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로 표시
- 북마크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7-15-2021 08:27 AM ·
SmartThings07-15-2021 09:53 AM ·
SmartThings안녕하세요.
삼성전자 생활가전 담당자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을 보았을때 현재 세제자동투입장치를 사용하고 계신것으로 보이며, 섬유유연제가 조금씩 줄어드는것을 보면 투입장치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MAX이하로 넣어야 정상투입 된다는 부분은 수동투입이 되는 모델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우선 섬유유연제 향이 안날 경우 아래와 같이 섬유유연제 투입량을 늘려주세요.
- AI 모델
투입량 설정 : 부가기능클릭 - 다이얼돌리기 - 섬유유연제 투입량 항목에서 ok 버튼 눌러서 투입량 "많이"로 설정
농축도 설정 : 부가기능 3초이상 길게 클릭 - 다이얼돌리기 - 섬유유연제 농축도 항목에서 ok 버튼 눌러서 농축도 "일반"으로 설정
- AI 모델 아닌 경우
투입량 설정 : 섬유유연제 투입량 버튼을 눌러서 3칸으로 설정
농축도 설정 : 유연제투입량 버튼 3초이상 길게 눌러서 농축도 1(보통)으로 설정
상기와 같이 하셨음에도 유연제 향이 않고 쾌쾌한 냄새가 계속된다면,
유연제 투입 문제가 아닌 여름철 세탁물 및 세탁기 관리에 의한 영향일 수 있습니다.
옷감의 냄새의 경우 보통 세탁기나 세탁물의 습기, 혹은 사람의 땀에 의한 영향으로 유발됩니다.
따라서 옷감 및 세탁기의 관리가 냄새 예방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 냄새 예방을 위한 관리팁을 공유해 드리오니 활용을 부탁드립니다.
1. 세탁기 관리
1) 세탁 완료되면 다음 세탁까지 세탁 도어 열어 두기
→ 환기를 오래하여 세탁조 내부의 습기까지 제거를 해야 냄새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세탁을 안 하실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도어를 열어주세요.
2) 세제함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건조해 주기
→ 세제함이 습할 경우 세제와의 영향으로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세탁실 문 자주 열어서 환기하기
4) 주기적으로 통세척 실시하기
→ 통세척 시기를 놓쳤을 경우에는 2~3 차례 연속으로 통세척을 하셔도 좋습니다.
“전자동세탁기”의 경우에는 락스 1컵을 넣으셔서 통세척을 해보세요.
5) 하수구 혹은 썩은 냄새 올라올 경우에는 배수 호스 확인하기
→ 배수 호스가 너무 깊숙이 박혀있는 경우 하수구 냄새가 역류합니다.
그럴 땐 호스 들어가있는 깊이를 살짝 조정해주세요.
6) 여름철에는 유연제 사용을 줄여 주시는 것도 냄새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2. 세탁물 관리
1) 물기 닦은 수건 등 젖은 세탁물의 경우 세탁전에 오랫동안 세탁기에 방치하지 않기
2) 수건이나 면류는 땀냄새 제거 위해 가끔 삶아 주기
→ 땀이나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의(피지, 단백질) 경우 냉수에서는 세탁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끔 삶아 주셔야 기름때 및 땀 냄새가 제거 됩니다.
3) 빨래 종류별로 구분하여 세탁하기, 냄새 심한 세탁물은 버리기
→ 냄새 심한 세탁물을 방치할 경우 같이 세탁하는 다른 세탁물에도 냄새가 전이됩니다.
다소 귀찮을 수 있지만 세탁기를 장기간 깨끗하게 사용하시는 부분에도 도움이 되는 사항이오니, 공유해드린 방법 활용해 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