코덱 파일을 H.264 코덱으로 압축할 경우 어느정도 품질은 떨어지지만 HEVC는 품질도 괜찮다는 점!
(실제 상업 환경에서는 H.265(HEVC)보다 H.264 코덱을 많이 활용하죠. 물론 저 또한)
H.264의 후계자로 H.265(HEVC)가 있겠지만 최근 오픈소스인 AV1 코덱을 개발하고, 또 이 기술을 채택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향후, HEVC와 AV1 코덱을 같이 지원할지 아니면 AV1 코덱만 지원할지는... 삼성만 알겠죠.
(높은 분들만 알고 계시려나요? 엣헴)
그러니까 그냥 쉽게 말해서
용량은 더 작게, 품질은 나쁘지 않게 또는 좋게 녹화를 할 수 있지만,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불가능하거나 공유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HEVC의 프로파일별 지원 기술 및 레벨별 특징은 웹 검색을 통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HDR10이란?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가까운 밝기의 범위를 HDR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방송 및 동영상 콘텐츠들 중에 SDR (Standard Dynamic Range)의 경우 8bit 기반으로 표현 가능한 명암비는 최대 1000:1 수준입니다.
HDR(High Dynamic Range)은, 10bit 기반으로 표현 가능한 명암비는 최대 100,000:1의 명암비를 가지며, 10000nit를 지원합니다.
그러니까 그냥 쉽게 말해서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 DR이 더 넓게 확장되어 실제로 보는 것과 같이 실감나게 전달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참고 : DR(Dynamic Range)란, 사람이 눈으로 보는 범위를 말한답니다
여튼 저튼 무튼! 동영상 프로모드 기능을 추가해주세요.
그러니까 동영상 프로모드 기능을 추가해주세요.
9 댓글
koorony
Active Level 6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6-11-2019 11:08 PM ·
기타
YOUTUBE 업로드 기본 권장 코덱은 H.264입니다.
( 참고 :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hl=ko )
저희 팀을 비롯한 제가 아는 상업 팀들은 H.264를 사용하시더군요.
(촬영 포맷이 .MOV인 경우, 최종 출력본은 H.264라는 사실)
HDR 콘텐츠를 굳이 SDR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까요...? HDR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SDR로 재생되기 때문에 프레임 드롭이나 여러 오류 증상이 보일 수 있어요
HDR을 지원하는 기기에서는 흔히 일어나는 오류는 아니지만,
유튜브에서도 심지어 프레임 오류가 발생하니까요...
( 참고 :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hl=ko )
저희 팀을 비롯한 제가 아는 상업 팀들은 H.264를 사용하시더군요.
(촬영 포맷이 .MOV인 경우, 최종 출력본은 H.264라는 사실)
HDR 콘텐츠를 굳이 SDR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까요...? HDR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SDR로 재생되기 때문에 프레임 드롭이나 여러 오류 증상이 보일 수 있어요
HDR을 지원하는 기기에서는 흔히 일어나는 오류는 아니지만,
유튜브에서도 심지어 프레임 오류가 발생하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