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삼성 갤럭시 버즈3 개봉기

(게시글 작성 시간: 08-08-2024 05:58 PM)
1165 보기
아시엘르
Active Level 10
옵션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
저번달 갤럭시 버즈3 프로 개봉기에 이어서 갤럭시 버즈3도 개봉기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갤럭시 버즈3 시리즈는 이번에 2가지 모델을 동시에 출시하면서 2-트랙 전략을 내세웠습니다. 프로 모델에는 커널형, 일반 모델에는 오픈형으로 갤럭시 버즈 론칭 이래로 2가지 모델을 동시에 출시한 적이 없기도 합니다.

갤럭시 버즈 시리즈의 오픈형 이어폰 출시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기대하셨던 것도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갤럭시 버즈 라이브가 시리즈 내에 유일한 오픈형 이어폰이었고, 올해로 벌써 4년이나 되어 오래된 폼팩터를 활용하고 있다 보니 말이죠. 거기에 갤럭시 버즈 라이브는 2세대 모델의 출시가 취소되었기 때문에 오픈형 이어폰이 영영 나오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_DSC5612.jpg_DSC5613.jpg

하지만 이렇게, 줄기도 달리면서 오픈형으로 갤럭시 버즈3가 찾아왔습니다.
초기 갤럭시 버즈, 버즈2, 버즈3 모두 형태도 기능도 독특한 제품으로 거듭나게 되었네요.

_DSC5614.jpg

버즈3 프로와 패키징은 동일하지만 상자 색상이 프로는 블랙, 일반은 화이트가 유지되는 모습도 확인 가능합니다.

_DSC5615.jpg_DSC5616.jpg

커널형이었던 버즈2, 같은 오픈형 계보인 버즈 라이브의 상자랑 같이 놓고 보면 이렇습니다.

버즈 라이브 디자인은 지금 봐도 참 독특하네요.

_DSC5617.jpg_DSC5618.jpg

깔끔하게 풀 탭을 뜯어낸 뒤에 상자를 열어서 버즈3를 만날 수 있습니다.

버즈3 프로는 이상하게 상자가 서로 세게 맞물려있었는데 버즈3는 되게 잘 열리네요.

_DSC5619.jpg_DSC5620.jpg

위쪽에 있는 액세서리 상자도 꺼낸 뒤에 펼쳐보면 버즈3의 모든 구성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즈3 1쌍과 충전 케이스, USB-C 케이블과 간단 사용설명서입니다.

오픈형 디자인이라 별도 이어팁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_DSC5621.jpg

버즈3 프로를 화이트로 구입했기 때문에 버즈3는 실버로 가져왔습니다.

그렇다 보니 USB-C 케이블이 블랙으로 제공됩니다. 케이블 모델은 EP-DR630으로 버즈3 프로에 들어있는 것과 동일합니다. 자재 번호는 GH39-02173A입니다.

_DSC5622.jpg_DSC5623.jpg

간단 사용 설명서의 내용도 버즈3 프로에 있는 것과 같다고 보셔도 좋습니다.

대신 오픈형으로 되어있는 버즈3인 만큼 이어버드 모양만 바뀌어있습니다.

_DSC5624.jpg_DSC5626.jpg_DSC5628.jpg_DSC5629.jpg

버즈3의 충전 케이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버즈3 시리즈는 화이트의 경우 유광 마감으로 제공되지만 실버의 경우 메탈릭 느낌이 나는 무광 마감으로 제공됩니다.

도료나 색상의 고급스러운 느낌은 꽤 괜찮았습니다. 어두운색이다 보니 상단 리드도 어두운 틴팅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_DSC5630.jpg_DSC5631.jpg_DSC5632.jpg

갤럭시 버즈2와 갤럭시 버즈3를 놓고 비교해 보면 이런 느낌입니다.

서로 디자인 연관성은 없다고 봐도 좋습니다.

갤럭시 버즈 시리즈는 프로 모델에만 무광 마감을 적극적으로 채용했기 때문에 일반 모델의 무광 마감을 원하시던 분들이라면 버즈3 실버가 나름 반가울지도 모르겠습니다. (버즈2와 버즈 라이브의 오닉스 제외.)

_DSC5633.jpg_DSC5634.jpg_DSC5635.jpg

화이트 색상의 버즈3 프로랑 서로 놓고 보면 이렇습니다.

디자인 코드는 서로 비슷한 모습입니다.

버즈3 프로와 버즈3는 유닛이 안착되는 부위를 제외한 모든 곳의 충전 케이스 부품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액세서리 호환성은 생각보다 정말 좋습니다.

다만 유닛이 올라가는 부분은 버즈3 프로의 경우 이어팁이 장착되는지라 마진이 굉장히 널널한 편인데, 버즈3는 굉장히 타이트합니다. 그래서 버즈3의 경우 유닛 단차를 느끼기는 어려울 듯 하네요.

_DSC5639.jpg

버즈3 프로의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는 블레이드 라이트는 버즈3에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프로와 일반의 차별점을 두는 것은 이해하지만 LED는 버즈3에도 넣어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조금 있군요.

_DSC5636.jpg_DSC5637.jpg_DSC5638.jpg

버즈3의 이어버드를 자세하게 살펴봤습니다.

구조적으로 버즈3 프로와 유사한 편이지만 이어팁을 장착할 수 없다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버즈3는 오픈형에 스피커도 달라서 그런지 유닛 부위 끝에 덕트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제외하면 마이크 배치도 버즈3 프로와 동일합니다.

_DSC5640.jpg_DSC5641.jpg

버즈3를 페어링 하는 방법은 갤럭시 기기 기준 아주 간단합니다.

퀵 페어링 팝업창이 나오면 연결 버튼을 눌러주고 매니저 설치 및 약관 동의까지 하면 완료됩니다.

_DSC5642.jpg_DSC5643.jpg

갤럭시 버즈3 매니저는 갤럭시 버즈3 프로의 매니저 앱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면 버즈3는 ANC만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주변 소리 듣기나 소음 제어 최적화 모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ANC 메뉴가 버즈 라이브처럼 토글 버튼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게 생각보다 좀... 보기 그렇네요.

주변 소리 듣기, 소음 제어 최적화 뿐 아니라 대화 모드 및 사이렌 감지 모드도 제외 되었기 때문에 소음 제어 기능 자체는 버즈3 프로와 차이가 꽤 많이 나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_DSC5644.jpg

업데이트도 진행해 주고요. 개봉기 작성일 기준 XG4가 최신 버전입니다.

_DSC5645.jpg

Find 네트워크 기능도 버즈3 프로와 동일합니다.

마지막 사용 후 24시간 오프라인 탐지 기능과 분실 모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_DSC5646.jpg

음악도 잠깐 들어봤는데, ANC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의 변화 때문에 적잖이 놀랐습니다.

다른 음역대는 괜찮은데 청감상 저음역이 변화가 제일 컸습니다. 적응형 EQ 및 ANC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은데, 이 부분은 나중에 리뷰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_DSC5647.jpg

갤럭시 버즈3 개봉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원래라면 저번 버즈3 프로처럼 간단한 후기도 같이 적으려고 했는데, 당장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유라면 불량품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

현재 제가 개봉한 버즈3는 왼쪽 유닛은 괜찮은 듯 합니다만 오른쪽 유닛이 ANC 사용 시 쇳소리, 공명음 등 이상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덤으로 버즈3 프로에서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삑- 삑- 소리가 오른쪽 유닛에서 기습적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음악 감상을 제대로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갤럭시 버즈3 리뷰도 당연히 작성할 예정이지만, 우선적으로 서비스센터 방문 후 멀쩡한 유닛으로 교체된 후에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덕분에 사놓고 못 쓰고 있네요... 😭😭😭😭😭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