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1-27-2022 05:47 PM - 편집 01-27-2022 05:52 PM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갤럭시 워치4와 핏2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심박수 측정 주기가 수면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핏2기준, 심박수 측정 주기를 30분으로 설정하면 수면시에도 30분마다 기록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수면 상태를 파악하는데 심박수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수면측정 정확도도 다소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어서요.
해결되었습니다! 답변으로 이동.
1 채택된 답변
채택된 답변
01-28-2022 01:06 PM ·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안녕하세요. 삼성 헬스 서비스 운영 담당자입니다.
갤럭시 웨어러블 기기는 움직임 데이터와 심박 수를 기반으로 수면 시간 및 수면 단계를 추정하며,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사용자가 수면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일어나서 움직이면 수면이 끝나고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면 모니터링을 종료합니다.
이 때, 설정하신 웨어러블의 심박 수 측정 설정과 별도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얕은 수면, 깊은 수면, 렘(REM) 수면 등 수면 단계를 추정하고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1-28-2022 09:47 AM ·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아무래도 그렇지 않을까 싶은데요.. 항상 측정 시 한 시간 중 60분내내 기록되지만 30분마다 하면 2번밖에 기록이 안된 것으로 참고하니 말이죠. 심박수정보가 평균적으로 일정하다면 별차이 없겠지만 수면중에 심박수 변동이 심하신 분들은 기록차이가 많을 듯 합니다.
01-28-2022 01:06 PM ·
웨어러블(워치/버즈/기타)안녕하세요. 삼성 헬스 서비스 운영 담당자입니다.
갤럭시 웨어러블 기기는 움직임 데이터와 심박 수를 기반으로 수면 시간 및 수면 단계를 추정하며,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사용자가 수면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일어나서 움직이면 수면이 끝나고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면 모니터링을 종료합니다.
이 때, 설정하신 웨어러블의 심박 수 측정 설정과 별도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얕은 수면, 깊은 수면, 렘(REM) 수면 등 수면 단계를 추정하고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