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제목:

삼성 오디세이 OLED G8 (G80SD) 개봉기

(게시글 작성 시간: 07-08-2024 04:22 PM)
2502 보기
아시엘르
Active Level 10
옵션
PC

이번 시간에 보여드릴 제품은 32인치 4K 모델로 돌아온 오디세이 OLED G8 (G80SD)입니다. 2022년에 34인치 21:9 비율로 출시된 OLED G8 (G85SB)의 후속 모델로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화면비랑 해상도가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서 사용 중인 이름만 같을 뿐 내실은 다른 모니터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도 불구하고 가격도 크게 인상된 부분이 없었다는 점도 인상적이라면 인상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삼성 오디세이 OLED G8 개봉기 (S34BG850) - Samsung Members

작년에 개봉했던 OLED G8 (G85SB)는 위 링크에서 감상해보세요.

 

_DSC4829.jpg

 

사실 주문 자체는 6월 5일 즈음 진행했는데 수령은 6월 22일에 했습니다. 수요가 좀 몰린 모양인지 구입일에 비해 실제 배송일은 많이 늦은 편이었습니다. 거기에 마음 같아서는 제가 직접 뜯고 싶었으나 삼성 설치 기사분께서 불량 확인을 위해 현장 개봉을 진행해야 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저번 G85SB (편의상 이렇게 부르겠습니다.) 랑 비슷한 상황이 된 느낌...

 

_DSC4830.jpg

 

86.8cm -> 80.3cm가 되어 인치 자체는 조금 줄었습니다만 화면비가 달라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습니다.

27인치, 34인치, 49인치는 써봤지만 32인치는 처음이라 기대 반 설렘 반이었던 상태입니다.

 

_DSC4832.jpg

 

스티로폼에 가지런히 올려진 구성품들부터 먼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모두 꺼냈을 때의 모습은 이렇습니다.
 
_DSC4833.jpg_DSC4834.jpg
 

그림 위주로 구성된 적절한 설치 및 사용 안내서입니다.

원래 삼성 모니터 스탠드는 나사 2개 조이는 절차가 어느 제품을 구입하던 기본으로 들어있는데 G80SD는 나사는 구성품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도구 없이 모니터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줄 수 있겠죠?

 

_DSC4835.jpg_DSC4836.jpg

 

얇은 디자인을 강조하는 모니터인 만큼 어댑터는 외장형으로 제공됩니다. G85SB랑 다르게 G80SD는 흰색으로 제공됩니다.

어댑터 용량은 180W 정도 됩니다. 글 나중에 G85SB랑 어댑터를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_DSC4838.jpg

 

모니터를 위한 케이블 및 기타 액세서리는 이렇습니다. 리모컨, DP/HDMI 케이블, 전원 케이블입니다.

아, G85SB는 DP 케이블만 넣어줘서 정말 아쉬웠는데 G80SD는 DP 및 HDMI 케이블을 모두 제공합니다.

 

_DSC4839.jpg_DSC4840.jpg

 

DP 케이블은 8K가 지원되는 DP 2.1 케이블로 제공됩니다.

노이즈 필터도 달려있습니다.

G85SB에서 주지도 않던 HDMI 케이블, G80SD는 HDMI 2.1 케이블로 제공합니다.

풀 사이즈인 점도 마음에 듭니다.

 

_DSC4841.jpg_DSC4842.jpg

 

타이젠이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 모니터 겸용 게이밍 모니터라 리모컨도 제공됩니다.

솔라 셀 리모컨으로 제공되는 점은 꽤 놀랐습니다. 디자인 자체는 SC90에서 봤던 리모컨과 동일한 모델입니다.

 

_DSC4844.jpg

 

G85SB에 제공되었던 리모컨과 같이 놓고 보면 이런 느낌입니다.

필링은 별 차이 없지만 왼쪽 리모컨이 더 비싸 보이네요.

 

_DSC4846.jpg

 

마지막으로 스탠드 조립에 필요한 파츠들만 남았습니다.

무게도 꽤 묵직하고 마감도 좋은 줄 알았는데... 사출 상태에 문제가 있는지 스탠드 바닥 파츠는 뭔가 표면에 이상한 얼룩들이 좀 있었습니다.

스탠드 기능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 그냥 쓰기로 했습니다.

 

_DSC4851.jpg_DSC4852.jpg

 

스탠드 조립은 정말 쉽습니다. 설명서 내용대로 화살표 방향에 맞춰서 끼운 뒤 돌려주면 끝입니다. 분해도 마찬가지인데, 하단 푸시 버튼을 눌러서 풀어주면 끝입니다. 나사로 조이는 방식 대비 살짝 불안해 보이는 느낌인데 의외로 견고하게 잘 버텨주는 모습이네요.

아, 그리고 웬만한 삼성 모니터는 항상 베사 마운트에 어댑터를 꼭 포함하는 편이었는데 G80SD는 어댑터 따로 없이 모니터 자체적으로 호환성이 많이 개선된 모습입니다. 이런 부분은 칭찬해 줘야겠네요.

 

_DSC4853.jpg_DSC4854.jpg

 

스탠드 조립도 끝났으니 이제 모니터에 결착하고 꺼내면 끝입니다.

드라이버 안 쓰고 조립하니 여러모로 편하고 좋네요.

 

_DSC4855.jpg

 

세워보니 이런 느낌입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자면 스탠드 타입은 G85SB 스타일을 저는 더 선호합니다. 각지고 공간 차지도 적고 아주 좋았는데 말이죠.

이번엔 호리호리 한데 하판은 더 넓어졌습니다.

 

_DSC4857.jpg

 

모니터 사용 전에 붙어있는 비닐을 제거해야 합니다.

운반 및 설치 과정에서 패널에 흠집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이런 부분은 좋습니다.

 

_DSC4858.jpg_DSC4862.jpg

 

비닐을 뜯어낸 뒤에 G80SD와 G85SB를 서로 세워 놓고 둘러보는 시간도 가져봤습니다.

왼쪽에 있는 것이 G80SD, 오른쪽에 있는 것이 G85SB입니다.

화면비, 커브드 이런 건 취향 차로 보면 좋을 것 같고요. 스탠드는 앞서 말씀드렸듯 G85SB가 더 마음에 듭니다...

 

_DSC4859.jpg_DSC4861.jpg

 

G80SD는 삼성이 SD95 OLED TV에서 선보였던 OLED 글레어 프리 기술이 들어있습니다.

간단하게 안티 글레어 처리가 되어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위 사진처럼 빛 반사나 번짐에 차이가 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건 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 차이를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_DSC4837.jpg_DSC4863.jpg_DSC4864.jpg

 

모니터를 책상 위에 올리기 전에 어댑터를 잠깐 둘러보고 가겠습니다.

흰색이 G80SD 어댑터, 검은색이 G85SB 어댑터인데 차이가 꽤 있죠? 거기에 무게도 G85SB 어댑터는 1kg이 넘어서 그런지 자세한 무게 측정이 어려웠습니다.

정격 용량도 G85SB가 220W로 더 큽니다. 아무래도 USB-C 입/출력 기능이 있다 보니 그런 듯합니다.

 

_DSC4866.jpg

 

생애 첫 32인치 모니터인데, 생각보다 정말 큽니다.

사실 책상 잘못 사서 모니터를 바꿀 때마다 고통스럽습니다... 하여튼. 16:9, 32인치, 플랫 스크린 참 좋은 조합이네요.

 

_DSC4867.jpg_DSC4868.jpg

 

입출력 포트는 다행히 정상화되었습니다. G85SB는 AD 보드 소형화에 포트 간소화로 인하여 mini DP도 모자라서 micro HDMI를 넣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G80SD는 모든 포트 풀 사이즈로 제공합니다. 여기에 HDMI 1번 포트는 ARC도 지원하네요. eARC가 아닌 점은 조금 아쉽긴 합니다.

USB 허브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서 USB 키보드나 마우스를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대신 USB-B 3.0 케이블은 제공하지 않아 별도 구매가 필요합니다.

좋아진 것은 맞지만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DP가 고작 1개인 것과 USB-C 기능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_DSC4870.jpg

 

G85SB는 Odyssey OLED 로고가 짜부되어 나오는데 G80SD는 16:9 모니터라 정상 출력 되는 모습이 확인됩니다.

사진상으로 블랙이 마치 떠 보이는 것 같이 느껴지는데, 실제로 볼 때는 저렇지 않습니다.

 

_DSC4871.jpg_DSC4872.jpg

 

익숙한 타이젠 설정 인터페이스를 둘러보는 시간도 가져보겠습니다.

24 타이젠은 리모컨, 스마트폰뿐 아니라 마우스 키보드 설정 기능도 추가가 된 듯합니다. 제일 무난하게 리모컨으로 세팅을 진행했습니다.

 

_DSC4879.jpg

 

로그인도 하면서 설정을 계속 진행하다면 스크린 백업/복원 기능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G85SB 설정을 불러올 수가 있더군요. 이런 부분은 괜찮았습니다.

 

_DSC4881.jpg

 

기본 설정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최초 설치 당시 소프트웨어는 추가 업데이트가 없었습니다.

24 타이젠은 인터페이스가 원래 보던 타이젠이랑 조금 달랐습니다. 섹션은 크게 데일리, 게이밍, 홈 허브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제일 놀라웠던 점은 최적화가 매우 잘 되어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 같네요. 오랜 시간 타이젠을 봐왔지만 이것보다 성공적인 최적화는 본 적이 없을 정도입니다.

 

_DSC4884.jpg_DSC4886.jpg_DSC4887.jpg_DSC4885.jpg

 

PC 부팅 후 간단하게 세팅한 뒤에 HDR 영상도 틀어봤습니다.

1세대 QD-OLED 패널도 워낙 좋았다 보니 색감이나 밝기, HDR 성능은 거의 비슷한 느낌이었는데 안티 글레어 처리와 4K 해상도 덕분에 꽤 괜찮은 시청 경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Cap 2024-07-03 20-44-40-161.pngCap 2024-07-05 22-19-46-399.png

 

PC에서 G80SD에 기본 제공된 케이블과 RX 7800 XT로 연결하면 문제없이 4K 240Hz 이용이 가능합니다.

4K 해상도에서 선택 가능한 주사율은 240Hz와 120Hz입니다.

HDR 켜놓고도 4K 240Hz 역시 가능합니다. HDR 인증을 찾을 수 없는 부분은 G85SB와 비슷한데, G85SB의 경우 Vesa Display HDR 인증 리스트에 정식 기재가 되어있으나 G80SD는 따로 기재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이것으로 보아 HDR 스펙은 G85SB와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_DSC4891.jpg_DSC4892.jpgCap 2024-07-08 16-18-44-053.png

 

아... 다른 것보다 적잖이 충격받은 스마트싱스 리모컨을 보여드리자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섹션은 대체 왜 나눠놓은 것이고 쓸데없는 버튼들이 너무 많습니다. 리모컨은 22/23 타이젠이 더 낫다고 느껴질 정도네요.

그렇게 메뉴를 둘러보다가, 모니터인데도 불구하고 조도 센서와 소리 센서가 탑재되어 있는 걸 확인했습니다.

해당 센서들의 시나리오별로 루틴을 설정하거나 추가 기능을 활용해 볼 수도 있을 듯합니다.

 

_DSC4893.jpg

 

XBOX도 잠깐 켜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16:9 모니터 이후로 32:9, 21:9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XBOX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는데 이번에 16:9 모니터로 다시 돌아온 김에 XBOX를 주력으로 사용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_DSC4894.jpg_DSC4895.jpg

 

디스플레이 항목도 체크해 보면 G80SD는 XBOX 시리즈 X의 모든 디스플레이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Dolby VISION 빼고요.

사운드 항목에서는 7.1 비압축 전송은 그렇다 치더래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ATMOS 기능은 사용이 가능한데 콘솔에선 지원하지 않는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건 G85SB랑 비슷한 상황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ATMOS 사운드바 하나 들여와 보는 걸로....?

 

_DSC4888.jpg_DSC4900-Enhanced-NR.jpg

 

이렇게 32인치 4K 모니터로 돌아온 OLED G8, G80SD 개봉기를 간단하게 살펴보셨습니다.

2세대 OLED 모니터로 거듭나면서 쿨링 팬 없이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OLED 세이프가드+, 24년형 타이젠의 놀랍도록 빠르고 인상적인 최적화, 16:9 평면 4K라는 훌륭한 조합으로 첫인상 자체는 매우 좋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담아드리진 못했지만 코어 라이팅의 경우 G85SB보다 훨씬 밝고 얇아서 분위기 연출에도 괜찮은 모습이었습니다.

사용한 지는 이제 1주일 겨우 넘었는데, RX 7800 XT에서도 그냥저냥 쓸만합니다. AFMF가 4K에서도 생각보다 잘 작동하네요.

 

Cap 2024-07-05 22-23-04-474.pngCap 2024-07-05 22-23-21-986.png

 

마지막으로 삼성에서 제공하는 제품 가이드에서 2022년에 출시된 OLED G8 34인치 모델의 개선형 모델이 포착되었습니다.

실제로 몇달 전에 전파인증도 통과한 모습이더군요.

모델 넘버는 S34DG850(G85SD)로 연식에 맞춰서 알파벳 하나만 바뀐 수준인데, 차이점이 있다면 입출력 포트가 G80SD와 완전히 동일하게 바뀌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 같네요. OLED 글레어 프리나 3세대 QD-OLED 패널, 24년형 타이젠과 신규 프로세서 탑재 여부는 알 수 없었습니다만 타이젠이 그대로 들어있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이러면 USB-C 입출력 기능이 아예 빠지는 듯 한데, 어댑터가 G80SD와 동일한 모델이 들어갈 수도 있겠네요.

2 댓글
타조알12
Expert Level 3
PC
리뷰 감사합니다^^
아시엘르
Active Level 10
PC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