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와 동영상 데이터는 그 사이즈가 커서 저장이나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압축을 합니다. 압축 방법에는 원본 데이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크기를 줄이는 손실압축과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크기를 줄이는 무손실 압축이 있습니다.
아래는 영상 압축(JPEG)의 화질 비교입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압축률이 높은 대신 화질 손상이 많이 발생합니다.)[1]
손실압축이란? 손실압축에서는 사람 눈과 영상 데이타의 특성을 이용해서 최대한 사람 눈에는 크게 띄지 않도록 원본을 변경하여 크기를 줄입니다. 손실 압축의 대표적인 예는 JPEG[2]입니다. 다음은 JPEG 블록도입니다.
사람의 눈은 색의 변화보다 밝기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이용하여, 밝기와 색을 분리하는 YCbCr 칼라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색정보를 다운샘플링해서 데이터 양을 줄입니다.(서브 블록 1 ~ 2)
또 사람의 눈은 고주파보다는 저주파의 밝기 변환에 민감한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양을 줄입니다.(서브 블록 3 ~ 5)
다음으로 데이터의 발생 빈도 특성에 따라 허프만 코딩으로 압축률을 높입니다.(서브 블록 6 ~8)
※ 무손실 압축은 손실압축과 대비되는 방법으로 원본 데이터가 손실되는 과정이 없이 데이타의 발생 빈도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양을 줄입니다.
갤럭시카메라의활용
갤럭시 카메라에서는 손실 압축방식인 JPEG과 무손실 압축방식인 DNG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JPEG는 대부분의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사용하고 있고 DNG는 사진 촬영 전문가를 위한 프로 모드와 다운로드앱인 Expert RAW에서 사용합니다.
DNG는 삼성 휴대폰에서 다음과 같이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
DNG란? DNG(Digital Negative)는 어도비사가 디지털 사진 용으로 개발한 개방형 무손실 Raw 이미지 포맷입니다[3]. Raw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파일 포맷 중 하나로 디지털 카메라나 이미지 스캐너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최소한으로 처리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4].
DNG는 Raw 파일을 그대로 혹은 무손실 압축하여 사용하며 라이트룸이나 포토샵과 같은 편집툴로 후편집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포맷입니다. 다음은 DNG 파일의 후편집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