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댓글
pss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3-12-2024 05:57 PM - 편집 03-12-2024 05:57 PM
갤럭시 S
글쎄요, 원인을 알면 말씀드렸을 것 같습니다~
다만, 폰에서 지도(네비)상에 내 위치가 표시되기까지는 GPS라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기지국에서 보내주는 위치정보 및 기지국과의 거리, WiFi AP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들을 적절한 소프트웨어(로직)로 조합해주어야 하기때문에 단순히 GPS수신의 잘못만이다라고 속단하기는 어렵지 않느냐라고 맔슴드린겁니다.
같은 위치에서 잘 되는 폰이 있고 튀는 폰이 있는 것도 같은 방법으로 생각해야하지않느냐 싶습니다.
폰이 문제가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복합적인 원인일 수 있으니 너무 하드웨어적 원인으로만 비관적으로 생각하지 말곺기다려보면 어떻겠느냐는 말씀입니다.
다만, 폰에서 지도(네비)상에 내 위치가 표시되기까지는 GPS라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기지국에서 보내주는 위치정보 및 기지국과의 거리, WiFi AP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들을 적절한 소프트웨어(로직)로 조합해주어야 하기때문에 단순히 GPS수신의 잘못만이다라고 속단하기는 어렵지 않느냐라고 맔슴드린겁니다.
같은 위치에서 잘 되는 폰이 있고 튀는 폰이 있는 것도 같은 방법으로 생각해야하지않느냐 싶습니다.
폰이 문제가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복합적인 원인일 수 있으니 너무 하드웨어적 원인으로만 비관적으로 생각하지 말곺기다려보면 어떻겠느냐는 말씀입니다.
레이너
Active Level 7
옵션
- 신규로 표시
- 구독
- RSS 피드 구독
- 강조
- 인쇄
- 부적절한 컨텐트 신고
03-23-2024 08:58 AM ·
갤럭시 S
NFC 때문일 수가 없죠.
왜냐면 "구글 위치 정확도" 서비스 해제하고 순수 GPS(예전 차량 내비게이션 방식) 만 사용시 GPS 위치 튀는 현상이 사라지니까요.
현재 S24 시리즈에서 위치가 튀는 이유로 추정되는건 순수 GPS 신호와 구글 네트워크 기반 위치정보 조합 알고리즘 문제입니다.
보통 스마트폰에서 위치 측량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는데 각종 센서들도 활용하지만 가장 큰 정보는
1. GPS 센서를 통한 우주에 있는 위성을 활용한 위치 측량
2. 구글의 네트워크 기반(기지국 위치, WiFi 주소 기반 위치) 위치 측량
이 2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설정-위치-위치서비스-"Google 위치 정확도"
이 서비스를 해제하면 위성정보를 통한 순수 GPS 위치 정보만으로 위치를 잡기 때문에 위치가 튀고 말고 할 건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순수 GPS만 사용할 경우 실내에선 완전히 위치 측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통 기본적으로 "구글 위치 정확도"는 켜져 있거나 앱 들에서 켜는 것을 권장하는 권한 요청이 많이 나오죠. 많이들 보셨을거에요. 정확한 위치 허용할지 대략적인 위치 허용할지 묻는 팝업이요.
그런데 이 "Google 위치 정확도"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이라고 말씀드렸는데 WiFi는 그나마 범위가 좁아서 영향이 덜하지만 기지국 정보가 영향력이 큽니다. 왜냐면 기지국 위치 정보는 범위가 '수 백m에서 수 km' 까지 넓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라는 작은 물체 기준으로는 오차 범위가 매우크죠.
그래서 GPS 측량 소프트웨어에서 보통 현위치 측량시 네트워크 기반으로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통해 빠르게 추정후 순수 GPS 정보로 보완해서 정확한 위치를 스마트폰에 보여주는 겁니다.
이 때까지 타사 폰을 비롯해서 갤럭시 이전 폰들 중에 GPS 문제가 없었던 폰들은 네트워크 기반 위치와 순수 GPS 기반 위치의 중요도와 우선 순위 등의 알고리즘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최적화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기지국에서 내가 2km 떨어져 있지만 순수 GPS 센서로 위성 정보가 매우 잘 수신된다면 그냥 순수 GPS 정보 우선순위를 90%이상 할당하면 사용자는 정확하다고 느끼겠죠.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기지국 위치와 위성 GPS 위치 정보를 5대5 비율로 계산한다면 기지국이랑 나는 2km 떨어져 있지만, 반쯤되는 1km에 내 위치가 표시되겠죠. 그게 아니라 더 이상한 계산법이 있다면 기지국에서 2km 떨어진 내 위치랑 1km 떨어진 위치랑 기지국 중앙 위치랑 왔다갔다 하거나요.
이런 소프트웨어적인 알고리즘 문제가 S24에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애초에 이런 부분을 완벽히 검증되지 않은 채로 출시한게 원인이고 무책임한거죠. 가격은 제대로 다 받고요.
이걸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정해서 업데이트 해야하는데, 다른 폰들 One UI 업데이트나 플립 폴드 시리즈 등에 우선순위를 주는건지 업데이트에 전력을 다하지 않고 있으니 출시한지 2달째 해결이 안되는거고요.
다들 GPS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모르시는 것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왜냐면 "구글 위치 정확도" 서비스 해제하고 순수 GPS(예전 차량 내비게이션 방식) 만 사용시 GPS 위치 튀는 현상이 사라지니까요.
현재 S24 시리즈에서 위치가 튀는 이유로 추정되는건 순수 GPS 신호와 구글 네트워크 기반 위치정보 조합 알고리즘 문제입니다.
보통 스마트폰에서 위치 측량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는데 각종 센서들도 활용하지만 가장 큰 정보는
1. GPS 센서를 통한 우주에 있는 위성을 활용한 위치 측량
2. 구글의 네트워크 기반(기지국 위치, WiFi 주소 기반 위치) 위치 측량
이 2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설정-위치-위치서비스-"Google 위치 정확도"
이 서비스를 해제하면 위성정보를 통한 순수 GPS 위치 정보만으로 위치를 잡기 때문에 위치가 튀고 말고 할 건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순수 GPS만 사용할 경우 실내에선 완전히 위치 측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통 기본적으로 "구글 위치 정확도"는 켜져 있거나 앱 들에서 켜는 것을 권장하는 권한 요청이 많이 나오죠. 많이들 보셨을거에요. 정확한 위치 허용할지 대략적인 위치 허용할지 묻는 팝업이요.
그런데 이 "Google 위치 정확도"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이라고 말씀드렸는데 WiFi는 그나마 범위가 좁아서 영향이 덜하지만 기지국 정보가 영향력이 큽니다. 왜냐면 기지국 위치 정보는 범위가 '수 백m에서 수 km' 까지 넓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라는 작은 물체 기준으로는 오차 범위가 매우크죠.
그래서 GPS 측량 소프트웨어에서 보통 현위치 측량시 네트워크 기반으로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통해 빠르게 추정후 순수 GPS 정보로 보완해서 정확한 위치를 스마트폰에 보여주는 겁니다.
이 때까지 타사 폰을 비롯해서 갤럭시 이전 폰들 중에 GPS 문제가 없었던 폰들은 네트워크 기반 위치와 순수 GPS 기반 위치의 중요도와 우선 순위 등의 알고리즘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최적화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기지국에서 내가 2km 떨어져 있지만 순수 GPS 센서로 위성 정보가 매우 잘 수신된다면 그냥 순수 GPS 정보 우선순위를 90%이상 할당하면 사용자는 정확하다고 느끼겠죠.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기지국 위치와 위성 GPS 위치 정보를 5대5 비율로 계산한다면 기지국이랑 나는 2km 떨어져 있지만, 반쯤되는 1km에 내 위치가 표시되겠죠. 그게 아니라 더 이상한 계산법이 있다면 기지국에서 2km 떨어진 내 위치랑 1km 떨어진 위치랑 기지국 중앙 위치랑 왔다갔다 하거나요.
이런 소프트웨어적인 알고리즘 문제가 S24에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애초에 이런 부분을 완벽히 검증되지 않은 채로 출시한게 원인이고 무책임한거죠. 가격은 제대로 다 받고요.
이걸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정해서 업데이트 해야하는데, 다른 폰들 One UI 업데이트나 플립 폴드 시리즈 등에 우선순위를 주는건지 업데이트에 전력을 다하지 않고 있으니 출시한지 2달째 해결이 안되는거고요.
다들 GPS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모르시는 것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